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원환 다양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수기하학에서 원환 다양체(圓環多樣體, 영어: toric variety)는 대수적 원환면 조밀하게 포함하여, 그 작용을 다양체 전체에 정의할 수 있는 대수다양체이다.[1][2][3][4][5][6][7][8]

정의

[편집]

가 주어졌다고 하자. 위의 원환 다양체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 -대수다양체
  • 군의 작용 (가역원군)

이들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하여야 한다.

  • 자리스키 조밀 열린집합 이 존재하여, 과 (-대수다양체로서) 동형이며, 에 대한 군 작용이 이 위상 동형 아래 복소수의 곱셈이어야 한다.

부채

[편집]

많은 경우, 복소수체 위의 원환 다양체는 부채(영어: fan [*])라는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강볼록 유리 다면뿔(強볼록有理多面뿔, 영어: strongly convex rational polyhedral cone) 은 다음 성질을 만족하는 부분 집합이다.

  • (강볼록 조건)
  • (스칼라곱에 대한 닫힘) 이고 라면
  • (덧셈에 대한 닫힘) 는 덧셈 모노이드이다. 즉, 라면 이다.
  • (유리 벡터에 의한 생성) 가 되는 유한 집합 이 존재한다.

다면뿔 (영어: face)들은 다음과 같은 꼴의 부분 집합들이다.

  • 실수 선형 변환이고, 이라면, .

부채 는 다음 성질을 만족하는 강볼록 유리 다면뿔들의 집합이다.

  • (면에 대한 닫힘) 이고 의 면 가운데 하나라면, .
  • (교집합에 대한 닫힘) 라면, 의 면 가운데 하나이고, 또한 의 면 가운데 하나이다. (은 모든 다면뿔들의 면이다.)

강볼록 유리 다면뿔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는 다음과 같다. 다면뿔 의 격자점 들은 덧셈에 대하여 유한 생성 모노이드를 이룬다. (여기서 는 다면뿔 의 변의 수이다.) 마찬가지로, 다면뿔 쌍대뿔 또한 유한 생성 모노이드를 이룬다. 쌍대뿔의 기저 를 잡고, 다음과 같은 사상을 정의하자.

다면뿔 에 대응하는 아핀 원환 다앙체는 을 포함하는 최소 대수다양체 (자리스키 위상에 대한 닫힘)이다.

부채 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는 부채에 속한 다면뿔들에 대응하는 아핀 원환 다양체들을 짜깁기하여 얻는다. 여기서, 같은 면(부분뿔)을 공유하는 두 뿔에 대응하는 두 아핀 원환 다양체들의 경우, 면에 대응하는 자리스키 열린집합을 서로 이어붙인다.

다면체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

[편집]

꼭짓점이 격자점 인 볼록 고차 다면체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경우, 각 차원 면에 대응하는, 안쪽을 향하는 수직 벡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각 차원 면은 이 수직 벡터로 생성되는 1차원 뿔, 두 차원 면이 공유하는 차원 변은 두 수직 벡터로 생성되는 2차원 뿔 등등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부채를 이룬다. 볼록 다면체에 대응되는 원환 다양체는 다면체에 대응하는 부채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다.

즉, 다면체 에 대응되는 원환 다양체 에 대하여, 표준적인 전사 함수

가 존재한다. 이 사상에서, 임의의 점 에 대응되는 올은 (만약 차원 면에 속한다면) 의 꼴이다. 의 (유일한) 내부는 의 자리스키 조밀 열린집합 에 해당하며, 따라서 이다. 이는 운동량 사상의 특수한 경우이다.

연산

[편집]

두 원환 다양체의 곱공간 역시 원환 다양체이다.

원환 다양체의 특이점 해소(영어: resolution of singularities) 역시 원환 다양체이며, 이는 원래 원환 다양체에서 일부 뿔들을 더 작은 뿔들로 분할하여 얻어진다.

성질

[편집]

속의 부채 로 정의되는 원환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4]:Theorem 9.1(1)[9]:§4.2

  • 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에 복소수 위상을 부여했을 때, 콤팩트 공간이다.
  • 이다. 즉, 부채에 속하는 뿔들의 합집합은 전체이다.

속의 부채 로 정의되는 원환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4]:Theorem 9.1(2)

  • 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에 복소수 위상을 부여했을 때, 매끄러운 다양체이다.
  • 모든 뿔 에 대하여, 은 유한 생성 자유 가환 모노이드이다.

속의 부채 로 정의되는 원환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4]:Theorem 9.1(2)

속의 부채 로 정의되는 원환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9]:§4.3

  • 에 대응되는 원환 다양체는 칼라비-야우 다양체이다 (즉, 표준 인자가 0이다).
  • 에 속하는 모든 1차원 뿔들을 생성하는 정수 계수 벡터들 이 모두 하나의 차원 초평면 위에 존재하게 잡을 수 있다. 즉, 실수 선형 변환 가 존재한다.

특히, 만약 이라면, 칼라비-야우 원환 다양체의 복소수 위상은 콤팩트 공간일 수 없다.[9]:§4.3

[편집]

편의상 유클리드 공간 의 표준 기저를 으로 표기하자. 여기서 는 임의의 이다.

원환면

[편집]

은 자명하게 원환 다양체를 이룬다. 이는 다음과 같은 0차원 뿔에 대응된다.

쌍대뿔이며, 이는

에 의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아핀 원환 다양체는

이다.

아핀 공간

[편집]

다음과 같은, 하나의 뿔만으로 구성되는 부채를 생각하자.[4]:Example 5.1

즉, 이는 의 “2n분면”이다.

이는 스스로의 쌍대뿔과 같으며, 표준 기저

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는 차원 아핀 공간

이다.

예를 들어, 아핀 평면 는 다음과 같은 부채에 대응된다.

사영 공간

[편집]

모든 사영 공간은 원환 다양체이며, 차원 사영 공간에 대응되는 다면체는 차원 단체이다.[6] 구체적으로, 의 표준 기저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을 정의하고, 다음과 같은 개의 뿔들로 생성되는 부채를 생각하자.[4]:Example 8.4

즉, 이 부채는 개의 진부분 집합에 대응되는 뿔들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차원의 뿔들은 개가 있으며, 이는 사영 공간의 크기 의 아핀 열린 덮개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차원 뿔의 쌍대뿔들은 다음과 같다.

  • 으로 생성된다.
    • 이에 대응되는 모노이드 대수이다.
  • 에 대하여, 로 생성된다. (은 이 항만을 생략하라는 뜻이다.)
    • 이에 대응되는 모노이드 대수이다.

즉, 사영 공간동차 좌표

이라고 한다면, 이는

에 해당한다. 각 아핀 공간 에 대응되며, 이들을 짜깁기하면 사영 공간 을 얻는다.

사영 직선

[편집]

다음과 같은 속의 부채를 생각하자.[4]:Example 8.3

즉, 그 뿔들은 다음과 같다.

이 경우, 의 쌍대뿔은 자신이며, 그 모노이드 대수

이다. 마찬가지로 의 경우

이다. 또한, 모노이드 대수로랑 다항식환

이다. 환 준동형

에 대응하는 자리스키 열린집합아핀 공간 의 부분 집합 이다. 따라서, 이는 를 이어붙인 대수다양체, 즉 사영 직선 을 정의한다.

사영 평면

[편집]

예를 들어, 사영 평면 는 다음과 같은 부채에 대응된다.

이 부채는 다음과 같은 직각 이등변 삼각형에 대응된다.

부채로 정의되는 사영 평면의 구체적 아핀 덮개

구체적으로, 이는 세 개의 2차원 뿔로 구성되므로,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아핀 열린집합으로 덮여진다. 이 뿔은 (x축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다음과 같다.

  • 뿔 1: 이는 (1,0)과 (0,1)로 생성되며, 스스로의 쌍대뿔이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에 해당한다.
    • 뿔 1과 뿔 2 사이의 1차원 뿔의 쌍대뿔은 (1,0), (−1,0), (0,1)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에 해당한다.
  • 뿔 2: 이 뿔의 쌍대뿔은 (1,−1)과 (−1,0)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에 해당한다.
    • 뿔 2와 뿔 3 사이의 1차원 뿔의 쌍대뿔은 (−1,0), (1,−1), (−1,1)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에 해당한다.
  • 뿔 3: 이 뿔의 쌍대뿔은 (0,−1)과 (1,−1)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에 해당한다.
    • 뿔 3과 뿔 1 사이의 1차원 뿔의 쌍대뿔은 (1,0), (0,1), (0,−1)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에 해당한다.
      • 뿔 1〜3 사이의 0차원 뿔의 쌍대뿔은 (0,1), (0,−1), (1,0), (−1,0)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에 해당한다.

여기서 아랫첨자는 해당 원소로 생성되는 곱셈 모노이드에 대한 국소화이다. 이는 아핀 스킴 사이의 열린 몰입을 정의하며, 이는 아핀 열린 덮개의 짜깁기 사상이다.

코니폴드

[편집]

코니폴드는 다음과 같은 속의 3차원 뿔에 의하여 정의되는 아핀 원환 다양체이다.[9]:§4.1, (54)

이를 정의하는 네 벡터들은 모두 평면 위에 속하므로, 이는 칼라비-야우 다양체이다.

이 뿔에 대응되는 쌍대뿔은

이다. 따라서, 이를 생성하는 격자점은

(1,−1,0), (1,0,−1), (0,0,1), (0,1,0)

이다. 이들 사이의 유일한 관계는

(1,−1,0) + (0,1,0) = (1,0,−1) + (0,0,1)

이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아핀 스킴(코니폴드)은

이다.[9]:§2.1, (15) 표수가 2가 아니라면,

를 정의하여, 이를

로 적을 수 있다.

오비폴드

[편집]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오비폴드 를 나타낸다.[9]:Figure 2(a) (2차 순환군 와 같이 작용한다.)

이 2차원 뿔 는 스스로의 쌍대뿔이며, 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므로, 이는 아핀 대수다양체

를 정의한다. 기하학적으로, 이는 2차 초곡면인 뿔이다.

사실, 아핀 공간 위에 2차 순환군의 작용

의 작용에 대한 몫은 기하 불변량 이론 몫으로서 다음과 같은 가환환스펙트럼이다.

여기서 작용에 대하여 불변인 원소로 구성된 부분환이다. 이는

로 생성되며, 이 사이의 관계는

밖에 없다. 따라서, 이는 스킴의 동형 사상

을 갖는다.

델 페초 곡면

[편집]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델 페초 곡면 을 나타낸다.[9]:Figure 2(b)

구체적으로, 이는 사영 평면에서, 세 2차원 뿔 가운데 하나를 세분한 것이다. 이는 이 점에서의 부풀리기에 해당한다.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델 페초 곡면 을 나타낸다.[9]:Figure 2(b)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델 페초 곡면 을 나타낸다.

이것이 두 사영 직선임은 부채로부터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응용

[편집]

원환 다양체의 구성은 끈 이론에서 콤팩트화에 사용되는 칼라비-야우 다양체를 구성할 때 자주 사용된다.[10][9] 특히, 거울 대칭은 원환 다양체의 부채에 대한 연산으로 깔끔하게 표현될 수 있다.

참고 문헌

[편집]
  1. Oda, Tadao (1988). 《Convex bodies and algebraic geometry: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toric varieties》. 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 (영어) 15. Springer-Verlag. ISBN 978-3-642-72549-4. MR 922894. 
  2. Cox, David A.; Little, John B.; Schenck, Henry K. (2011). 《Toric varieties》. Graduate Studies in Mathematics (영어) 124.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4819-7. MR 2810322. Zbl 1223.14001. 
  3. Fulton, William (1993). 《Introduction to toric varieties》. Annals of Mathematics Studies (영어) 131.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0049-7. MR 1234037. 
  4. Cox, David A. (2003). 〈What is a toric variety?〉 (PDF). 《Topics in algebraic geometry and geometric modeling: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algebraic geometry and geometric modeling, July 29 – August 2, 2002, Vilnius, Lithuania》. Contemporary Mathematics (영어) 334.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3–223쪽. ISBN 0-8218-3420-7. MR 2039974. Zbl 1038.14021. 2012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0일에 확인함. 
  5. Danilov, V. I. (1978). “The geometry of toric varieties” (PDF). 《Russian Mathematical Surveys》 (영어) 33 (2): 97–134. doi:10.1070/RM1978v033n02ABEH002305. ISSN 0036-0279. MR 495499. Zbl 0425.14013. 2014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0일에 확인함. 
  6. Miller, Ezra (2008년 5월). “What is … a toric variety?” (PDF).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5 (5): 586–587. ISSN 0002-9920. MR 2404030. 
  7. Miller, Ezra; Sturmfels, Bernd (2005). 〈Toric varieties〉. 《Combinatorial commutative algebra》.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227. Springer-Verlag. 191–208쪽. doi:10.1007/0-387-27103-1_10. ISBN 978-0-387-22356-8. ISSN 0072-5285. 
  8. Kempf, G.; Knudsen, Finn Faye; Mumford, David; Saint-Donat, B. (1973). 《Toroidal embeddings Ⅰ》.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영어) 339. Springer-Verlag. doi:10.1007/BFb0070318. MR 0335518. 
  9. Closset, Cyril (2009). “Toric geometry and local Calabi–Yau varieties: An introduction to toric geometry (for physicists)” (영어). arXiv:0901.3695. Bibcode:2009arXiv0901.3695C. 
  10. Reffert, Susanne (2007). “The geometer’s toolkit to string compactifications” (영어). arXiv:0706.1310. Bibcode:2007arXiv0706.1310R.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