남아메리카밭쥐속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쥐목 | |
아목: | 쥐아목 | |
상과: | 쥐상과 | |
과: | 비단털쥐과 | |
아과: | 목화쥐아과 | |
족: | 남아메리카밭쥐족 | |
속: | 남아메리카밭쥐속 (Akodon) Meyen, 1833 | |
모식종 | ||
Akodon boliviensis | ||
Meyen, 1833 | ||
학명이명 | ||
Acodon Agassiz, 1846[1] | ||
종 | ||
|
남아메리카밭쥐속(Akodon)은 비단털쥐과 목화쥐아과에 속하는 설치류 속의 하나이다.[1] 아마존 분지 남부와 안데스 산맥을 따라서 북쪽으로 베네수엘라까지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아마존 분지 대부분의 지역부터 남아메리카 대륙 남쪽, 안데스 산맥 서부 저지대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43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열대구 설치류 속 중에서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다. 화석 종은 플리오세 후기부터 알려져 있다.[2]
하위 종[편집]
|
|
|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4]
남아메리카밭쥐속 |
| ||||||||||||||||||||||||||||||||||||||||||||||||||||||||||||||||||||||||||||||||||||||||||||||||||||||||||||||||||||||||||||||||||||||||||||||||||||||||||||||||||||||||||||||||||||||||||||||||
각주[편집]
- ↑ 가 나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González, E.M.; Pardiñas, U.F.J. (2002). “Deltamys kempi”. 《Mammalian Species》: Number 711: pp. 1–4. doi:10.1644/1545-1410(2002)711<0001:DK>2.0.CO;2.
- ↑ 가 나 “Neomicroxus”. 미국 통합 분류학 정보 시스템(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ITIS).
- ↑ Jayat, J.P., Ortiz, P.E., Salazar-Bravo, J., Pardiñas, U.F.J. & D'Elía, G. 2010. The Akodon boliviensis species group (Rodentia: Cricetidae: Sigmodontinae) in Argentina: species limits and distribution,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entity. Zootaxa 2409: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