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민주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민중민주파||[[대한민국]]의 [[운동권]]}}
{{다른 뜻|민중민주파||[[대한민국]]의 [[운동권]]}}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민중민주주의'''(民衆民主主義) 또는 '''인민민주주의'''(人民民主主義, People's democracy)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이론상 개념 중 하나이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이오시프 스탈린]]은 중앙유럽과 아시아 각국 공산당에 노동자·농민·지식인·학생의 연립 정권을 구성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종전 후 갑작스러운 공산화 과정에서 공산주의자들이 수월하게 공산주의로 나아가기 위해 다양한 계급을 하나의 혁명집단으로 묶을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할 정치적 여유를 벌기 위함이다. 두 번째는, 중앙유럽과 아시아 일대의 생산력이 공산주의국가인 소련에 미치지 못 했기에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사이의 발전 단계를 놓으려는 의도이다.<ref>{{서적 인용|last1=Nation|first1=R. Craig|title=Black Earth, Red Star: A History of Soviet Security Policy, 1917-1991|date=1992|publisher=Cornell University Press|isbn=978-0801480072|pages=85–6|url=https://books.google.ie/books?id=WK18-OoR0pIC&pg=PA85#v=onepage&q&f=false|accessdate=19 December 2014}}</ref>
'''민중민주주의'''(民衆民主主義) 또는 '''인민민주주의'''(人民民主主義, People's democracy)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이론상 개념 중 하나이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이오시프 스탈린]]은 동유럽과 아시아 각국 공산당에 산업프롤레타리아·농민·지식인·소부르주아의 연립 정권을 구성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종전 후 갑작스러운 공산화 과정에서 공산주의자들이 수월하게 사회주의로 나아가기 위해 다양한 계급을 하나의 혁명집단으로 묶을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할 정치적 여유를 벌기 위함이다. 두 번째는, 동유럽과 아시아 일대의 생산력이 사회주의국가인 소련에 미치지 못 했기에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의 발전 단계를 놓으려는 의도이다.<ref>{{서적 인용|last1=Nation|first1=R. Craig|title=Black Earth, Red Star: A History of Soviet Security Policy, 1917-1991|date=1992|publisher=Cornell University Press|isbn=978-0801480072|pages=85–6|url=https://books.google.ie/books?id=WK18-OoR0pIC&pg=PA85#v=onepage&q&f=false|accessdate=19 December 2014}}</ref>


== 각국 사례 ==
== 각국 사례 ==
=== 현재 ===
=== 현재 ===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은 자국을 공산주의국가로 규정하는 동시에 인민민주독재([[신민주주의 (마오쩌둥 사상)|신민주주의]]) 단계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거의 대부분의 공산주의제도 성취를 달성했으나, 완전한 공산주의 달성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라오스를 제외한 나머지 [[베트남]]·[[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쿠바]] 등은 헌법에서 자국이 엄연한 공산주의국가임을 명시하고 있다. 그 자세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은 자국을 사회주의국가로 규정하는 동시에 인민민주독재([[신민주주의 (마오쩌둥 사상)|신민주주의]]) 단계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사회주의제도 성취를 달성했으나, 완전한 사회주의 달성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라오스를 제외한 나머지 [[베트남]]·[[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쿠바]] 등은 헌법에서 자국이 엄연한 사회주의국가임을 명시하고 있다. 그 자세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39번째 줄: 39번째 줄:
! {{국기나라|중화인민공화국}}
! {{국기나라|중화인민공화국}}
|
|
| align="center" |1949년 - 현재<ref>[https://ko.wikisource.org/wiki/%EC%A4%91%ED%99%94%EC%9D%B8%EB%AF%BC%EA%B3%B5%ED%99%94%EA%B5%AD%ED%97%8C%EB%B2%95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1조] "중화인민공화국은 노동 계급이 지도하고 노농동맹을 기초로 하는 인민민주주의 독재의 공산주의 국가이다."</ref>
| align="center" |1949년 - 현재<ref>[https://ko.wikisource.org/wiki/%EC%A4%91%ED%99%94%EC%9D%B8%EB%AF%BC%EA%B3%B5%ED%99%94%EA%B5%AD%ED%97%8C%EB%B2%95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1조] "중화인민공화국은 노동 계급이 지도하고 노농동맹을 기초로 하는 인민민주주의 독재의 사회주의 국가이다."</ref>
|
|
|
|
53번째 줄: 53번째 줄:


=== 과거 ===
=== 과거 ===
소련 해체 이전에 존재했던 중앙유럽 및 기타 공산권의 사회발전단계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소련 해체 이전에 존재했던 동유럽 및 기타 공산권의 사회발전단계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2020년 1월 3일 (금) 16:31 판

민중민주주의(民衆民主主義) 또는 인민민주주의(人民民主主義, People's democracy)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이론상 개념 중 하나이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이오시프 스탈린은 동유럽과 아시아 각국 공산당에 산업프롤레타리아·농민·지식인·소부르주아의 연립 정권을 구성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종전 후 갑작스러운 공산화 과정에서 공산주의자들이 수월하게 사회주의로 나아가기 위해 다양한 계급을 하나의 혁명집단으로 묶을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할 정치적 여유를 벌기 위함이다. 두 번째는, 동유럽과 아시아 일대의 생산력이 사회주의국가인 소련에 미치지 못 했기에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의 발전 단계를 놓으려는 의도이다.[1]

각국 사례

현재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은 자국을 사회주의국가로 규정하는 동시에 인민민주독재(신민주주의) 단계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사회주의제도 성취를 달성했으나, 완전한 사회주의 달성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라오스를 제외한 나머지 베트남·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쿠바 등은 헌법에서 자국이 엄연한 사회주의국가임을 명시하고 있다. 그 자세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국가 부르주아민주주의 단계→ 인민민주주의 단계→ 사회주의 단계→ 전인민국가 단계→[2] 공산주의 단계
라오스의 기 라오스 1975년 - 현재[3]
베트남의 기 베트남 1946년 - 1959년 1959년[4][5] - 1980년 1980년[6] -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8년[7] - 1972년 1972년[8] -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1949년 - 현재[9]
쿠바의 기 쿠바 1961년 - 1976년 1976년[10] - 현재

과거

소련 해체 이전에 존재했던 동유럽 및 기타 공산권의 사회발전단계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국가 부르주아민주주의 단계→ 인민민주주의 단계→ 사회주의 단계→ 전인민국가 단계→ 공산주의 단계
독일민주공화국 1949년 - 1990년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1948년 - 1965년 1965년[11] - 1989년
모잠비크 인민공화국 1975년 - 1990년
몽골 인민공화국 1924년 - 1960년 1960년[12] - 1992년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1947년 - 1971년 1971년[13] - 1990년
소련의 기 소련 1917년 2월 - 1918년 7월 1918년 7월[14] - 1977년 10월 1977년 10월[15] - 1991년 12월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1978년 - 1992년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1946년 - 1976년 1976년[16] - 1992년
앙골라 인민공화국 1975년 - 1992년
에티오피아 인민민주공화국 1987년 - 1991년
예멘 인민민주공화국 1967년 - 1990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1946년 - 1963년 1963년[17] - 1992년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1948년 - 1960년 1960년[18] - 1990년
민주 캄푸치아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1975년 - 1979년
1979년 - 1989년
폴란드 인민공화국 1952년 - 1989년
헝가리 인민공화국 1949년 - 1972년 1972년[19] - 1989년

각주

  1. Nation, R. Craig (1992). 《Black Earth, Red Star: A History of Soviet Security Policy, 1917-1991》. Cornell University Press. 85–6쪽. ISBN 978-0801480072. 2014년 12월 19일에 확인함. 
  2. 단, 반수정주의자들은 전인민국가 단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3. MacAlister Brown and Joseph J. Zasloff. "Development of the Constitution". A country study: Laos (Andrea Matles Savada, editor). Library of Congress Federal Research Division (July 1994).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4. Ronald J. Cima (December 1987). Ronald J. Cima (ed.). Vietnam: A country study. Federal Research Division. Constitutional Evolution.
  5. 1946년에 채택한 헌법은 미국 독립선언서에 기초한 부르주아민주주의 헌법이었으며, 본격적인 인민민주주의 헌법은 1959년 개정 때 등장한다.
  6. Ronald J. Cima(위와 동일)
  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차 헌법(1948) 제13조 "공민은 언론·출판·결사·집회·군중대회 및 시위의 자유를 가진다. 공민은 민주주의정당, 직업동맹, 협동단체, 체육·문화·기술·과학 기타 단체를 조직할 수 있으며 이에 참가할 수 있다."
  8. 사회주의헌법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전체 조선인민의 리익을 대표하는 자주적인 사회주의 국가이다."
  9.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1조 "중화인민공화국은 노동 계급이 지도하고 노농동맹을 기초로 하는 인민민주주의 독재의 사회주의 국가이다."
  10.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25 June 2012.
  11. Stoica, Stan (coordinator). Dicţionar de Istorie a României. Bucharest: Editura Merona, 2007.
  12. 1960년 몽골 인민공화국 헌법 정보(중간 부분)
  13. Glenn E. Curtis. "Government and Politics: The Zhivkov Era".
  14. “The first Constitution of RSFSR adopted 10 July 1918”. Boris Yeltsin Presidential Library. 2015년 4월 20일에 확인함. 
  15. 1977년 헌법 전문
  16. Andersen, Bjoern, ed. (17 March 2005). "The Albanian Constitution of 1976". Retrieved 29 July 2016.
  17. Glenn E. Curtis (ed.). Yugoslavia: A country study. Federal Research Division. The 1963 Constitution.
  18. Czech text of the 1960 ver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0, 2007).
  19. Rakowska-Harmstone, Teresa. Communism in Eastern Europe (1984), Indiana University Press p.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