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대저빌쥐
![]() | ||||||||||||||||||||||
보전 상태 | ||||||||||||||||||||||
---|---|---|---|---|---|---|---|---|---|---|---|---|---|---|---|---|---|---|---|---|---|---|
![]() 미평가(NE), IUCN 3.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Eligmodontia bolsonensis Mares et al ., 2008 |
고지대저빌쥐(Eligmodontia bolsonensis)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이다.[1] 남아메리카 중부와 서부 지역에서 발견된다.[2]
분류학[편집]
2008년 미국 동물학자 마레스(Michael A. Mares), 브라운(Janet K. Braun), 코이너(Brandi Suzanne Coyner), 부셰(Ronald A. Van Den Bussche) 등이 기재했다.[2]
모식산지[편집]
모식산지는 아르헨티나 카타마르카주 안달갈라에서 서쪽으로 13.3km, 남쪽으로 28km 떨어진 리오 블랑코 마을 포만(27 °51' 01" S, 66 °18' 17" W)이다.[2]
완모식표본[편집]
완모식표본은 표본 카탈로그 번호 OMNH 34,739으로 1999년 10월 8일 브라운()이 수집한 성체 암컷의 표본으로 피부와 두개골, 뼈로 이루어져 있다.[2]
분포 및 서식지[편집]
아르헨티나 북서부 카타마르카 주의 토착종으로 암바토 산맥과 만카오 산맥 북부와 서부의 피파나코와 캄포 델 아렌날의 메마른 호수 지역과 베텔레헴 북쪽부터 화이트 라군까지 이어지는 계곡에 분포한다.[3]
각주[편집]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다 라 Mothers, MA; Braun, JK; Coyner; BS; Van Den Bussche, RA 2008. «Phylogenetic and biogeographic relationships of gerbil mice Eligmodontia (Rodentia, Cricetidae) in South America,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Zootaxa , 1,753, 1-33.
- ↑ Lanzone, C., Ojeda, RA and Gallardo, MH (2007) Integrative taxonomy, Systematics and distribution of the genus Eligmodontia (Rodentia, Cricetidae, Sigmodontinae) in the temperate Monte Desert of Argentina. Mammalian Biology, 72, 299-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