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망물쥐
![]()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Rheomys raptor Goldman, 1912 |
골드망물쥐(Rheomys raptor)는 비단털쥐과 목화쥐아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코스타리카와 파나마 운무림의 해발 1300~1600m 지역에서 발견된다.[1] 유속이 빠른 물가에서 살며, 반수생 동물이고 무척추동물과 같은 육식성 먹이를 먹는다. 적당한 개체수와 분포 지역 내의 여러 보호 지역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보존 등급을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 그러나 숲 파괴와 물 오염 때문에 잠재적 위협 요인을 갖고 있다.[1]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Naylor, L.; Roach, N. (2016). “Rheomys raptor”. 《IUCN 적색 목록》 (IUCN) 2016: e.T19485A22354486. 2016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166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