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어슨긴발톱쥐
![]() | ||||||||||||||||||||||
보전 상태 | ||||||||||||||||||||||
---|---|---|---|---|---|---|---|---|---|---|---|---|---|---|---|---|---|---|---|---|---|---|
![]() 취약(VU),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Pearsonomys annectens (Thomas, 1890) |
피어슨긴발톱쥐(Pearsonomys annectens)는 비단털쥐과 목화쥐아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3] 피어슨긴발톱쥐속 (Pearsonomys)의 유일종이다. 분자생물학 연구 결과 근연종은 긴발톱두더지쥐이다.[4] 칠레의 토착종으로 발디비아 온대 우림 생태지역의 남부너도밤나무 숲에서 발견된다.[1] 속명은 미국 동물학자 피어슨(Oliver Payne Pearson)의 이름에서 유래했다.[5][6]
각주[편집]
- ↑ 가 나 Patterson, B.; D'elia, G. (2008). “Pearsonomys annectens”. 《IUCN 적색 목록》 (IUCN) 2008: e.T40768A10363765. 2015년 11월 3일에 확인함.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160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Duff, A.; Lawson, A. (2004년 7월 11일). 《Mammals of the World: A checklist》. New Haven, Connecticut: Yale University Press. 63쪽. ISBN 0-7136-6021-X. OCLC 56204329.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Genus Geoxus〉.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116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Lidicker, W. Z.; Patton, J. L. “In Memoriam: Oliver Payne Pearson”. 《Online Biographies of UC Faculty and Administrators》. University of California. 2012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Beolens, Bo; Watkins, Michael; Grayson, Michael (2009년 9월 28일). 《The Eponym Dictionary of Mammal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12–313쪽. ISBN 978-0801893049. OCLC 270129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