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쌀쥐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쥐아목 |
상과: | 쥐상과 |
과: | 비단털쥐과 |
아과: | 목화쥐아과 |
족: | 쌀쥐족 |
속: | 톰스쌀쥐속 |
종: | 키스쌀쥐 (N. keaysi) |
학명 | |
'Nephelomys keaysi' | |
(J.A. Allen, 1900) | |
학명이명 | |
Oryzomys keaysi J.A. Allen, 1900 Oryzomys obtusirostris J.A. Allen, 1900 | |
보전상태 | |
키스쌀쥐(Nephelomys keaysi)는 비단털쥐과 톰스쌀쥐속에 속하는 설치류이다.[2][3] 페루 남동부 지역부터 볼리비아 북부까지 해발 고도 1000~2600m 높이의 융가스 습윤 숲의 안데스 산맥 동부 경사면에 분포한다. 개체군이 심각한 위협에 처해 있지 않고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되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때문에 일부 개체군은 위협에 직면에 할 수도 있다.[1]
분류학[편집]
키스(H. H. Keays)가 1899년과 1900년에 페루 훌리아카의 해발 고도 6,000m 지역에서 수집한 표본을 기초로 하여 알렌(Joel Asaph Allen)이 1900년에 2종의 설치류를 기술했다. 표본 한 점은 키스(Keays)의 이름을 따서 키스쌀쥐(Oryzomys keaysi)로 명명하고 나머지는 Oryzomys obtusirostris로 학명을 지었다. 전자는 근연종이 없고[4] 후자는 긴꼬리피그미쌀쥐(O. longicaudatus)와 가까운 것으로 간주했다.[5] 토마스(Oldfield Thomas)가 페루에서 수집한 일부 표본을 보고하면서 후자 배정에 동의했지만, 키스쌀쥐(O. keaysi)를 톰스쌀쥐(O. albigularis) 주변 그룹의 일부로 간주하고 아마도 같은 종으로 분류해야 할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6]
표본 O. obtusirostris을 재검사한 후에 알렌이 1913년 이 종을 아메리카사탕수수쥐속(Zygodontomys)으로 재분류하고 Zygodontomys obtusirostris라 명명했지만, 긴꼬리가 비정형적이라고 인정했다.[7] 1944년 허쉬코비츠(Philip Hershkovitz)가 당시 이해했던대로 남아메리카물쥐속(Nectomys) 개정판을 출판하면서 현재의 알파로쌀물쥐(Sigmodontomys alfari)와 비교하여 각주에 톰스쌀쥐(Oryzomys albigularis)의 이명으로 이해했다.[8] 이 목록에는 키스쌀쥐(keaysi)와 옵투시로로스트리스(obtusirostris)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그 이후로 두 종은 서로 초기에 이명 또는 아종으로 톰스쌀쥐(O. albigularis)와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1990년대에는 키스쌀쥐가 톰스쌀쥐와 날쌘쌀쥐(O. levipes) 두 종에 대한 차별성이 인정되어, 결과적으로 키스쌀쥐가 별도의 종으로 분류되었고 O. obtusirostris는 현재 이명의 하나가 되었다.[2] 그리고 2006년 톰스쌀쥐와 관련 종들이 새로운 톰스쌀쥐속(Nephelomys)으로 옮겨지고 이와같은 배열이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학명은 현재와 같이 Nephelomys keaysi가 되었다.[2]
각주[편집]
- Allen, J.A. 1900. On mammals collected in southeastern Peru by Mr. H. H. Keays, with descriptions of new species.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3:219–228.
- Allen, J.A. 1913. New South American Muridae.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2:597–604.
- Hershkovitz, P. 1944. A systematic review of the Neotropical water rats of the genus Nectomys (Cricetinae). Miscellaneous Publications Museum of Zoology, University of Michigan 58: 1–88.
- Thomas, O. 1901. New mammals from Peru and Bolivia, with a list of those collected from the Inambari River, Upper Madre de Dios.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7)7:178–190.
- Weksler, M.; Percequillo, A. R.; Voss, R. S. (2006년 10월 19일). “Ten new genera of oryzomyine rodents (Cricetidae: Sigmodontinae)”. 《American Museum Novitates》 (미국 자연사 박물관) 3537: 1–29. doi:10.1206/0003-0082(2006)3537[1:TNGOOR]2.0.CO;2. hdl:2246/5815.
- ↑ 가 나 Zeballos, H., Vargas, J. and Weksler, M. 2008. Nephelomys keaysi. In IUCN. 2008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Retrieved on April 24, 2009.
- ↑ 가 나 다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Weksler et al., 2006, p. 18
- ↑ Allen, 1900, p. 225
- ↑ Allen, 1900, p. 226
- ↑ Thomas, 1901, p. 188
- ↑ Allen, 1913, p. 599
- ↑ Hershkovitz, 1944, p. 72, footnote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