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 에서 원환 다양체 (圓環多樣體, 영어 : toric variety )는 대수적 원환면
(
K
×
)
n
{\displaystyle (K^{\times })^{n}}
을 조밀 하게 포함하여, 그 작용을 다양체 전체에 정의할 수 있는 대수다양체 이다.[ 1] [ 2] [ 3] [ 4] [ 5] [ 6] [ 7] [ 8]
체
K
{\displaystyle K}
가 주어졌다고 하자.
K
{\displaystyle K}
위의 원환 다양체
(
M
,
ϕ
)
{\displaystyle (M,\phi )}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K
{\displaystyle K}
-대수다양체
M
{\displaystyle M}
군의 작용
ϕ
:
(
K
×
)
n
→
Aut
(
M
)
{\displaystyle \phi \colon (K^{\times })^{n}\to \operatorname {Aut} (M)}
(
K
×
{\displaystyle K^{\times }}
는
K
{\displaystyle K}
의 가역원군 )
이들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하여야 한다.
자리스키 조밀 열린집합
T
⊆
M
{\displaystyle T\subseteq M}
이 존재하여,
T
{\displaystyle T}
가
(
K
×
)
n
{\displaystyle (K^{\times })^{n}}
과 (
K
{\displaystyle K}
-대수다양체 로서) 동형이며,
T
{\displaystyle T}
에 대한 군 작용이 이 위상 동형 아래 복소수의 곱셈이어야 한다.
많은 경우, 복소수체 위의 원환 다양체는 부채 (영어 : fan 팬[* ] )라는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강볼록 유리 다면뿔 (強볼록有理多面뿔, 영어 : strongly convex rational polyhedral cone )
σ
⊆
Q
n
{\displaystyle \sigma \subseteq \mathbb {Q} ^{n}}
은 다음 성질을 만족하는 부분 집합이다.
(강볼록 조건)
σ
∩
−
σ
=
{
0
}
{\displaystyle \sigma \cap -\sigma =\{0\}}
(스칼라곱에 대한 닫힘)
r
∈
[
0
,
∞
)
{\displaystyle r\in [0,\infty )}
이고
v
∈
σ
{\displaystyle v\in \sigma }
라면
r
v
∈
σ
{\displaystyle rv\in \sigma }
(덧셈에 대한 닫힘)
σ
{\displaystyle \sigma }
는 덧셈 모노이드 이다. 즉,
u
,
v
∈
σ
{\displaystyle u,v\in \sigma }
라면
u
+
v
∈
σ
{\displaystyle u+v\in \sigma }
이다.
(유리 벡터에 의한 생성)
σ
=
Span
[
0
,
∞
)
B
{\displaystyle \sigma =\operatorname {Span} _{[0,\infty )}B}
가 되는 유한 집합
B
⊆
Z
n
{\displaystyle B\subseteq \mathbb {Z} ^{n}}
이 존재한다.
다면뿔
σ
{\displaystyle \sigma }
의 면 (영어 : face )들은 다음과 같은 꼴의 부분 집합 들이다.
ϕ
:
Q
n
→
Q
{\displaystyle \phi \colon \mathbb {Q} ^{n}\to \mathbb {Q} }
가 실수 선형 변환 이고,
ϕ
↾
σ
≥
0
{\displaystyle \phi \upharpoonright \sigma \geq 0}
이라면,
σ
∩
(
ker
ϕ
)
{\displaystyle \sigma \cap (\ker \phi )}
.
부채
Σ
{\displaystyle \Sigma }
는 다음 성질을 만족하는 강볼록 유리 다면뿔들의 집합이다.
(면에 대한 닫힘)
σ
∈
Σ
{\displaystyle \sigma \in \Sigma }
이고
σ
′
{\displaystyle \sigma '}
가
σ
{\displaystyle \sigma }
의 면 가운데 하나라면,
σ
′
∈
Σ
{\displaystyle \sigma '\in \Sigma }
.
(교집합에 대한 닫힘)
σ
,
σ
′
∈
Σ
{\displaystyle \sigma ,\sigma '\in \Sigma }
라면,
σ
∩
σ
′
{\displaystyle \sigma \cap \sigma '}
는
σ
{\displaystyle \sigma }
의 면 가운데 하나이고, 또한
σ
′
{\displaystyle \sigma '}
의 면 가운데 하나이다. (
{
0
}
{\displaystyle \{0\}}
은 모든 다면뿔들의 면이다.)
강볼록 유리 다면뿔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는 다음과 같다. 다면뿔
σ
{\displaystyle \sigma }
의 격자점
σ
∩
Z
k
{\displaystyle \sigma \cap \mathbb {Z} ^{k}}
들은 덧셈에 대하여 유한 생성 모노이드 를 이룬다. (여기서
k
{\displaystyle k}
는 다면뿔
σ
{\displaystyle \sigma }
의 변의 수이다.) 마찬가지로, 다면뿔
σ
{\displaystyle \sigma }
의 쌍대뿔
σ
∨
=
{
v
:
⟨
u
,
v
⟩
≥
0
∀
u
∈
σ
}
⊂
K
n
{\displaystyle \sigma ^{\vee }=\{v\colon \langle u,v\rangle \geq 0\forall u\in \sigma \}\subset K^{n}}
또한 유한 생성 모노이드 를 이룬다. 쌍대뿔의 기저
{
v
1
,
…
,
v
α
,
…
,
v
k
}
⊂
K
n
{\displaystyle \{\mathbf {v} _{1},\dots ,\mathbf {v} _{\alpha },\dots ,\mathbf {v} _{k}\}\subset K^{n}}
를 잡고, 다음과 같은 사상을 정의하자.
ϕ
:
(
K
∗
)
n
→
K
k
{\displaystyle \phi \colon (K^{*})^{n}\to K^{k}}
ϕ
:
(
exp
(
i
z
1
)
,
…
,
exp
(
i
z
i
)
,
…
,
exp
(
i
z
n
)
)
↦
(
exp
(
i
∑
j
z
n
v
1
(
j
)
)
,
…
,
exp
(
i
∑
j
z
j
v
α
(
j
)
)
,
…
,
exp
(
i
∑
j
z
j
v
k
(
j
)
)
)
{\displaystyle \phi \colon (\exp(iz_{1}),\dots ,\exp(iz_{i}),\dots ,\exp(iz_{n}))\mapsto \left(\exp(i\sum _{j}z_{n}v_{1}^{(j)}),\dots ,\exp(i\sum _{j}z_{j}v_{\alpha }^{(j)}),\dots ,\exp(i\sum _{j}z_{j}v_{k}^{(j)})\right)}
다면뿔
σ
{\displaystyle \sigma }
에 대응하는 아핀 원환 다앙체는
ϕ
{\displaystyle \phi }
의 상 을 포함하는 최소 대수다양체 (자리스키 위상 에 대한 닫힘 )이다.
부채
Σ
{\displaystyle \Sigma }
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는 부채에 속한 다면뿔들에 대응하는 아핀 원환 다양체들을 짜깁기하여 얻는다. 여기서, 같은 면(부분뿔)을 공유하는 두 뿔에 대응하는 두 아핀 원환 다양체들의 경우, 면에 대응하는 자리스키 열린집합 을 서로 이어붙인다.
꼭짓점이 격자점
Z
n
{\displaystyle \mathbb {Z} ^{n}}
인 볼록 고차 다면체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경우, 각
(
n
−
1
)
{\displaystyle (n-1)}
차원 면에 대응하는, 안쪽을 향하는 수직 벡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각
(
n
−
1
)
{\displaystyle (n-1)}
차원 면은 이 수직 벡터로 생성되는 1차원 뿔, 두
(
n
−
1
)
{\displaystyle (n-1)}
차원 면이 공유하는
(
n
−
2
)
{\displaystyle (n-2)}
차원 변은 두 수직 벡터로 생성되는 2차원 뿔 등등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부채를 이룬다. 볼록 다면체에 대응되는 원환 다양체는 다면체에 대응하는 부채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다.
즉, 다면체
P
{\displaystyle P}
에 대응되는 원환 다양체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표준적인 전사 함수
X
↠
P
{\displaystyle X\twoheadrightarrow P}
가 존재한다. 이 사상에서, 임의의 점
x
∈
P
{\displaystyle x\in P}
에 대응되는 올은 (만약
x
{\displaystyle x}
가
k
{\displaystyle k}
차원 면에 속한다면)
(
K
×
)
k
{\displaystyle (K^{\times })^{k}}
의 꼴이다.
P
{\displaystyle P}
의 (유일한) 내부는
X
{\displaystyle X}
의 자리스키 조밀 열린집합
(
K
×
)
dim
X
{\displaystyle (K^{\times })^{\dim X}}
에 해당하며, 따라서
P
⊆
Q
dim
X
{\displaystyle P\subseteq \mathbb {Q} ^{\dim X}}
이다. 이는 운동량 사상 의 특수한 경우이다.
두 원환 다양체의 곱공간 역시 원환 다양체이다.
원환 다양체의 특이점 해소(영어 : resolution of singularities ) 역시 원환 다양체이며, 이는 원래 원환 다양체에서 일부 뿔들을 더 작은 뿔들로 분할하여 얻어진다.
Q
n
{\displaystyle \mathbb {Q} ^{n}}
속의 부채
Σ
{\displaystyle \Sigma }
로 정의되는 원환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4] :Theorem 9.1(1) [ 9] :§4.2
Σ
{\displaystyle \Sigma }
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에 복소수 위상을 부여했을 때, 콤팩트 공간 이다.
Q
n
=
⋃
Σ
{\displaystyle \textstyle \mathbb {Q} ^{n}=\bigcup \Sigma }
이다. 즉, 부채에 속하는 뿔들의 합집합은
Q
n
{\displaystyle \mathbb {Q} ^{n}}
전체이다.
Q
n
{\displaystyle \mathbb {Q} ^{n}}
속의 부채
Σ
{\displaystyle \Sigma }
로 정의되는 원환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4] :Theorem 9.1(2)
Σ
{\displaystyle \Sigma }
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에 복소수 위상을 부여했을 때, 매끄러운 다양체 이다.
모든 뿔
σ
{\displaystyle \sigma }
에 대하여,
σ
∩
Z
n
{\displaystyle \sigma \cap \mathbb {Z} ^{n}}
은 유한 생성 자유 가환 모노이드 이다.
Q
n
{\displaystyle \mathbb {Q} ^{n}}
속의 부채
Σ
{\displaystyle \Sigma }
로 정의되는 원환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4] :Theorem 9.1(2)
Σ
{\displaystyle \Sigma }
에 대응되는 원환 다양체는 사영 대수다양체 이다.
Σ
{\displaystyle \Sigma }
는
Z
n
{\displaystyle \mathbb {Z} ^{n}}
의 유한 부분 집합 의 볼록 껍질 에 대응되는 부채이다.
Q
n
{\displaystyle \mathbb {Q} ^{n}}
속의 부채
Σ
{\displaystyle \Sigma }
로 정의되는 원환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9] :§4.3
Σ
{\displaystyle \Sigma }
에 대응되는 원환 다양체는 칼라비-야우 다양체 이다 (즉, 표준 인자 가 0이다).
Σ
{\displaystyle \Sigma }
에 속하는 모든 1차원 뿔들을 생성하는 정수 계수 벡터들
(
v
i
)
i
∈
I
{\displaystyle (v_{i})_{i\in I}}
이 모두 하나의
n
−
1
{\displaystyle n-1}
차원 초평면 위에 존재하게 잡을 수 있다. 즉,
ϕ
(
v
i
)
=
1
∀
i
∈
I
{\displaystyle \phi (v_{i})=1\,\forall i\in I}
인 실수 선형 변환
ϕ
:
Q
n
→
Q
{\displaystyle \phi \colon \mathbb {Q} ^{n}\to \mathbb {Q} }
가 존재한다.
특히, 만약
n
≥
1
{\displaystyle n\geq 1}
이라면, 칼라비-야우 원환 다양체의 복소수 위상은 콤팩트 공간 일 수 없다.[ 9] :§4.3
편의상 유클리드 공간
Q
n
{\displaystyle \mathbb {Q} ^{n}}
의 표준 기저를
(
e
i
)
i
=
1
,
…
,
n
{\displaystyle (\mathrm {e} _{i})_{i=1,\dotsc ,n}}
으로 표기하자. 여기서
K
{\displaystyle K}
는 임의의 체 이다.
(
K
×
)
n
{\displaystyle (K^{\times })^{n}}
은 자명하게 원환 다양체를 이룬다. 이는 다음과 같은 0차원 뿔에 대응된다.
Σ
=
{
σ
0
}
{\displaystyle \Sigma =\{\sigma _{0}\}}
σ
0
=
{
0
}
⊆
Q
n
{\displaystyle \sigma _{0}=\{0\}\subseteq \mathbb {Q} ^{n}}
σ
0
{\displaystyle \sigma _{0}}
의 쌍대뿔 은
σ
0
∨
=
Q
n
{\displaystyle \sigma _{0}^{\vee }=\mathbb {Q} ^{n}}
이며, 이는
{
±
e
1
,
…
,
±
e
n
}
{\displaystyle \{\pm \mathrm {e} _{1},\dotsc ,\pm \mathrm {e} _{n}\}}
에 의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아핀 원환 다양체는
Spec
K
[
σ
0
∨
∩
Z
n
]
=
Spec
K
[
t
1
,
t
1
−
1
,
t
2
,
t
2
−
1
,
…
,
t
n
,
t
n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sigma _{0}^{\vee }\cap \mathbb {Z} ^{n}]=\operatorname {Spec} K[t_{1},t_{1}^{-1},t_{2},t_{2}^{-1},\dotsc ,t_{n},t_{n}^{-1}]}
이다.
다음과 같은, 하나의 뿔만으로 구성되는 부채를 생각하자.[ 4] :Example 5.1
σ
=
[
0
,
∞
)
×
⋯
×
[
0
,
∞
)
⊆
Q
n
{\displaystyle \sigma =[0,\infty )\times \dotsb \times [0,\infty )\subseteq \mathbb {Q} ^{n}}
즉, 이는
Q
n
{\displaystyle \mathbb {Q} ^{n}}
의 “2n 분면”이다.
이는 스스로의 쌍대뿔과 같으며, 표준 기저
(
e
1
,
e
2
,
…
,
e
n
)
{\displaystyle (\mathrm {e} _{1},\mathrm {e} _{2},\dotsc ,\mathrm {e} _{n})}
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는
n
{\displaystyle n}
차원 아핀 공간
Spec
K
[
σ
∨
∩
Z
n
]
=
Spec
K
[
t
1
,
…
,
t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sigma ^{\vee }\cap \mathbb {Z} ^{n}]=\operatorname {Spec} K[t_{1},\dotsc ,t_{n}]}
이다.
예를 들어, 아핀 평면
A
K
2
{\displaystyle \mathbb {A} _{K}^{2}}
는 다음과 같은 부채에 대응된다.
↑
∙
→
{\displaystyle {\begin{matrix}\uparrow \\\bullet &\rightarrow \end{matrix}}}
모든 사영 공간 은 원환 다양체이며,
n
{\displaystyle n}
차원 사영 공간 에 대응되는 다면체는
n
{\displaystyle n}
차원 단체 이다.[ 6]
구체적으로,
Q
n
{\displaystyle \mathbb {Q} ^{n}}
의 표준 기저
(
e
1
,
…
,
e
n
)
{\displaystyle (e_{1},\dotsc ,e_{n})}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e
0
=
−
(
e
1
+
⋯
+
e
n
)
{\displaystyle \mathrm {e} _{0}=-(\mathrm {e} _{1}+\dotsb +\mathrm {e} _{n})}
을 정의하고, 다음과 같은
n
+
1
{\displaystyle n+1}
개의 뿔들로 생성되는 부채를 생각하자.[ 4] :Example 8.4
σ
i
=
Span
K
(
{
e
0
,
e
1
,
…
,
e
n
}
∖
{
e
i
}
)
{\displaystyle \sigma _{i}=\operatorname {Span} _{K}\left(\{\mathrm {e} _{0},\mathrm {e} _{1},\dotsc ,\mathrm {e} _{n}\}\setminus \{\mathrm {e} _{i}\}\right)}
즉, 이 부채는
{
e
0
,
e
1
,
…
,
e
n
}
{\displaystyle \{\mathrm {e} _{0},\mathrm {e} _{1},\dotsc ,\mathrm {e} _{n}\}}
의
2
n
+
1
−
1
{\displaystyle 2^{n+1}-1}
개의 진부분 집합 에 대응되는 뿔들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n
{\displaystyle n}
차원의 뿔들은
n
+
1
{\displaystyle n+1}
개가 있으며, 이는 사영 공간 의 크기
n
+
1
{\displaystyle n+1}
의 아핀 열린 덮개 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n
{\displaystyle n}
차원 뿔의 쌍대뿔들은 다음과 같다.
σ
0
∨
{\displaystyle \sigma _{0}^{\vee }}
는
{
e
1
,
…
,
e
n
}
{\displaystyle \{\mathrm {e} _{1},\dotsc ,\mathrm {e} _{n}\}}
으로 생성된다.
이에 대응되는 모노이드 대수 는
K
[
x
1
,
x
2
,
…
,
x
n
]
{\displaystyle K[x_{1},x_{2},\dotsc ,x_{n}]}
이다.
i
∈
{
1
,
…
,
n
}
{\displaystyle i\in \{1,\dotsc ,n\}}
에 대하여,
σ
i
∨
{\displaystyle \sigma _{i}^{\vee }}
는
{
e
1
−
e
i
,
…
,
e
i
−
e
i
^
,
…
,
e
n
−
e
i
,
−
e
i
}
{\displaystyle \{\mathrm {e} _{1}-\mathrm {e} _{i},\dotsc ,{\widehat {\mathrm {e} _{i}-\mathrm {e} _{i}}},\dotsc ,\mathrm {e} _{n}-\mathrm {e} _{i},-\mathrm {e} _{i}\}}
로 생성된다. (
e
^
{\displaystyle {\hat {\color {White}e}}}
은 이 항만을 생략하라는 뜻이다.)
이에 대응되는 모노이드 대수 는
K
[
x
1
x
i
−
1
,
x
2
x
i
−
1
,
…
,
x
i
x
i
−
1
^
,
…
,
x
n
x
i
−
1
,
x
i
−
1
]
{\displaystyle K[x_{1}x_{i}^{-1},x_{2}x_{i}^{-1},\dotsc ,{\widehat {x_{i}x_{i}^{-1}}},\dotsc ,x_{n}x_{i}^{-1},x_{i}^{-1}]}
이다.
즉, 사영 공간 의 동차 좌표 를
[
y
0
:
y
1
:
⋯
:
y
n
]
{\displaystyle [y_{0}:y_{1}:\dotsb :y_{n}]}
이라고 한다면, 이는
(
x
1
,
…
,
x
n
)
↦
[
1
:
x
1
:
⋯
:
x
n
]
{\displaystyle (x_{1},\dotsc ,x_{n})\mapsto [1:x_{1}:\dotsb :x_{n}]}
x
i
=
y
i
/
y
0
{\displaystyle x_{i}=y_{i}/y_{0}}
에 해당한다. 각
σ
i
{\displaystyle \sigma _{i}}
는 아핀 공간
A
K
n
{\displaystyle \mathbb {A} _{K}^{n}}
에 대응되며, 이들을 짜깁기하면 사영 공간
P
K
n
{\displaystyle \mathbb {P} _{K}^{n}}
을 얻는다.
다음과 같은
Q
1
{\displaystyle \mathbb {Q} ^{1}}
속의 부채를 생각하자.[ 4] :Example 8.3
←
∙
→
{\displaystyle \leftarrow \bullet \rightarrow }
즉, 그 뿔들은 다음과 같다.
σ
1
=
[
0
,
∞
)
⊊
Q
{\displaystyle \sigma _{1}=[0,\infty )\subsetneq \mathbb {Q} }
σ
2
=
(
−
∞
,
0
]
⊊
Q
{\displaystyle \sigma _{2}=(-\infty ,0]\subsetneq \mathbb {Q} }
σ
0
=
C
1
∩
C
2
=
{
0
}
⊊
Q
{\displaystyle \sigma _{0}=C_{1}\cap C_{2}=\{0\}\subsetneq \mathbb {Q} }
이 경우,
σ
1
{\displaystyle \sigma _{1}}
의 쌍대뿔은
σ
1
∨
=
σ
1
=
[
0
,
∞
)
{\displaystyle \sigma _{1}^{\vee }=\sigma _{1}=[0,\infty )}
자신이며, 그 모노이드 대수 는
K
[
σ
1
∨
∩
Z
]
=
K
[
t
]
{\displaystyle K[\sigma _{1}^{\vee }\cap \mathbb {Z} ]=K[t]}
이다. 마찬가지로
σ
2
=
σ
2
∨
{\displaystyle \sigma _{2}=\sigma _{2}^{\vee }}
의 경우
K
[
σ
2
∨
∩
Z
]
=
K
[
t
−
1
]
{\displaystyle K[\sigma _{2}^{\vee }\cap \mathbb {Z} ]=K[t^{-1}]}
이다. 또한,
σ
0
∨
=
Q
{\displaystyle \sigma _{0}^{\vee }=\mathbb {Q} }
의 모노이드 대수 는 로랑 다항식환
K
[
σ
0
∨
∩
Z
]
=
K
[
t
,
t
−
1
]
{\displaystyle K[\sigma _{0}^{\vee }\cap \mathbb {Z} ]=K[t,t^{-1}]}
이다. 환 준동형
K
[
t
]
→
K
[
t
,
t
−
1
]
{\displaystyle K[t]\to K[t,t^{-1}]}
에 대응하는 자리스키 열린집합 은 아핀 공간
A
K
1
{\displaystyle \mathbb {A} _{K}^{1}}
의 부분 집합
{
z
∈
K
:
z
≠
0
}
{\displaystyle \{z\in K\colon z\neq 0\}}
이다. 따라서, 이는
K
[
t
]
{\displaystyle K[t]}
와
K
[
t
−
1
]
{\displaystyle K[t^{-1}]}
를 이어붙인 대수다양체, 즉 사영 직선
P
K
1
{\displaystyle \mathbb {P} _{K}^{1}}
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사영 평면
P
K
2
{\displaystyle \mathbb {P} _{K}^{2}}
는 다음과 같은 부채에 대응된다.
↑
∙
→
↙
{\displaystyle {\begin{matrix}&\uparrow \\&\bullet &\rightarrow \\\swarrow \end{matrix}}}
이 부채는 다음과 같은 직각 이등변 삼각형에 대응된다.
부채로 정의되는 사영 평면의 구체적 아핀 덮개
구체적으로, 이는 세 개의 2차원 뿔로 구성되므로,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아핀 열린집합 으로 덮여진다. 이 뿔은 (x 축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다음과 같다.
뿔 1: 이는 (1,0)과 (0,1)로 생성되며, 스스로의 쌍대뿔이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Spec
K
[
x
,
y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x,y]}
에 해당한다.
뿔 1과 뿔 2 사이의 1차원 뿔의 쌍대뿔은 (1,0), (−1,0), (0,1)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Spec
K
[
x
,
x
−
1
,
y
]
=
Spec
K
[
x
,
y
]
x
=
Spec
K
[
x
−
1
,
x
−
1
y
]
x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x,x^{-1},y]=\operatorname {Spec} K[x,y]_{x}=\operatorname {Spec} K[x^{-1},x^{-1}y]_{x^{-1}}}
에 해당한다.
뿔 2: 이 뿔의 쌍대뿔은 (1,−1)과 (−1,0)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Spec
K
[
x
−
1
,
x
−
1
y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x^{-1},x^{-1}y]}
에 해당한다.
뿔 2와 뿔 3 사이의 1차원 뿔의 쌍대뿔은 (−1,0), (1,−1), (−1,1)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Spec
K
[
x
−
1
,
x
y
−
1
,
x
−
1
y
]
=
Spec
K
[
x
−
1
,
x
−
1
y
]
x
−
1
y
=
Spec
K
[
y
−
1
,
x
y
−
1
]
x
y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x^{-1},xy^{-1},x^{-1}y]=\operatorname {Spec} K[x^{-1},x^{-1}y]_{x^{-1}y}=\operatorname {Spec} K[y^{-1},xy^{-1}]_{xy^{-1}}}
에 해당한다.
뿔 3: 이 뿔의 쌍대뿔은 (0,−1)과 (1,−1)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Spec
K
[
y
−
1
,
x
y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y^{-1},xy^{-1}]}
에 해당한다.
뿔 3과 뿔 1 사이의 1차원 뿔의 쌍대뿔은 (1,0), (0,1), (0,−1)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Spec
K
[
x
,
y
,
y
−
1
]
=
Spec
K
[
y
−
1
,
x
y
−
1
]
y
−
1
=
Spec
K
[
x
,
y
]
y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x,y,y^{-1}]=\operatorname {Spec} K[y^{-1},xy^{-1}]_{y^{-1}}=\operatorname {Spec} K[x,y]_{y}}
에 해당한다.
뿔 1〜3 사이의 0차원 뿔의 쌍대뿔은 (0,1), (0,−1), (1,0), (−1,0)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는 아핀 스킴
Spec
K
[
x
,
x
−
1
,
y
,
y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x,x^{-1},y,y^{-1}]}
에 해당한다.
여기서 아랫첨자는 해당 원소로 생성되는 곱셈 모노이드 에 대한 국소화 이다. 이는 아핀 스킴 사이의 열린 몰입 을 정의하며, 이는 아핀 열린 덮개의 짜깁기 사상이다.
코니폴드 는 다음과 같은
Q
3
{\displaystyle \mathbb {Q} ^{3}}
속의 3차원 뿔에 의하여 정의되는 아핀 원환 다양체이다.[ 9] :§4.1, (54)
σ
=
Span
[
0
,
∞
)
{
e
1
,
e
1
+
e
2
,
e
1
+
e
3
,
e
1
+
e
2
+
e
3
}
{\displaystyle \sigma =\operatorname {Span} _{[0,\infty )}\left\{\mathrm {e} _{1},\mathrm {e} _{1}+\mathrm {e} _{2},\mathrm {e} _{1}+\mathrm {e} _{3},\mathrm {e} _{1}+\mathrm {e} _{2}+\mathrm {e} _{3}\right\}}
이를 정의하는 네 벡터들은 모두 평면
{
v
∈
Q
3
:
⟨
e
1
,
v
⟩
=
1
}
{\displaystyle \{v\in \mathbb {Q} ^{3}\colon \langle \mathrm {e} _{1},v\rangle =1\}}
위에 속하므로, 이는 칼라비-야우 다양체 이다.
이 뿔에 대응되는 쌍대뿔은
σ
∨
=
{
(
a
,
b
,
c
)
∈
Q
3
:
min
{
a
,
a
+
b
,
a
+
c
,
a
+
b
+
c
}
≥
0
}
{\displaystyle \sigma ^{\vee }=\{(a,b,c)\in \mathbb {Q} ^{3}\colon \min\{a,a+b,a+c,a+b+c\}\geq 0\}}
이다. 따라서, 이를 생성하는 격자점은
(1,−1,0), (1,0,−1), (0,0,1), (0,1,0)
이다. 이들 사이의 유일한 관계는
(1,−1,0) + (0,1,0) = (1,0,−1) + (0,0,1)
이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아핀 스킴(코니폴드 )은
K
[
x
,
y
,
z
,
w
]
/
(
x
y
−
z
w
)
{\displaystyle K[x,y,z,w]/(xy-zw)}
이다.[ 9] :§2.1, (15)
K
{\displaystyle K}
의 표수 가 2가 아니라면,
X
=
(
x
/
2
+
y
/
2
)
{\displaystyle X=(x/2+y/2)}
Y
=
(
x
/
2
−
y
/
2
)
{\displaystyle Y=(x/2-y/2)}
Z
=
(
z
/
2
+
w
/
2
)
{\displaystyle Z=(z/2+w/2)}
W
=
(
z
/
2
−
w
/
2
)
{\displaystyle W=(z/2-w/2)}
를 정의하여, 이를
K
[
X
,
Y
,
Z
,
W
]
/
(
X
2
−
Y
2
−
Z
2
+
W
2
)
{\displaystyle K[X,Y,Z,W]/(X^{2}-Y^{2}-Z^{2}+W^{2})}
로 적을 수 있다.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오비폴드
K
2
/
Cyc
(
2
)
{\displaystyle K^{2}/\operatorname {Cyc} (2)}
를 나타낸다.[ 9] :Figure 2(a) (2차 순환군
Cyc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Cyc} (2)}
은
(
u
,
v
)
↦
(
−
u
,
−
v
)
{\displaystyle (u,v)\mapsto (-u,-v)}
와 같이 작용한다.)
↗
∙
↘
{\displaystyle {\begin{matrix}&\nearrow \\\bullet \\&\searrow \end{matrix}}}
이 2차원 뿔
σ
=
σ
∨
{\displaystyle \sigma =\sigma ^{\vee }}
는 스스로의 쌍대뿔 이며,
(
1
,
1
)
{\displaystyle (1,1)}
과
(
1
,
−
1
)
{\displaystyle (1,-1)}
과
(
1
,
0
)
{\displaystyle (1,0)}
에 의하여 생성된다.
(
1
,
1
)
+
(
1
,
−
1
)
=
2
⋅
(
1
,
0
)
{\displaystyle (1,1)+(1,-1)=2\cdot (1,0)}
이므로, 이는 아핀 대수다양체
K
[
x
,
y
,
z
]
/
(
x
y
−
z
2
)
{\displaystyle K[x,y,z]/(xy-z^{2})}
를 정의한다. 기하학적으로, 이는 2차 초곡면 인 뿔이다.
사실, 아핀 공간
A
K
2
=
Spec
K
[
u
,
v
]
{\displaystyle \mathbb {A} _{K}^{2}=\operatorname {Spec} K[u,v]}
위에 2차 순환군 의 작용
(
u
,
v
)
↦
(
−
u
,
−
v
)
{\displaystyle (u,v)\mapsto (-u,-v)}
의 작용에 대한 몫은 기하 불변량 이론 몫 으로서 다음과 같은 가환환 의 스펙트럼 이다.
A
K
2
/
Cyc
(
2
)
=
Spec
(
K
[
u
,
v
]
Cyc
(
2
)
)
{\displaystyle \mathbb {A} _{K}^{2}/\operatorname {Cyc} (2)=\operatorname {Spec} (K[u,v]^{\operatorname {Cyc} (2)})}
여기서
K
[
u
,
v
]
Cyc
(
2
)
{\displaystyle K[u,v]^{\operatorname {Cyc} (2)}}
는
Cyc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Cyc} (2)}
의 작용 에 대하여 불변인 원소로 구성된 부분환이다. 이는
u
2
,
v
2
,
u
v
{\displaystyle u^{2},v^{2},uv}
로 생성되며, 이 사이의 관계는
u
2
⋅
v
2
=
(
u
v
)
2
{\displaystyle u^{2}\cdot v^{2}=(uv)^{2}}
밖에 없다. 따라서, 이는 스킴의 동형 사상
Spec
(
K
[
u
,
v
]
Cyc
(
2
)
)
≅
Spec
K
[
x
,
y
,
z
]
(
x
y
−
z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u,v]^{\operatorname {Cyc} (2)})\cong \operatorname {Spec} {\frac {K[x,y,z]}{(xy-z^{2})}}}
(
u
,
v
)
↦
(
u
2
,
v
2
,
u
v
)
{\displaystyle (u,v)\mapsto (u^{2},v^{2},uv)}
을 갖는다.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델 페초 곡면
dP
1
{\displaystyle \operatorname {dP} _{1}}
을 나타낸다.[ 9] :Figure 2(b)
↑
∙
→
↙
↓
{\displaystyle {\begin{matrix}&\uparrow \\&\bullet &\rightarrow \\\swarrow &\downarrow \end{matrix}}}
구체적으로, 이는 사영 평면에서, 세 2차원 뿔 가운데 하나를 세분한 것이다. 이는 이 점에서의 부풀리기 에 해당한다.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델 페초 곡면
dP
2
{\displaystyle \operatorname {dP} _{2}}
을 나타낸다.[ 9] :Figure 2(b)
↑
←
∙
→
↙
↓
{\displaystyle {\begin{matrix}&\uparrow \\\leftarrow &\bullet &\rightarrow \\\swarrow &\downarrow \end{matrix}}}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델 페초 곡면
P
1
×
P
1
{\displaystyle \mathbb {P} ^{1}\times \mathbb {P} ^{1}}
을 나타낸다.
↑
←
∙
→
↓
{\displaystyle {\begin{matrix}&\uparrow \\\leftarrow &\bullet &\rightarrow \\&\downarrow \end{matrix}}}
이것이 두 사영 직선 의 곱 임은 부채로부터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원환 다양체의 구성은 끈 이론 에서 콤팩트화에 사용되는 칼라비-야우 다양체 를 구성할 때 자주 사용된다.[ 10] [ 9] 특히, 거울 대칭 은 원환 다양체의 부채에 대한 연산으로 깔끔하게 표현될 수 있다.
↑ Oda, Tadao (1988). 《Convex bodies and algebraic geometry: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toric varieties》 . 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 (영어) 15 . Springer-Verlag. ISBN 978-3-642-72549-4 . MR 922894 .
↑ Cox, David A.; Little, John B.; Schenck, Henry K. (2011). 《Toric varieties》 . Graduate Studies in Mathematics (영어) 124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4819-7 . MR 2810322 . Zbl 1223.14001 .
↑ Fulton, William (1993). 《Introduction to toric varieties》 . Annals of Mathematics Studies (영어) 131 .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0049-7 . MR 1234037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Cox, David A. (2003). 〈What is a toric variety?〉 (PDF) . 《Topics in algebraic geometry and geometric modeling: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algebraic geometry and geometric modeling, July 29 – August 2, 2002, Vilnius, Lithuania》. Contemporary Mathematics (영어) 334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3–223쪽. ISBN 0-8218-3420-7 . MR 2039974 . Zbl 1038.14021 . 2012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0일에 확인함 .
↑ Danilov, V. I. (1978). “The geometry of toric varieties” (PDF) . 《Russian Mathematical Surveys》 (영어) 33 (2): 97–134. doi :10.1070/RM1978v033n02ABEH002305 . ISSN 0036-0279 . MR 495499 . Zbl 0425.14013 . 2014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Miller, Ezra (2008년 5월). “What is … a toric variety?” (PDF) .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5 (5): 586–587. ISSN 0002-9920 . MR 2404030 .
↑ Miller, Ezra; Sturmfels, Bernd (2005). 〈Toric varieties〉. 《Combinatorial commutative algebra》.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227 . Springer-Verlag. 191–208쪽. doi :10.1007/0-387-27103-1_10 . ISBN 978-0-387-22356-8 . ISSN 0072-5285 .
↑ Kempf, G.; Knudsen, Finn Faye; Mumford, David ; Saint-Donat, B. (1973). 《Toroidal embeddings Ⅰ》.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영어) 339 . Springer-Verlag. doi :10.1007/BFb0070318 . MR 0335518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Closset, Cyril (2009). “Toric geometry and local Calabi–Yau varieties: An introduction to toric geometry (for physicists)” (영어). arXiv :0901.3695 . Bibcode :2009arXiv0901.3695C .
↑ Reffert, Susanne (2007). “The geometer’s toolkit to string compactifications” (영어). arXiv :0706.1310 . Bibcode :2007arXiv0706.1310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