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리아쥐
![]() | ||||||||||||||||||||||
보전 상태 | ||||||||||||||||||||||
---|---|---|---|---|---|---|---|---|---|---|---|---|---|---|---|---|---|---|---|---|---|---|
![]() 위기(EN),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Microakodontomys transitorius Hershkovitz, 1993 |
브라질리아쥐(Microakodontomys transitorius)는 비단털쥐과 쌀쥐족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1][2] 브라질 연방구의 두 곳의 개체군만이 알려져 있다.[1] 쌀쥐류와 남아메리카밭쥐류 사이의 연결 고리와 브라질리아쥐속(Microakodontomys)의 유일종으로 기술되었지만, 윅슬러(Weksler) 등은 비정상적인 피그미쌀쥐속 종으로 처리했다.[3]
각주[편집]
- ↑ 가 나 다 “Microakodontomys transitori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2.1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10. 2012년 6월 24일에 확인함.
- ↑ Musser, G.G. and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Pp. 894–1531 in Wilson, D.E. and Reeder, D.M. (ed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 vols., 2142 pp. ISBN 978-0-8018-8221-0
- ↑ Weksler, M.; Percequillo, A. R.; Voss, R. S. (2006년 10월 19일). “Ten new genera of oryzomyine rodents (Cricetidae: Sigmodontinae)”. 《American Museum Novitates》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537: 1–29. doi:10.1206/0003-0082(2006)3537[1:TNGOOR]2.0.CO;2. hdl:2246/5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