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칸국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3월) |
훌레구 울루스 | |||||||||||||||||||||||
---|---|---|---|---|---|---|---|---|---|---|---|---|---|---|---|---|---|---|---|---|---|---|---|
ایلخانان | |||||||||||||||||||||||
| |||||||||||||||||||||||
국기 | |||||||||||||||||||||||
수도 | 마라게 (1256년 ~ 1265년) 타브리즈 (1265년 ~ 1306년) 술타니야 (1306년 ~ 1335년) | ||||||||||||||||||||||
정치 | |||||||||||||||||||||||
정치체제 | 군주제 | ||||||||||||||||||||||
칸 1256년 ~ 1265년 1316년 ~ 1335년 | 훌라구 칸 아부 사이드 칸 | ||||||||||||||||||||||
입법부 | 쿠릴타이 | ||||||||||||||||||||||
역사 | |||||||||||||||||||||||
• 설립 • 멸망 | 1256년 1335년 | ||||||||||||||||||||||
지리 | |||||||||||||||||||||||
1310년 어림 면적 | 3,750,000 km2 | ||||||||||||||||||||||
인문 | |||||||||||||||||||||||
공용어 | 페르시아어[1], 몽골어[1] | ||||||||||||||||||||||
종교 | |||||||||||||||||||||||
종교 | 샤머니즘과 불교 (1256년 ~ 1295년) 이슬람 (1295년 ~ 1335년) | ||||||||||||||||||||||
기타 | |||||||||||||||||||||||
| |||||||||||||||||||||||
오늘날 ![]() |
훌레구 울루스(몽골어: ᠬᠦᠯᠦᠭ ᠦᠨ
ᠤᠯᠤᠰ 훌레구인 울루스), 또는 일 칸국(페르시아어: سلسله ایلخانی, 영어: Ilkhanate)은 몽골 제국의 칸국 중 하나로 현재의 이란, 이라크에 걸쳐 있던 나라이다. 페르시아 칸국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와 시리아의 영토를 두고 대립했으나 승리를 얻지는 못했다. 1335년 9대 칸인 아부사이드 칸 사후 멸망하였으며 이후 자라이르 왕조, 츄판 왕조 등으로 나뉘어졌으나 이후 투르크인의 흑양왕조와 이란인들에 의해 멸망하여 사라졌다.
훌라구와 중동원정[편집]
오고타이계의 칸과의 경쟁을 통해 왕위에 오른 툴루이의 아들 몽케 칸은 자신의 동생인 훌라구(혹은 훌레구)에게 줄 땅을 마련하기 위해 중동으로 공격을 권유한다. 1255년으로 아바스 왕조의 수도 바그다드를 공격하기 위해 떠났다. 2년 뒤인 1257년 11월 훌라구의 군대는 바그다드를 공격하였고. 마지막 칼리파 알 무스타심은 살해당했다.
훌라구 칸은 시리아 지역으로 원정을 나섰다. 당시 시리아 해안 지역에는 십자군이 세운 기독교 국가들이 남아있었다. 십자군이 세운 공국 중 하나인 안티오키아 공국의 보에몽 6세는 몽골군에 합류했다. 1260년 훌라구는 이들의 지원을 받아 알레포를 점령하고 시리아의 여러 군소정권을 복속시켰다. 하지만 1260년 봄, 몽케 칸의 사망과 그 뒤로 이어진 내분 때문에 훌라구는 그 곳에서 돌아갈 수 밖에 없었다.
훌라구는 시리아를 떠나며 자신의 군대를 장군 키트부카에게 맡겼다. 키트부카는 훌라구의 군대를 이어받아 다마스쿠스를 점령하고 시리아 지역의 아이유브 술탄 안나시르 유수프를 해치우고 시리아를 완전히 장악했다. 시리아를 완전히 장악한 키트부카는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에 항복 권고를 보냈으나 당시 맘루크 왕조의 술탄인 쿠투즈는 이를 거부하고 바이바르스와 연합하여 키트부카와 맞섰다. 마침내 몽골군과 맘루크 왕조 군은 아인잘루트에서 크게 격돌했는데 이 전투에서 몽골군은 전멸하였으며 총사령관인 키트부카도 전사하게 된다. (아인잘루트 전투, 1260) 아인잘루트 전투의 참패 이후 전황은 결정적으로 바뀌어 몽골군은 이스라엘을 내주고 티그리스강 이북으로 북상하였으며 아인잘루트 전투 승리의 주역인 바이바르스는 몽골에 이어 경쟁자인 쿠투즈도 제거하고는 맘루크 왕조의 유일한 권력자로 집권했다. 이후 일 한국과 맘루크 왕조의 국경선은 시리아의 티그리스 강으로 결정되었으며 약 80여 년 동안 그대로 유지되었다.
훌라구가 중동 행한 무슬림 학살이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독실한 무슬림이 된 킵차크 한국의 칸 베르케가 알게 되었고 베르케는 분노하여 훌라구가 아랍지역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하면서 선전포고를 선언, 베르케-훌라구 전쟁(Berke-Hulagu War)이라고 불리는 내전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베르케가 승리하였고 이후 훌라구 일족과 몽골인들을 해당 지역의 몽골인들을 학살하였고 이 사건은 몽골 제국의 멸망으로 이어졌다.
역대 칸[편집]
이란의 역사 الگو:تاریخ ایران |
---|
![]() |
대이란의 역사 | |||||||||||||||||||||||||||||||||||||||||||||||||||||||||||||||||||||||||||||||||||||||||||||
---|---|---|---|---|---|---|---|---|---|---|---|---|---|---|---|---|---|---|---|---|---|---|---|---|---|---|---|---|---|---|---|---|---|---|---|---|---|---|---|---|---|---|---|---|---|---|---|---|---|---|---|---|---|---|---|---|---|---|---|---|---|---|---|---|---|---|---|---|---|---|---|---|---|---|---|---|---|---|---|---|---|---|---|---|---|---|---|---|---|---|---|---|---|
페르시아의 제국 · 페르시아의 군주 | |||||||||||||||||||||||||||||||||||||||||||||||||||||||||||||||||||||||||||||||||||||||||||||
전근대 | |||||||||||||||||||||||||||||||||||||||||||||||||||||||||||||||||||||||||||||||||||||||||||||
| |||||||||||||||||||||||||||||||||||||||||||||||||||||||||||||||||||||||||||||||||||||||||||||
| |||||||||||||||||||||||||||||||||||||||||||||||||||||||||||||||||||||||||||||||||||||||||||||
| |||||||||||||||||||||||||||||||||||||||||||||||||||||||||||||||||||||||||||||||||||||||||||||
- 훌라구(1256년 ~ 1265년)
- 아바카(1265년 ~ 1282년)
- 테쿠데르(1282년 ~ 1284년)
- 아르군 칸(1284년 ~ 1291년)
- 가이하투(1291년 ~ 1295년)
- 바이두(1295년)
- 가잔 (1295년 ~ 1304년)
- 울제이투(1304년 ~ 1316년)
- 아부 사이드(1316년 ~ 1335년)
- 아르파 케운(1335년 ~ 1336년)
일 칸국 멸망 이후 명목상 칸[편집]
- 무사(1336년 ~ 1337년) - 바그다드의 알리 파드샤의 명목상 칸
- 무함마드(1336년 ~ 1338년) - 자라이르 왕조의 명목상 칸
- 사티 벡(1338년 ~ 1339년) - 추판 왕조의 명목상 칸
- 슐레이만(1338년 ~ 1353년) - 추판 왕조의 명목상 칸
- 자한 테무르(1338년 ~ 1340년) - 자라이르 왕조의 명목상 칸
- 아누시라완(1343년 ~ 1356년) - 추판 왕조의 명목상 칸
- 가잔 2세(1356년 ~ 1357년) - 동전에만 이름이 나와 있는 칸, 실존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
- 토가 테무르(1338년 ~ 1353년) - 동 페르시아 지역에서 칸을 자칭함
- 루크만(1353년 ~ 1388년) - 토가 테무르의 아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