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타잎귀쥐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쥐아목 |
상과: | 쥐상과 |
과: | 비단털쥐과 |
아과: | 목화쥐아과 |
족: | 큰귀생쥐족 |
속: | 큰귀생쥐속 |
종: | 아니타잎귀쥐 (P. anitae) |
학명 | |
'Phyllotis anitae' | |
Jayat, D'Elia, Pardiñas & Namen, 2007 | |
보전상태 | |
아니타잎귀쥐(Phyllotis anitae)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이다.[2] 아르헨티나 북서부 투쿠만주의 안데스 산맥 동부 경사면의 안데스 남부 융가스 생태지역 상부 오리나무 숲에서 발견된다.[1][3] 지상성 동물이며 야행성 동물이다. 학명과 일반명은 미국 동물학자 아니타 피어슨(Anita K. Pearson, 동물학자 올리버 피어슨(Oliver P. Pearson, 1915-2003)의 부인)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3] 가장 가까운 근연종은 번치그라스잎귀쥐(P. osilae)이다.[3]
각주[편집]
- ↑ 가 나 Jayat, J.; Pardinas, U. (2008). “Phyllotis anitae”. 《IUCN 적색 목록》 (IUCN) 2008: e.T136674A4326073. doi:10.2305/IUCN.UK.2008.RLTS.T136674A4326073.en. 2016년 8월 27일에 확인함.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다 Jayat, J. P.; D'Elía, G.; Pardiñas, U. F. J.; Namen, J. G. (2007). 〈A new species of Phyllotis (Rodentia, Cricetidae, Sigmodontinae) from the upper montane forest of the Yungas of northwestern Argentina〉. Kelt, D. A.; Lessa, E. P.; Salazar-Bravo, J.; Patton, J. L. 《The Quintessential Naturalist: Honoring the Life and Legacy of Oliver P. Pearson》.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Zoology, vol. 134. 775–798.쪽. 2009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2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