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스터쌀쥐
![]() | ||||||||||||||||||||||
보전 상태 | ||||||||||||||||||||||
---|---|---|---|---|---|---|---|---|---|---|---|---|---|---|---|---|---|---|---|---|---|---|
![]() 위기(EN),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Euryoryzomys lamia (Thomas, 1901) | ||||||||||||||||||||||
이명 | ||||||||||||||||||||||
Oryzomys lamia Thomas, 1901 [Euryoryzomys] lamia Weksler, Percequillo, and Voss, 2006 |
몬스터쌀쥐(Euryoryzomys lamia)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1] 브라질 중부 지역에서만 발견되며, 세하두 지역의 산림 지대에서 서식한다.[1] 해발 700~900m에서 발견된다.[1] 생존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은 숲 서식지의 산림 파괴와 서식지 파편화이다.[1][3]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마 Percequillo, A.; Weksler, M. (2008). “Euryoryzomys lamia”. 《IUCN 적색 목록》 (IUCN) 2008: e.T15602A4890429. doi:10.2305/IUCN.UK.2008.RLTS.T15602A4890429.en. 2018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149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Weksler, M.; Percequillo, A. R.; Voss, R. S. (2006년 10월 19일). “Ten new genera of oryzomyine rodents (Cricetidae: Sigmodontinae)”. 《American Museum Novitates》 (New York: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537: 1–29. doi:10.1206/0003-0082(2006)3537[1:TNGOOR]2.0.CO;2. hdl:2246/5815. ISSN 0003-0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