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샤닝카올드필드쥐
![]() | ||||||||||||||||||||||
보전 상태 | ||||||||||||||||||||||
---|---|---|---|---|---|---|---|---|---|---|---|---|---|---|---|---|---|---|---|---|---|---|
![]() 취약(VU),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Thomasomys onkiro Luna & Pacheco, 2002 |
아샤닝카올드필드쥐(Thomasomys onkiro)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이다.[2] 페루 남부 안데스 산맥 코르디예라 오리엔탈 산맥의 단 한 곳(오티시 국립공원 포함)에서만 알려져 있으며, 해발 3350m의 저산대 숲에서 발견된다.[1] 육상 서식지에서 생활한다. 일반명은 페루 아마존에서 가장 큰 토착 부족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각주[편집]
- ↑ 가 나 Pacheco, V. & Vargas, J. (2008). “Thomasomys onkiro”. 《IUCN 적색 목록》 (IUCN) 2008: e.T136575A4312676. doi:10.2305/IUCN.UK.2008.RLTS.T136575A4312676.en. 2017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183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