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갈색쌀쥐
![]() | ||||||||||||||||||||||
![]() 황갈색쌀쥐 완모식표본(이명 Calomys coronatus Winge, 1887)의 두개골 일부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Euryoryzomys russatus (Wagner, 1848)[2] | ||||||||||||||||||||||
이명 | ||||||||||||||||||||||
Calomys coronatus Winge, 1887 Oryzomys intermedius (Leche, 1886) |
황갈색쌀쥐 또는 큰머리쌀쥐(Euryoryzomys russatus)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3][4][5] 맥코넬쌀쥐속에 포함되며, 2006년 쌀쥐속(Oryzomys)에서 분리되었다. 브라질 남부와 파라과이 동부, 아르헨티나 북동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각주[편집]
- ↑ “Euryoryzomys russat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Wagner, Andr (1848). “Beiträge zur Kenntniss der Säugthiere Amerika's”. 《Abhandlungen der Mathematisch-Physikalischen Klasse der Königlich Bayer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München) 5 (2): 312.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Duff, A. and Lawson, A. 2004. Mammals of the World: A checklist. Yale University Press, 312 pp. ISBN 978-0-300-10398-4
- ↑ Weksler, M.; Percequillo, A. R.; Voss, R. S. (2006년 10월 19일). “Ten new genera of oryzomyine rodents (Cricetidae: Sigmodontinae)”. 《American Museum Novitates》 (New York: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537: 1–29. doi:10.1206/0003-0082(2006)3537[1:TNGOOR]2.0.CO;2. hdl:2246/5815. ISSN 0003-0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