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라만카쌀쥐
![]() | |
---|---|
![]() 탈라만카쌀쥐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쥐아목 |
상과: | 쥐상과 |
과: | 비단털쥐과 |
아과: | 목화쥐아과 |
족: | 쌀쥐족 |
속: | 안데스횡단쌀쥐속 |
종: | 탈라만카쌀쥐 (T. talamancae) |
학명 | |
'Transandinomys talamancae' | |
(J.A. Allen, 1891) | |
학명이명 | |
Oryzomys talamancae J.A. Allen, 1891[1] | |
탈라만카쌀쥐의 분포 | |
![]() 탈라만카쌀쥐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탈라만카쌀쥐(Transandinomys talamancae)는 비단털쥐과 안데스횡단쌀쥐속에 속하는 설치류이다.[11][12][13] 코스타리카부터 에콰도르 남서부, 베네수엘라 북부 지역까지 분포한다. 해발 최대 1,525m 지역의 저지대 숲에서 서식한다. 몸무게 38~74g의 중형 크기의 쌀쥐이다. 털은 부드럽고 상체는 불그스레한 색부터 갈색을 띠며, 하체는 흰색부터 담황색까지 띤다. 꼬리는 윗 부분은 진한 갈색이며 아랫 부분은 연한 색을 띠고, 귀와 발은 길다. 수염이 아주 길다. 두개골 뼈의 부리 부분은 길고 뇌머리뼈는 낮다. 염색체 수는 34개부터 54개까지 다양하다.[14]
각주[편집]
- ↑ Allen, 1891, p. 193
- ↑ Allen, 1899, p. 208
- ↑ Allen, 1899, p. 209
- ↑ Allen, 1899, p. 210
- ↑ Thomas, 1900, p. 272
- ↑ Thomas, 1901, p. 252
- ↑ Robinson and Lyon, 1901, p. 142
- ↑ Allen, 1908, p. 656
- ↑ Weksler et al., 2006, p. 25
- ↑ Anderson, R.P., Aguilera, M., Gómez-Laverde, M., Samudio, R. and Pino, J. 2008. Transandinomys talamancae. In IUCN.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09.2. <www.iucnredlist.org>. Downloaded on May 9, 2010.
- ↑ Allen, J.A. 1891. Descriptions of two supposed new species of mice from Costa Rica and Mexico, with remarks on Hesperomys melanophrys of Coues.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14(850):193–196.
- ↑ Allen, J.A. 1899. New rodents from Colombia and Venezuela.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2:195–218.
- ↑ Weksler, M., Percequillo, A.R. and Voss, R.S. 2006. Ten new genera of oryzomyine rodents (Cricetidae: Sigmodontinae). American Museum Novitates 3537:1–29.
- ↑ Weksler, M. 2006.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oryzomyine rodents (Muroidea: Sigmodontinae): separate and combined analyse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96:1–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