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독일의 통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독일의 통일 문서 영어판 문서를 참고하여 재편 예정.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about|독일의 재통일|1871년의 통일|1990년 동독과 서독의 통일}}
{{about|독일의 재통일|1871년의 독일 통일|1990년 동독과 서독의 통일}}
{{Infobox event
[[파일:Deutsches Reich (1871-1918)-en.png|섬네일|upright=1.35|alt=Political map of central Europe showing the 26 areas that became part of the united [[German Empire]] in 1891. Prussia based in the northeast, dominates in size, occupying about 40% of the new empire.|1871년부터 1918년까지의 [[독일 제국]]]]
|image = Deutsches Reich (1871-1918)-en.png
'''독일의 통일'''은 신성로마제국 이후 여러 군소 국가로 분열되어 있던 독일 지역을 하나의 국가로 통일하고자 한 움직임이며, [[오스트리아 제국]]을 배제하고 [[프로이센 왕국]] 중심으로 민족 국가를 수립하자는 [[소독일주의]]와 오스트리아 제국까지 포함하여 통일하자는 [[대독일주의]]의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결국 소독일주의가 승리하여 오스트리아를 제외한 통일이 실현된다. 프로이센은 [[1871년]] [[1월 18일]]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승전한 뒤 [[베르사유 궁전]]의 거울방에서 [[독일 제국]]을 선포하게 된다.
|caption = 1876년 7월 1일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이 프로이센 왕국에게 합병되었을 당시의 [[독일 제국의 소속 국가]]들을 나타낸 지도.
|native_name = ''Deutsche Einigung''
|native_name_lang = de
| date = {{nowrap|[[북독일 연방조약|1866년 8월 18일]] – [[독일 제국의 선포|1871년 1월 18일]]}}
| location = {{nowrap|{{flagicon|북독일 연방}} [[북독일 연방]]}}
|participants =
*'''1차 과정:'''
**{{flagicon|프로이센 왕국|1803}} [[프로이센 왕국]] (주도국)
**{{flagicon|작센 왕국}} [[작센 왕국]]
**{{flagicon|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국}}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
**{{flagicon|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국}}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
**{{flagicon|올덴부르크 대공국}} [[올덴부르크 대공국]]
**{{flagicon image|Flagge Großherzogtum Sachsen-Weimar-Eisenach (1813-1897).svg}}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
**{{flagicon image|flag of Lauenburg.svg}}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
**{{flagicon image|Flag of Saxony-Anhalt (state).svg}} [[안할트 공국]]
**{{flagicon|브라운슈바이크 공국}} [[브라운슈바이크 공국]]
**{{flagicon image|Flag of Saxe-Altenburg (1893-1918).svg}} [[작센알텐부르크 공국]]
**{{flagicon image|Flagge Herzogtum Sachsen-Coburg-Gotha (1911-1920).svg}}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
**{{flagicon image|Saxe- Meiningen.png}} [[작센마이닝겐 공국]]
**{{flagicon image|Flagge Fürstentum Lippe.svg}} [[리페 후국]]
**{{flagicon image|Flagge Fürstentum Reuß jüngere Linie.svg}} [[로이스게라|로이스게라 후국]]
**{{flagicon image|Flagge Fürstentum Reuß ältere Linie.svg}} [[로이스그라이츠|로이스그라이츠 후국]]
**{{flagicon|샤움부르크리페 후국}} [[샤움부르크리페 후국]]
**{{flagicon image|Flagge Fürstentümer Schwarzburg.svg}} [[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 후국]]
**{{flagicon image|Flagge Fürstentümer Schwarzburg.svg}} [[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젠|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젠 후국]]
**{{flagicon image|Flag of Germany (3-2 aspect ratio).svg}} [[발데크피르몬트 후국]]
*'''2차 과정:'''
**{{flagicon|바이에른 왕국}} [[바이에른 왕국]]
**{{flagicon|뷔르템베르크 왕국}} [[뷔르템베르크 왕국]]
**{{flagicon|바덴 대공국}} [[바덴 대공국]]
**{{flagicon|헤센 대공국}} [[헤센 대공국]]
**{{flagicon|브레멘주}} [[브레멘주|자유 한자 도시 브레멘]]
**{{flagicon|함부르크}} [[함부르크|자유 한자 도시 함부르크]]
**{{flagicon image|Flag of the Free City of Lübeck.svg}} [[자유 한자 도시 뤼베크]]
|outcome =
* [[독일 문제|소독일주의]].
* [[프라하 평화 협정 (1866년)|프라하 평화 협정]] 체결.
* [[독일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거나 [[합스부르크가|독일계 가문]]이 이끄는 독일의 4개 주{{efn|이 4개의 주는 [[오스트리아-헝가리|오스트리아]], [[스위스]],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을 뜻한다.}}는 신독일에 합류하지 않음.
* [[독일 연방]] 해체.
*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
* [[림뷔르흐 공국]]은 [[네덜란드 왕국]]에 통합.
* [[프로이센의 군주]]가 [[분데스리지움]]의 칭호를 획득.
* [[프로이센의 총리]]가 [[독일의 총리]]를 겸임.
* [[폴인|폴란드인]],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인]], [[쿠르세니에키인]]의 강한 [[독일화]]로 프로이센의 기원 [[동프로이센]]은 독일의 일부로 속함.
* 폴란드인과 [[카슈브인]]의 강한 [[독일화]]로 라우엔부르크와 뷔토브 지역과 스타로스트보 드라헤임{{efn|원어로 각각 {{llang|de|Länder or Lande Lauenburg und Bütow}}, {{llang|pl|starostwo drahimskie}}dlek.}}은 독일의 일부로 속함.
* 폴란드인과 카슈브인의 강한 독일화로 프로이센 분할 점령지 [[폴란드-리투아니아|폴란드]]([[포젠주]]와 [[서프로이센]])이 독일의 일부로 속함.
* 폴란드인, 실레시아인, [[체코인]], 모라비아인의 강한 독일화로 [[실레시아]]와 [[크워츠코]]는 독일의 일부로 속함.
* [[소르브인]]의 강한 독일화로 [[루사티아]]는 독일의 일부로 속함.
* 왈롱인의 강한 독일화로 [[오이펜-말메디]]는 독일의 일부로 속함.
* [[덴마크인]]의 강한 독일화로 [[슐레스비히 공국|슐레스비히]], [[홀슈타인]]와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구|작센-라우엔부르크]]는 [[독일 제국]]의 [[프로이센 왕국]]에 속함.
* [[1871년 독일 연방 헌법]]과 통일의 2번째 단계.
* [[빌헬름 1세|빌헬름 1세 호엔촐레른]] [[독일 황제]]의 [[독일 제국의 선포]].
* [[독일 제국의 헌법]] 성립.
*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의 종료와 [[프랑크푸르트 조약 (1871년)|프랑크푸르트 조약]]의 체결.
** 프랑스로부터 강한 독일화를 경험한 영토(이후의 [[알자스-로렌]])은 독일 제국에 합병됨.
* [[문화투쟁]]의 시작.
}}


'''독일의 통일'''({{llang|de|Deutsche Einigung}}, {{IPA-all|ˈdɔʏtʃə ˈʔaɪnɪɡʊŋ|독일어:|De-Deutsche Einigung.ogg}})은 [[소독일주의]]{{efn|소독일주의는 독일어권 [[합스부르크가|합스부르크]]의 다민족 오스트리아를 배제한 독일의 통일을 주장하는 개념이다.}}의 개념에 기초한 [[독일인]]들의 [[연방주의|연방제]]를 갖춘 최초의 [[국민 국가]]를 건설하는 과정을 말한다. 1866년 8월 18일 [[북독일 연방 조약]]이 체결되면서 [[북독일 연방]]이 성립되었는데, 이 북독일 연방은 [[데 팍토|사실상]] 프로이센이 지배하던 [[군사동맹]]이었고 이는 [[북독일 헌법]]이 채택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이러한 북독일 연방은 1871년 1월 18일 대부분의 독일 남부 국가들이 [[독일 제국의 선포]]와 함께 제국에 가입하면서 [[호엔촐레른가]]의 [[프로이센 왕국]]이 주도하는 [[독일 제국의 소속 국가|25개의 소속 국가]]들로 이루어진 연방 [[독일국]]이 성립되면서 끝났다. 독일의 통일과 관련된 법적으로 의미 있는 사건은 1871년 1월 1일([[독일 연방 헌법 (1871년)|독일 남부 국가의 가입과 '독일 제국'이라는 국명의 헌법적 채택]])과 1871년 5월 4일([[독일 제국의 헌법|독일 제국의 영구헌법]]의 발효)에 발생했고, 이 사건은 이후 독일 제국 건국의 관례적인 날로 기념되었다.
{{독일의 역사}}


[[신성 로마 제국의 해체|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의 해체]]로 인한 법률적, 행정적, 정치적 혼란에도 불구하고, 옛 제국의 독일어권의 사람들은 공통적인 언어적, 문화적, 법적인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유럽의 [[자유주의|자유주의자]]들은 [[왕조]] 중심적이고 [[절대주의]]적인 사회와 정치 조직의 체제에 도전함으로써 독일의 통일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 이들은 독일의 전통, 교육, 언어적 통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경제적으로, 1818년 프로이센 주도로 [[독일 관세동맹|관세동맹]](''Zollverein'')이 성립된 이후 [[오스트리아 제국]]이 주도하는 [[독일 연방]]의 다른 국가들로의 확대로 국가 간의 경쟁이 감소했다. 새로운 교통 수단은 사업적, 여가 여행을 쉽게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중앙 유럽]] 전역의 독일어권 사람들 사이에 많은 접촉이 생겼고, 종종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1814년-1815년 [[빈 회의]]에서 [[신성 로마 제국]]을 대체하기 위해 고안된 새로운 외교적 영향권 체제인 [[독일 연방]]은 합스부르크의 지도력을 통해 중앙 유럽에서의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확고이 했다. [[빈]]의 외교관들은 프로이센의 힘이 커지고 있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고, 프로이센의 영향을 받는 독일 국가들의 또다른 연합을 만드는 것을 거부했으며, 프로이센 왕국이 독일에서의 지도력을 위해 오스트리아에게 도전하여 일어설 것이라고 예측하지 못했다. 이러한 [[독일 문제]]의 이원론은 통일 문제에 2가지 해결책을 제시했다. 첫 번째는 오스트리아를 배제한 독일을 주장하는 [[소독일주의]](''Kleindeutsche Lösung'')였고, 두 번째는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포함하는 독일어권의 통일 독일, 즉 [[프라하 평화 협정 (1866년)|프라하 평화 협정]] 이전의 독일을 주장하는 [[범독일주의|대독일주의]](''Großdeutsche Lösung'')였다.
== 배경 ==
{{출처 필요 문단|날짜=2013-12-23}}
[[신성 로마 제국]]의 봉건적 체제는 영주들의 세력을 강화했고, 독일은 각 지역의 여러 군소 국가들로 나뉘었다. 이는 [[30년 전쟁]]의 결과인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구체화된다.


역사가들은 [[프로이센의 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1866년 [[북독일 연방]]을 확장하여 나머지 독립 독일 국가들을 단일 국가로 포함시키려는, 즉 독일을 통일하려는 완전한 계획을 가지고 있었는지, 아니면 단순히 프로이센 왕국의 [[힘 (국제 관계)|힘]]을 강화하기 위한 계획이었는지에 대해서 논쟁을 벌이고 있다. 역사가들은 비스마르크의 [[현실정치]] 더해 여러 요인들이 19세기 근대 초기 [[정체]]의 정치, 경제, 군사, 외교 관계를 재편성하게 했다고 결론짓는다. 덴마크와 프랑스의 민족주의에 대한 반응은 독일 통일의 표현을 제공했다. 3번의 지역 전쟁에서 프로이센의 군사적 성공은 정치인들이 독일의 통일을 촉진하게 만드는 열정과 자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는 나폴레옹 전쟁, 특히 1813년과 1814년의 나폴레옹으로부터의 해방 전쟁에서 얻은 성취에 대한 기억의 영향을 받았다. 소독일주의의 통일은 다민족인 [[오스트리아-헝가리]]나 독일어권 지역 없이 1871년의 정치적, 행정적 독일의 통일은 이원론의 문제를 일시적으로나마 해결했다.
그러한 가운데, 독일 북부 지역에 위치한 [[프로이센 왕국]]이 [[1701년]] 성립되었는데, [[30년 전쟁]]이 끝난 후, [[신성 로마 제국]]의 연방국가 중 비교적 전쟁의 피해가 적었던 프로이센이 비약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특히, [[프리드리히 2세 (프로이센)|프리드리히 2세]] 때 [[오스트리아 제국]]의 [[합스부르크 왕가]]와의 [[7년전쟁]](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통해 석탄과 철이 풍부한 [[슐레지엔]] 지방을 차지하여 유럽의 강대국으로서 지위를 굳히게 된다. 또한 국내 산업을 육성하는 정책을 펴서 계몽사상에 심취해 있어서 농노들의 처우를 개선하고 고문을 폐지하는 등 정책을 실시해 크게 발전한다.


독일이 통일되고 몇 년 동안 이름과 국경이 추가로 변경되고 헌법 체계가 개편되었으며, 제한된 주권, 영토와 정부의 통합이 중단되었다. 이후 연방제의 독일이 해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통일 과정에서 비롯된 정치 경험은 [[독일|독일 연방 공화국]]이라는 현대적인 형태로 오늘날까지도 존속하고 있다.
그러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때에 들어서면서 프로이센은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왕은 암우하였으며, 군대는 나약해져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프랑스군에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였으며, [[예나 전투]]와 [[아우어슈테트 전투]] 등 전쟁에서 족족 패하였다. [[1807년]] [[틸지트 조약]]의 결과 영토의 반을 잃고 나폴레옹이 [[라인연방]]이라는 꼭두각시 정부를 만들었으며, 프랑스에 많은 배상금을 지불하고, [[대륙 봉쇄령]]에 따른 [[대영제국]]과 무역금지와 프랑스군 주둔 등의 경제적 압박을 당하여 사실상 프랑스의 지배를 받는 속국으로 전락하고 만다.


== 각주 ==
프랑스에 의한 지배는 독일인들에게 [[민족주의]]의 자각심을 불어넣어, 이 때부터 프랑스로부터의 해방자로서의 역할을 프로이센에게 요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 내용주 ===
{{Notelist}}


=== 참조주 ===
프로이센은 [[대프랑스 동맹]]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으며 [[1815년]]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의 프랑스군을 물리치면서 다시 강대국의 반열에 오르게 된다. [[1815년]] [[빈 회의]]에서 프로이센은 [[폴란드 분할]]로 획득한 옛 영토의 일부를 러시아에게 양보하게 되었으나, 그 대신 [[베스트팔렌]] 지역을 획득하였고, 동년에는 독일 연방에도 가맹하여 맹주인 [[오스트리아 제국]]과 세력을 양등분하였다.
{{각주}}


=== 참고 문헌 ===
이 무렵, [[러시아 제국]] 및 [[오스트리아 제국]]과 [[신성 동맹 (1815년)]]을 체결한 프로이센은 자유주의적 독일 통일 운동을 억압하였다. 개혁은 정체되었고 관료절대주의가 난입하게 되어, 지주 지배체제가 다시 강화되었다.
{{Refbegin|30em|indent=yes}}
* {{Cite book |last=Blackbourn |first=David |title=Marpingen: Apparitions of the Virgin Mary in Bismarckian Germany |date=1994 |publisher=Knopf |isbn=0-6794-1843-1 |location=New York |author-link=David Blackbourn}}
** {{Cite book |last=Blackbourn |first=David |title=The Long Nineteenth Century: A History of Germany, 1780–1918 |date=1998 |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isbn=0-1950-7672-9 |location=New York |author-mask=1 |author-link=David Blackbourn}}
* {{Cite book |last1=Blackbourn |first1=David |title=The Peculiarities of German History: Bourgeois Society and Politics in Nineteenth-Century Germany |last2=Eley |first2=Geoff |date=1984 |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isbn=978-0-1987-3057-6 |location=Oxford & New York |author-link=David Blackbourn |author-link2=Geoff Eley}}
* {{Cite book |last=Blickle |first=Peter |title=Heimat: A Critical Theory of the German Idea of Homeland |date=2004 |work=Studies in German literature, linguistics and culture |publisher=Camden House Press |isbn=978-1-5711-3303-8 |edition=New |location=Columbia, South Carolina |ol=8730421M}}
* {{Cite book |last=Confino |first=Alon |title=The Nation as a Local Metaphor: Württemberg, Imperial Germany, and National Memory, 1871–1918 |date=1997 |publisher=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isbn=978-0-8078-4665-0 |location=Chapel Hill |ol=1011446M |author-link=Alon Confino}}
* {{Cite book |last=Dahrendorf |first=Ralf |title=Society and Democracy in Germany |date=1979 |publisher=Doubleday |isbn=0-3850-6304-0 |ol=21335583M |author-link=Ralf Dahrendorf |orig-date=1967}}
* {{Cite book |last=Evans |first=Richard J. |title=Rethinking German History: Nineteenth-Century Germany and the Origins of the Third Reich |date=1987 |publisher=Routledge |isbn=978-0-0030-2090-8 |location=London |author-link=Richard J. Evans}}
** {{Cite book |last=Evans |first=Richard J. |title=Death in Hamburg: Society and Politics in the Cholera Years, 1830–1910 |date=2005 |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isbn=978-0-1430-3636-4 |location=New York |author-mask=1 |author-link=Richard J. Evans}}
* Flores, Richard R. ''Remembering the Alamo: Memory, Modernity, and the Master Symbol.'' Austin: University of Texas, 2002. {{ISBN|978-0-2927-2540-9}}
* {{Cite book |last1=Grew |first1=Raymond |title=Crises of Political Development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last2=Bien |first2=David D. |date=1978 |publisher=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0-6910-7598-0 |ol=4740623M}}
* {{Cite book |last1=Holt |first1=Lucious Hudson |title=The History of Europe from 1862–1914: From the Accession of Bismarck to the Outbreak of the Great War |last2=Chilton |first2=Alexander Wheeler |date=1917 |publisher=MacMillan |location=New York |oclc=1115959 |ol=6604098M}}
* {{Cite book |last=Howard |first=Michael Eliot |title=The Franco-Prussian War: The German invasion of France, 1870–1871 |date=1961 |publisher=Routledge |isbn=978-0-4150-2787-8 |location=New York |ol=7481175M |author-link=Michael Howard (historian)}}
* {{Cite book |last=Kaplan |first=Marion |title=The Making of the Jewish Middle Class: Women, Family, and Identity in Imperial Germany |date=1991 |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isbn=978-0-1950-9396-4 |location=New York |ol=7387583M}}
* {{Cite book |last=Krieger |first=Leonard |title=The German Idea of Freedom |date=1957 |publisher=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978-0-2264-5347-7 |ol=4125447W |author-link=Leonard Krieger}}
* {{Cite book |last=Lee |first=Lloyd |title=The Politics of Harmony: Civil Service, Liberalism, and Social Reform in Baden, 1800–1850 |date=1980 |publisher=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isbn=978-0-8741-3143-7 |location=Cranbury, New Jersey |ol=8381260M}}
* {{Cite book |last1=Llobera |first1=Josep R. |title=The role of historical memory in (ethno)nation-building |last2=Goldsmiths' College |date=1996 |work=Goldsmiths Sociology Papers |publisher=Goldsmiths College |isbn=978-0-9029-8606-0 |location=London |ol=17517779M}}
* {{Cite book |last=Mann |first=Golo |title=Deutsche Geschichte des 19. und 20. Jahrhunderts |date=1958 |publisher=S. Fischer |isbn=3-1034-7901-8 |ol=15250052M |author-link=Golo Mann |lang=de}}
** {{Cite book |last=Mann |first=Golo |title=The History of Germany Since 1789 |date=1968 |ol=5546196M |author-mask=1 |author-link=Golo Mann}}
* {{cite book |last1=Minahan |first1=James |year=2000 |chapter=Germans |chapter-url=https://books.google.com/books?id=NwvoM-ZFoAgC&pg=PA287 |title=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url=https://books.google.com/books?id=NwvoM-ZFoAgC |publisher=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0-313-30984-1 |access-date=11 March 2016}}
* {{Cite book |last=Nipperdey |first=Thomas |url=https://press.princeton.edu/books/hardcover/9780691636115/germany-from-napoleon-to-bismarck |title=Germany from Napoleon to Bismarck, 1800–1866 |date=1996 |publisher=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978-0-6916-3611-5 |location=Princeton |translator-last=Nolan |translator-first=Daniel |ol=1273142M |author-link=Thomas Nipperdey}}
* {{Cite book |title=Germany: A New Social and Economic History |date=1996 |publisher=Arnold Publication |isbn=978-0-3405-1332-3 |editor-last=Scribner |editor-first=Robert W. |editor-link=Robert W. Scribner |location=London |editor-last2=Ogilvie |editor-first2=Sheilagh C. |editor-link2=Sheilagh Ogilvie}}
* {{Cite book |last=Sheehan |first=James J. |title=German History 1770–1866 |date=1989 |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isbn=978-0-1982-0432-9 |series=Oxford History of Modern Europe |location=Oxford |ol=7397485M |author-link=James J. Sheehan}}
* {{Cite book |last=Sperber |first=Jonathan |title=Popular Catholicism in Nineteenth-Century Germany |date=1984 |publisher=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978-0-6910-5432-2 |oclc=10559169 |ol=2867289M |author-link=Jonathan Sperber}}
** {{Cite book |last=Sperber |first=Jonathan |title=Rhineland Radicals: The Democratic Movement and the Revolution of 1848–1849 |date=1993 |publisher=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978-0-6910-0866-0 |author-mask=1 |author-link=Jonathan Sperber}}
* {{Cite book |last=Taylor |first=A. J. P. |title=Bismarck: The Man and the Statesman |date=1988 |publisher=Clarendon |isbn=978-0-3947-0387-9 |location=Oxford |ol=7461954M |author-link=A. J. P. Taylor}}
* Victoria and Albert Museum, Dept. of Prints and Drawings, and Susan Lambert. ''The Franco-Prussian War and the Commune in Caricature, 1870–71''. London, 1971. {{ISBN|0-9014-8630-2}}
* {{Cite book |last=Wawro |first=Geoffrey |title=The Austro-Prussian War |date=1996 |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0-5215-6059-4 |ol=813265M |author-link=Geoffrey Wawro}}
** {{Cite book |last=Wawro |first=Geoffrey |title=The Franco-Prussian War: The German Conquest of France |date=2003 |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0-5215-8436-1 |location=Cambridge |oclc=51305920 |ol=3566186M |author-mask=1 |author-link=Geoffrey Wawro}})
* {{Cite book |last=Zamoyski |first=Adam |title=Rites of Peace: The Fall of Napoleon and the Congress of Vienna |date=2007 |publisher=HarperCollins |isbn=978-0-0607-7518-6 |location=New York |ol=7281494M |author-link=Adam Zamoyski}}
{{Refend}}


== 전개 ==
=== 같이 읽기 ===
{{Refbegin|30em|indent=yes}}
[[파일:Deutsches Reich (1871-1918)-de.svg|썸네일|250픽셀|left|1871년부터 1918년까지의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파란색)이 제국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 Bazillion, Richard J. ''Modernizing Germany: Karl Biedermann's career in the kingdom of Saxony, 1835–1901''. American university studies. Series IX, History, vol. 84. New York, Peter Lang, 1990. {{ISBN|0-8204-1185-X}}
=== 독일의 경제적 통합 ===
* Brose, Eric Dorn. ''German History, 1789–1871: From the Holy Roman Empire to the Bismarckian Reich.'' (1997)
39개의 여러 군소국가로 분리되어 있던 상황에서 [[1818년]]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독일관세동맹]]이 결성되었다. 독일 연방 내의 국가들이 서로 무역할 때 부과되었던 번거로운 관세들이 폐지됨으로써 독일경제는 이전과 비교도 안될 정도로 급성장하기 시작했다. 관세동맹은 독일의 민족의식을 일깨우는 역할을 한 셈이다.
* {{Cite book |last=Bucholz |first=Arden |title=Moltke, Schlieffen, and Prussian War Planning |date=1991 |publisher=Berg |isbn=0-8549-6653-6 |location=New York}}

** {{Cite book |last=Bucholz |first=Arden |title=Moltke and the German Wars 1864–1871 |date=2001 |publisher=Palgrave MacMillan |isbn=0-3336-8758-2 |location=New York |author-mask=1}}
{{본문|1848년 독일 혁명}}
* [[Christopher Clark|Clark, Christopher]]. ''Iron Kingdom: The Rise and Downfall of Prussia, 1600–1947.'' Cambridg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2009. {{ISBN|978-0-674-03196-8}}
통일의 기운은 [[1848년]] [[프랑스 2월 혁명]]의 영향을 받았는데, 2월 혁명이 일어나자 독일에서는 [[3월 혁명 (독일)|3월 혁명]]이 일어나 시민혁명과 병행해서 국민적 통일 운동이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서남 독일에서 전개되었다. 그러나 3월혁명에서는 봉건적 체제를 타파하고, 근대 민주정치의 기초를 구축하는 면에서는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것은 결국 연약한 산업 시민 계급이 노동자 등 혁명세력에 대한 공포에서 봉건세력과 타협하는 결과가 되었다.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에서 볼 수 있듯이 통일적 독일 국가를 건설하는 구상도 보수화한 프로이센 및 오스트리아의 구세력에 의해 거부되어 결국 실패로 끝나게 된다.
* Clemente, Steven E. ''For King and Kaiser!: The Making of the Prussian Army Officer, 1860–1914''. Contributions in military studies, no. 123. New York: Greenwood, 1992. {{ISBN|0-3132-8004-5}}

* Cocks, Geoffrey and Konrad Hugo Jarausch. ''German Professions, 1800–195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ISBN|0-1950-5596-9}}
=== 독일 통일 전쟁 ===
* Dwyer, Philip G. ''Modern Prussian history, 1830–1947''. Harlow, England, New York: Longman, 2001. {{ISBN|0-5822-9270-0}}
{{본문|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프로이센-프랑스 전쟁}}
* Friedrich, Otto. ''Blood and Iron: From Bismarck to Hitler the Von Moltke Family's Impact On German History''. New York, Harper, 1995. {{ISBN|0-0601-6866-8}}
자유주의적 통일을 주장했던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가 실패한 이후 독일의 정치적 통일은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전개된다.[[1862년]] [[프로이센]]의 수상으로 임명된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의회와 자유주의 세력의 반대를 무릅쓰고 철혈정책을 추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866년]] [[오스트리아 제국]]을 맞아 [[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 크게 이겨 북독일 연방을 성립시켰다. 이어서 [[1871년]]에 프랑스를 격파하고 전쟁에 승리한 프로이센은 [[프랑크푸르트 조약]]을 통해 [[알자스]]지방과 [[로렌]]지방을 되찾고, [[베르사유 궁전]]의 거울방에서 [[빌헬름 1세]]가 황제로 즉위하고 [[독일 제국]]을 선포함으로써 독일은 통일된다.
* Groh, John E. ''Nineteenth-Century German Protestantism: The Church As Social Model''. Washington, D.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2. {{ISBN|0-8191-2078-2}}

* Henne, Helmut, and Georg Objartel. ''German Student Jargon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Berlin & NY, de Gruyter, 1983. {{OCLC|9193308}}
== 같이 보기 ==
* Hughes, Michael. ''Nationalism and Society: Germany, 1800–1945''. London & New York, Edward Arnold, 1988. {{ISBN|0-7131-6522-7}}
* [[독일의 역사]]
* Kollander, Patricia. ''Frederick III: Germany's Liberal Emperor'',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world history, no. 50. Westport, Conn., Greenwood, 1995. {{ISBN|0-3132-9483-6}}
* [[통일]]
* Lowenstein, Steven M. ''The Berlin Jewish Community: Enlightenment, Family, and Crisis, 1770–1830''. Studies in Jewish histo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ISBN|0-1950-8326-1}}

* Lüdtke, Alf. ''Police and State in Prussia, 1815–1850''. Cambridge, New York & Par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ISBN|0-5211-1187-0}}
== 외부 링크 ==
* Ogilvie, Sheilagh, and Richard Overy. ''Germany: A New Social and Economic History Volume 3: Since 1800'' (2004)
*[http://www.fordham.edu/halsall/mod/germanunification.html Documents of German Unification] {{웨이백|url=http://www.fordham.edu/halsall/mod/germanunification.html |date=20140814205029 }}
* Ohles, Frederik. ''Germany's Rude Awakening: Censorship in the Land of the Brothers Grimm''. Kent, Ohio,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92. {{ISBN|0-8733-8460-1}}
*[http://www.age-of-the-sage.org/history/german_unification.html Bismarck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 Pflanze Otto, ed. ''The Unification of Germany, 1848–1871'' (1979), essays by historians
* Schleunes, Karl A. ''Schooling and Society: The Politics of Education in Prussia and Bavaria, 1750–1900''.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ISBN|0-8549-6267-0}}
* {{Cite book |last=Schulze |first=Hagen |title=The Course of German Nationalism: From Frederick the Great to Bismarck, 1763–1867 |date=1991 |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978-0-5213-7759-1 |location=Cambridge & New York |ol=2227160M |author-link=Hagen Schulze}}
* {{Cite book |last=Showalter |first=Dennis E. |title=The Wars of German Unification |date=2015 |edition=2nd}}
** {{Cite book |last=Showalter |first=Dennis E. |title=Railroads and Rifles: Soldiers, Technology,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date=1975 |publisher=Hailer |isbn=0-9798-5009-6 |location=Hamden, Connecticut |author-mask=1}}
* Sked, Alan. ''Decline and Fall of the Habsburg Empire 1815–1918''. London, Longman, 2001. {{ISBN|978-0-5823-5666-5}}
* Smith, Woodruff D. ''Politics and the Sciences of Culture in Germany, 1840–192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ISBN|0-1950-6536-0}}
* Sorkin, David, ''The Transformation of German Jewry, 1780–1840'', Studies in Jewish history. New York,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87. {{ISBN|978-0-8143-2828-6}}
* {{Cite book |last=Sperber |first=Jonathan |title=The European Revolutions, 1848–1851 |date=1994 |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978-0-5215-4779-6 |series=New Approaches to European History |oclc=27814087 |ol=24776092M |author-link=Jonathan Sperber}}
* Stargardt, Nicholas. ''The German Idea of Militarism: Radical and Socialist Critics, 1866–191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ISBN|978-0-5214-6692-9}}
* Steinberg, Jonathan. ''Bismarck: A Life'' (2011)
* {{Cite book |last=Wawro |first=Geoffrey |title=Warfare and Society in Europe, 1792–1914 |date=2000 |publisher=Routledge |isbn=978-0-4152-1445-2 |oclc=50552980 |ol=45213M |author-link=Geoffrey Wawro}}
{{refend}}


{{독일의 통일}}
{{독일의 통일}}

2024년 1월 24일 (수) 22:43 판

독일의 통일
1876년 7월 1일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이 프로이센 왕국에게 합병되었을 당시의 독일 제국의 소속 국가들을 나타낸 지도.
원어명Deutsche Einigung
날짜1866년 8월 18일1871년 1월 18일
위치북독일 연방 북독일 연방
참여자
결과

독일의 통일(독일어: Deutsche Einigung, 독일어: [ˈdɔʏtʃə ˈʔaɪnɪɡʊŋ] ( ))은 소독일주의[c]의 개념에 기초한 독일인들의 연방제를 갖춘 최초의 국민 국가를 건설하는 과정을 말한다. 1866년 8월 18일 북독일 연방 조약이 체결되면서 북독일 연방이 성립되었는데, 이 북독일 연방은 사실상 프로이센이 지배하던 군사동맹이었고 이는 북독일 헌법이 채택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이러한 북독일 연방은 1871년 1월 18일 대부분의 독일 남부 국가들이 독일 제국의 선포와 함께 제국에 가입하면서 호엔촐레른가프로이센 왕국이 주도하는 25개의 소속 국가들로 이루어진 연방 독일국이 성립되면서 끝났다. 독일의 통일과 관련된 법적으로 의미 있는 사건은 1871년 1월 1일(독일 남부 국가의 가입과 '독일 제국'이라는 국명의 헌법적 채택)과 1871년 5월 4일(독일 제국의 영구헌법의 발효)에 발생했고, 이 사건은 이후 독일 제국 건국의 관례적인 날로 기념되었다.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의 해체로 인한 법률적, 행정적, 정치적 혼란에도 불구하고, 옛 제국의 독일어권의 사람들은 공통적인 언어적, 문화적, 법적인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유럽의 자유주의자들은 왕조 중심적이고 절대주의적인 사회와 정치 조직의 체제에 도전함으로써 독일의 통일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 이들은 독일의 전통, 교육, 언어적 통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경제적으로, 1818년 프로이센 주도로 관세동맹(Zollverein)이 성립된 이후 오스트리아 제국이 주도하는 독일 연방의 다른 국가들로의 확대로 국가 간의 경쟁이 감소했다. 새로운 교통 수단은 사업적, 여가 여행을 쉽게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중앙 유럽 전역의 독일어권 사람들 사이에 많은 접촉이 생겼고, 종종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1814년-1815년 빈 회의에서 신성 로마 제국을 대체하기 위해 고안된 새로운 외교적 영향권 체제인 독일 연방은 합스부르크의 지도력을 통해 중앙 유럽에서의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확고이 했다. 의 외교관들은 프로이센의 힘이 커지고 있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고, 프로이센의 영향을 받는 독일 국가들의 또다른 연합을 만드는 것을 거부했으며, 프로이센 왕국이 독일에서의 지도력을 위해 오스트리아에게 도전하여 일어설 것이라고 예측하지 못했다. 이러한 독일 문제의 이원론은 통일 문제에 2가지 해결책을 제시했다. 첫 번째는 오스트리아를 배제한 독일을 주장하는 소독일주의(Kleindeutsche Lösung)였고, 두 번째는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포함하는 독일어권의 통일 독일, 즉 프라하 평화 협정 이전의 독일을 주장하는 대독일주의(Großdeutsche Lösung)였다.

역사가들은 프로이센의 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1866년 북독일 연방을 확장하여 나머지 독립 독일 국가들을 단일 국가로 포함시키려는, 즉 독일을 통일하려는 완전한 계획을 가지고 있었는지, 아니면 단순히 프로이센 왕국의 을 강화하기 위한 계획이었는지에 대해서 논쟁을 벌이고 있다. 역사가들은 비스마르크의 현실정치 더해 여러 요인들이 19세기 근대 초기 정체의 정치, 경제, 군사, 외교 관계를 재편성하게 했다고 결론짓는다. 덴마크와 프랑스의 민족주의에 대한 반응은 독일 통일의 표현을 제공했다. 3번의 지역 전쟁에서 프로이센의 군사적 성공은 정치인들이 독일의 통일을 촉진하게 만드는 열정과 자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는 나폴레옹 전쟁, 특히 1813년과 1814년의 나폴레옹으로부터의 해방 전쟁에서 얻은 성취에 대한 기억의 영향을 받았다. 소독일주의의 통일은 다민족인 오스트리아-헝가리나 독일어권 지역 없이 1871년의 정치적, 행정적 독일의 통일은 이원론의 문제를 일시적으로나마 해결했다.

독일이 통일되고 몇 년 동안 이름과 국경이 추가로 변경되고 헌법 체계가 개편되었으며, 제한된 주권, 영토와 정부의 통합이 중단되었다. 이후 연방제의 독일이 해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통일 과정에서 비롯된 정치 경험은 독일 연방 공화국이라는 현대적인 형태로 오늘날까지도 존속하고 있다.

각주

내용주

  1. 이 4개의 주는 오스트리아, 스위스,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을 뜻한다.
  2. 원어로 각각 독일어: Länder or Lande Lauenburg und Bütow, 폴란드어: starostwo drahimskiedlek.
  3. 소독일주의는 독일어권 합스부르크의 다민족 오스트리아를 배제한 독일의 통일을 주장하는 개념이다.

참조주

참고 문헌

  • Blackbourn, David (1994). 《Marpingen: Apparitions of the Virgin Mary in Bismarckian Germany》. New York: Knopf. ISBN 0-6794-1843-1. 
    • — (1998). 《The Long Nineteenth Century: A History of Germany, 1780–191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7672-9. 
  • Blackbourn, David; Eley, Geoff (1984). 《The Peculiarities of German History: Bourgeois Society and Politics in Nineteenth-Century Germany》.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7-3057-6. 
  • Blickle, Peter (2004). 《Heimat: A Critical Theory of the German Idea of Homeland》. 《Studies in German literature, linguistics and culture》 New판 (Columbia, South Carolina: Camden House Press). ISBN 978-1-5711-3303-8. OL 8730421M. 
  • Confino, Alon (1997). 《The Nation as a Local Metaphor: Württemberg, Imperial Germany, and National Memory, 1871–1918》.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ISBN 978-0-8078-4665-0. OL 1011446M. 
  • Dahrendorf, Ralf (1979). 《Society and Democracy in Germany》. Doubleday. ISBN 0-3850-6304-0. OL 21335583M. 
  • Evans, Richard J. (1987). 《Rethinking German History: Nineteenth-Century Germany and the Origins of the Third Reich》. London: Routledge. ISBN 978-0-0030-2090-8. 
    • — (2005). 《Death in Hamburg: Society and Politics in the Cholera Years, 1830–191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430-3636-4. 
  • Flores, Richard R. Remembering the Alamo: Memory, Modernity, and the Master Symbol. Austin: University of Texas, 2002. ISBN 978-0-2927-2540-9
  • Grew, Raymond; Bien, David D. (1978). 《Crises of Political Development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0-7598-0. OL 4740623M. 
  • Holt, Lucious Hudson; Chilton, Alexander Wheeler (1917). 《The History of Europe from 1862–1914: From the Accession of Bismarck to the Outbreak of the Great War》. New York: MacMillan. OCLC 1115959. OL 6604098M. 
  • Howard, Michael Eliot (1961). 《The Franco-Prussian War: The German invasion of France, 1870–1871》. New York: Routledge. ISBN 978-0-4150-2787-8. OL 7481175M. 
  • Kaplan, Marion (1991). 《The Making of the Jewish Middle Class: Women, Family, and Identity in Imperial German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9396-4. OL 7387583M. 
  • Krieger, Leonard (1957). 《The German Idea of Freedo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4-5347-7. OL 4125447W. 
  • Lee, Lloyd (1980). 《The Politics of Harmony: Civil Service, Liberalism, and Social Reform in Baden, 1800–1850》. Cranbury, New Jersey: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ISBN 978-0-8741-3143-7. OL 8381260M. 
  • Llobera, Josep R.; Goldsmiths' College (1996). 《The role of historical memory in (ethno)nation-building》. 《Goldsmiths Sociology Papers》 (London: Goldsmiths College). ISBN 978-0-9029-8606-0. OL 17517779M. 
  • Mann, Golo (1958). 《Deutsche Geschichte des 19. und 20. Jahrhunderts》. S. Fischer. ISBN 3-1034-7901-8. OL 15250052M. 
    • — (1968). 《The History of Germany Since 1789》. OL 5546196M. 
  • Minahan, James (2000). 〈Germans〉.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0-313-30984-1. 2016년 3월 11일에 확인함. 
  • Nipperdey, Thomas (1996). 《Germany from Napoleon to Bismarck, 1800–1866》. 번역 Nolan, Daniel.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6-3611-5. OL 1273142M. 
  • Scribner, Robert W.; Ogilvie, Sheilagh C., 편집. (1996). 《Germany: A New Social and Economic History》. London: Arnold Publication. ISBN 978-0-3405-1332-3. 
  • Sheehan, James J. (1989). 《German History 1770–1866》. Oxford History of Modern Europ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2-0432-9. OL 7397485M. 
  • Sperber, Jonathan (1984). 《Popular Catholicism in Nineteenth-Century Germany》.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5432-2. OCLC 10559169. OL 2867289M. 
    • — (1993). 《Rhineland Radicals: The Democratic Movement and the Revolution of 1848–1849》.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0866-0. 
  • Taylor, A. J. P. (1988). 《Bismarck: The Man and the Statesman》. Oxford: Clarendon. ISBN 978-0-3947-0387-9. OL 7461954M. 
  • Victoria and Albert Museum, Dept. of Prints and Drawings, and Susan Lambert. The Franco-Prussian War and the Commune in Caricature, 1870–71. London, 1971. ISBN 0-9014-8630-2
  • Wawro, Geoffrey (1996). 《The Austro-Prussian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5-6059-4. OL 813265M. 
  • Zamoyski, Adam (2007). 《Rites of Peace: The Fall of Napoleon and the Congress of Vienna》. New York: HarperCollins. ISBN 978-0-0607-7518-6. OL 7281494M. 

같이 읽기

  • Bazillion, Richard J. Modernizing Germany: Karl Biedermann's career in the kingdom of Saxony, 1835–1901. American university studies. Series IX, History, vol. 84. New York, Peter Lang, 1990. ISBN 0-8204-1185-X
  • Brose, Eric Dorn. German History, 1789–1871: From the Holy Roman Empire to the Bismarckian Reich. (1997)
  • Bucholz, Arden (1991). 《Moltke, Schlieffen, and Prussian War Planning》. New York: Berg. ISBN 0-8549-6653-6. 
    • — (2001). 《Moltke and the German Wars 1864–1871》. New York: Palgrave MacMillan. ISBN 0-3336-8758-2. 
  • Clark, Christopher. Iron Kingdom: The Rise and Downfall of Prussia, 1600–1947. Cambridg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2009. ISBN 978-0-674-03196-8
  • Clemente, Steven E. For King and Kaiser!: The Making of the Prussian Army Officer, 1860–1914. Contributions in military studies, no. 123. New York: Greenwood, 1992. ISBN 0-3132-8004-5
  • Cocks, Geoffrey and Konrad Hugo Jarausch. German Professions, 1800–195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ISBN 0-1950-5596-9
  • Dwyer, Philip G. Modern Prussian history, 1830–1947. Harlow, England, New York: Longman, 2001. ISBN 0-5822-9270-0
  • Friedrich, Otto. Blood and Iron: From Bismarck to Hitler the Von Moltke Family's Impact On German History. New York, Harper, 1995. ISBN 0-0601-6866-8
  • Groh, John E. Nineteenth-Century German Protestantism: The Church As Social Model. Washington, D.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2. ISBN 0-8191-2078-2
  • Henne, Helmut, and Georg Objartel. German Student Jargon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Berlin & NY, de Gruyter, 1983. OCLC 9193308
  • Hughes, Michael. Nationalism and Society: Germany, 1800–1945. London & New York, Edward Arnold, 1988. ISBN 0-7131-6522-7
  • Kollander, Patricia. Frederick III: Germany's Liberal Emperor,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world history, no. 50. Westport, Conn., Greenwood, 1995. ISBN 0-3132-9483-6
  • Lowenstein, Steven M. The Berlin Jewish Community: Enlightenment, Family, and Crisis, 1770–1830. Studies in Jewish histo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ISBN 0-1950-8326-1
  • Lüdtke, Alf. Police and State in Prussia, 1815–1850. Cambridge, New York & Par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ISBN 0-5211-1187-0
  • Ogilvie, Sheilagh, and Richard Overy. Germany: A New Social and Economic History Volume 3: Since 1800 (2004)
  • Ohles, Frederik. Germany's Rude Awakening: Censorship in the Land of the Brothers Grimm. Kent, Ohio,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92. ISBN 0-8733-8460-1
  • Pflanze Otto, ed. The Unification of Germany, 1848–1871 (1979), essays by historians
  • Schleunes, Karl A. Schooling and Society: The Politics of Education in Prussia and Bavaria, 1750–1900.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ISBN 0-8549-6267-0
  • Schulze, Hagen (1991). 《The Course of German Nationalism: From Frederick the Great to Bismarck, 1763–1867》. Cambridge &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3-7759-1. OL 2227160M. 
  • Showalter, Dennis E. (2015). 《The Wars of German Unification》 2판. 
    • — (1975). 《Railroads and Rifles: Soldiers, Technology,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Hamden, Connecticut: Hailer. ISBN 0-9798-5009-6. 
  • Sked, Alan. Decline and Fall of the Habsburg Empire 1815–1918. London, Longman, 2001. ISBN 978-0-5823-5666-5
  • Smith, Woodruff D. Politics and the Sciences of Culture in Germany, 1840–192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ISBN 0-1950-6536-0
  • Sorkin, David, The Transformation of German Jewry, 1780–1840, Studies in Jewish history. New York,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87. ISBN 978-0-8143-2828-6
  • Sperber, Jonathan (1994). 《The European Revolutions, 1848–1851》. New Approaches to Europe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4779-6. OCLC 27814087. OL 24776092M. 
  • Stargardt, Nicholas. The German Idea of Militarism: Radical and Socialist Critics, 1866–191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ISBN 978-0-5214-6692-9
  • Steinberg, Jonathan. Bismarck: A Life (2011)
  • Wawro, Geoffrey (2000). 《Warfare and Society in Europe, 1792–1914》. Routledge. ISBN 978-0-4152-1445-2. OCLC 50552980. OL 45213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