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로그차코쥐
![]()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Andalgalomys olrogi Williams & Mares, 1978 |
올로그차코쥐(Andalgalomys olrogi)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이다.[2] 아르헨티나의 토착종이다.[1] 자연 서식지는 뜨거운 사막 지대이다. 핵형은 2n=60이다.[3] 학명과 일반명은 스웨덴 출신 아르헨티나 생물학자 올로그(Claes C. Olrog)의 이름에서 유래했다.[4][5]
각주[편집]
- ↑ 가 나 “Andalgalomys olrog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10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Lanzone, C.; Rodríguez, D.; Cuello, P.; Albanese, S.; Ojeda, A.; Chillo, V.; Martí, D. A. (2011). “XY1Y2 chromosome system in Salinomys delicatus (Rodentia, Cricetidae)”. 《Genetica》 139 (9): 1143–1147. doi:10.1007/s10709-011-9616-7. ISSN 0016-6707.
- ↑ Handford, P. (April 1987). “In Memoriam: Claes Christian Olrog, 1912-1985”. 《The Auk》 104 (2): 319–320. JSTOR 4087042.
- ↑ Beolens, Bo; Watkins, Michael; Grayson, Michael (2009년 9월 28일). 《The Eponym Dictionary of Mammal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98쪽. ISBN 978-0-8018-9304-9. OCLC 270129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