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외래어 표기법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
위키백과의 표기법은 위키백과:외국어 고유 명사의 한글 표기를 참고하세요.
목차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편집]
-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제2장 표기 일람표, 제3장 표기 세칙[편집]
고시된 외래어 표기법[편집]
언어 | 외래어 표기법 | 외래어 표기법 제2장 표기 일람표 |
외래어 표기법 제3장 표기 세칙 |
사용 가능한 표기법 목록 |
---|---|---|---|---|
국제 음성 기호 |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 [1] | ||
영어 | /영어 | [2] | 영어의 한글 표기 | |
독일어 | /독일어 | [3] | 독일어의 한글 표기 | |
프랑스어 | /프랑스어 | [4] | 프랑스어의 한글 표기 | |
스페인어 | /스페인어 | [5] | [6] | 스페인어의 한글 표기 |
이탈리아어 | /이탈리아어 | [7] | [8] | 이탈리아어의 한글 표기 |
일본어 | /일본어 | [9] | [10] | 일본어의 한글 표기 |
중국어 | /중국어 | [11] | [12] | 중국어의 한글 표기 |
폴란드어 | /폴란드어 | [13] | [14] | 폴란드어의 한글 표기 |
체코어 | /체코어 | [15] | [16] | 체코어의 한글 표기 |
세르보크로아트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 [17] | [18] | 세르보크로아트어의 한글 표기 |
루마니아어 | /루마니아어 | [19] | [20] | 루마니아어의 한글 표기 |
헝가리어 | /헝가리어 | [21] | [22] | 헝가리어의 한글 표기 |
스웨덴어 | /스웨덴어 | [23] | [24] | 스웨덴어의 한글 표기 |
노르웨이어 | /노르웨이어 | [25] | [26] | 노르웨이어의 한글 표기 |
덴마크어 | /덴마크어 | [27] | [28] | 덴마크어의 한글 표기 |
말레이인도네시아어 | /말레이인도네시아어 | [29] | [30] | 말레이인도네시아어의 한글 표기 |
태국어 | /태국어 | [31] | [32] | 태국어의 한글 표기 |
베트남어 | /베트남어 | [33] | [34] | 베트남어의 한글 표기 |
포르투갈어 | /포르투갈어 | [35] | [36] | 포르투갈어의 한글 표기 |
네덜란드어 | /네덜란드어 | [37] | [38] | 네덜란드어의 한글 표기 |
러시아어 | /러시아어 | [39] | [40] | 러시아어의 한글 표기 |
표기법 시안 외[편집]
아래 목록은 국립국어원 또는 일반 사용자가 만든 표기법 안으로, 한국어 어문 규정의 일부는 아니다.
언어 |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 시안 | 사용 가능한 표기법 목록 |
---|---|---|
기타 언어 | /기타 언어의 표기 일반 원칙 | |
고대 노르드어 | 고대 노르드어의 한글 표기 | |
광둥어 | 광둥어의 한글 표기 | |
그리스어 | /그리스어 시안 | 그리스어의 한글 표기 그리스의 지명 |
라오어 | 라오어의 한글 표기 | |
라틴어 | /라틴어 표기 원칙 | |
민난어 | 민난어의 한글 표기 | |
스와힐리어 | 스와힐리어의 한글 표기 | |
아랍어 | /아랍어 시안 | 아랍어의 한글 표기 |
암하라어 | 암하라어의 한글 표기 | |
에스토니아어 | 에스토니아어의 한글 표기 | |
우크라이나어 | 우크라이나어의 한글 표기 | |
크메르어 | 크메르어의 한글 표기 | |
터키어 | /터키어 시안 | 터키어의 한글 표기 |
핀란드어 | 핀란드어의 한글 표기 | |
좡어 | 좡어의 한글 표기 |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편집]
제1절 표기 원칙[편집]
- 제1항 외국의 인명, 지명의 표기는 제1장, 제2장, 제3장의 규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제2항 제3장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언어권의 인명, 지명은 원지음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Ankara 앙카라 | Gandhi 간디 |
- 제3항 원지음이 아닌 제3국의 발음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은 관용을 따른다.
Hague 헤이그 | Caesar 시저 |
- 제4항 고유 명사의 번역명이 통용되는 경우 관용을 따른다.
Pacific Ocean 태평양 | Black Sea 흑해 |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편집]
- 제1항 중국 인명은 과거인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 제2항 중국의 역사 지명으로서 현재 쓰이지 않는 것은 우리 한자음대로 하고, 현재 지명과 동일한 것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 제3항 일본의 인명과 지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 제4항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東京 도쿄, 동경 | 京都 교토, 경도 |
上海 상하이, 상해 | 臺灣 타이완, 대만 |
黃河 황허, 황하 |
제3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편집]
- 제1항 바다는 ‘해(海)’로 통일한다.
홍해 | 발트해 | 아라비아해 |
- 제2항 우리나라를 제외하고 섬은 모두 ‘섬’으로 통일한다.
타이완섬 | 코르시카섬 | (우리나라: 제주도, 울릉도) |
- 제3항 한자 사용 지역(일본, 중국)의 지명이 하나의 한자로 되어 있을 경우, ‘강’, ‘산’, ‘호’, ‘섬’ 등은 겹쳐 적는다.
온타케산(御岳) | 주장강(珠江) |
도시마섬(利島) | 하야카와강(早川) |
위산산(玉山) |
- 제4항 지명이 산맥, 산, 강 등의 뜻이 들어 있는 것은 ‘산맥’, ‘산’, ‘강’ 등을 겹쳐 적는다.
Rio Grande 리오그란데강 | Monte Rosa 몬테로사산 |
Mont Blanc 몽블랑산 | Sierra Madre 시에라마드레산맥 |
연혁[편집]
- 문교부고시 제85-11호(1986년 1월 7일)
- 문화부고시 제1991-31호(1992년 11월 27일) - 동유럽 폴란드어·체코어·세르보크로아트어·루마니아어·헝가리어 표기법 추가
- 문화체육부고시 제1995-8호(1995년 3월 16일) - 북유럽 스웨덴어·노르웨이어·덴마크어 표기법 추가
- 문화관광부고시 제2004-11호(2004년 12월 20일) - 동남아시아 말레이인도네시아어·태국어(타이어)·베트남어 표기법 추가
- 문화관광부고시 제2005-32호(2005년 12월 28일 시행) - 포르투갈어·네덜란드어·러시아어 표기법 추가
-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4-43호(2014년 12월 5일 시행)
-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7-14호(2017년 3월 28일 시행) - ‘-어(語)’, ‘-산(山)’ 등 띄어쓰기 변경
외래어 표기 용례집[편집]
- 외래어 표기 용례집 (일반 용어) hwp 파일 (2010년 1월)
- 외래어 표기 용례집 (지명) hwp 파일 (2010년 1월)
- 외래어 표기 용례집 (인명) hwp 파일 (2010년 1월)
- 외래어 표기 용례집 (일본 인명/지명) hwp 파일 (2010년 1월)
- 외래어 표기 용례집 (중국 인명) hwp 파일 (2010년 1월)
- 외래어 표기 용례집 (중국 지명) hwp 파일 (2010년 1월)
- 포르투갈어/네덜란드어/러시아어 용례집 hwp 파일 압축
- 말레이인도네시아어/타이어/베트남어 용례집 pdf 파일 (2004년 12월)
- 국립국어연구원의 외래어 표기법 제1장-제4장, 외래어 표기 용례집 pdf 파일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주요 결정 내용[편집]
2010년 이후 자료 중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실무소위원회 심의 자료는 국립국어원 자료실에 올라오고 있습니다. (hwp 파일)
-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회의록 정리 (Firefox에서는 잘 안 보임)
- 091203정부언론1-88차_심의_결정안.hwp[깨진 링크]
- 제87차 - 독일 메르켈 2차 내각, 일본 하토야마 내각 명단
- 제83차 - 미국 오바마 내각 각료 명단
- 제82차 - 동유럽 국가 명칭 벨로루시를 벨라루스로 바꿈
- 제77차 - 영국 내각, 2009/2010/2011 허리케인 이름
- 제76차 - 프랑스 내각
- 제75차 - 2007년 허리케인 이름
- 제64차 - 잉글랜드 프리미어십 팀 이름
- 제62차 - 조지 W. 부시 제2기 각료 명단
- 제51차 - 중국의 지도부 (2003년 2월), 제75회 아카데미상 (2003년 3월)
- 제50차 - 미국 국무부 명단
- 제47차 - 터키의 주 이름
- 제46차 - 아프가니스탄 과도정부 (2002년 6월)
- 제45차 - 2002 월드컵 참가 감독/선수 명단
- 제44차 - 이탈리아의 지명(주/현/주도/현도), 타이완의 각료 명단, 아프가니스탄의 각료 명단, 미국 아이스하키 NHL 팀 명단
- 제43차 - 프랑스의 지명 일부, 방글라데시 각료 (2001년 10월), 싱가포르 내각 (2001년 11월)
- 제42차 - 2001년 노벨상 수상자.
- 제41차 - 타이완 각료/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각료
- 제40차 - 중국의 성 이름/영국,이탈리아,일본 각료 명단
- 제39차 - 이스라엘 내각/제73회 아카데미상
- 제38차 - 부시 정권 제1기 각료, 태국 주요 각료
- 제37차 - 포르투갈, 브라질의 지명; 일본 모리 2차 내각
- 제36차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우승자 일부
- 제35차 - 2000년 노벨상 수상자. 제3차 ASEM 참가자 명단(아시아 유럽 국가 원수)
- 제33차 - 핀란드의 주/주도, 제72회 아카데미상 수상자, 일본 모리 내각
- 제32차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1961-1999)
- 제31차 - 북아일랜드 각료 (1999년 11월)
- 제30차 - 일본 오부치 2차 내각 (1999년 10월), 1999년 노벨상 수상자, 역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1901 - 60)
- 제29차 - EU 집행위원, 이스라엘 내각, 역대 노벨 화학상
- 제28차 - 역대 주한 미국 대사 명단, 인도의 주/주도, 역대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제27차 -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 자치주 명단, 새 화학 원소 이름, 재71회 아카데미상 수상자 명단, 역대 노벨 문학상 수상자
- 제26차 - 영국의 주명, 역대 노벨 평화상 수상자, 일본 오부치 연립 내각, 말레이시아 내각, 캄보디아 내각, 태국 내각
- 제25차 - 러시아의 공화국 이름, 이탈리아 내각 (1998년), 러시아 옐친 정부 명단, 슬로바키아 각료, 미얀마 각료, 역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나라/수도/화폐/공용어 표
- 제24차 - 독일 주, 국제 연합 각 기구 사무총장(UN 역대사무총장 이름 포함), 노르웨이 각료, 독일 각료, 1998년 노벨상 수상자
- 제23차 - 일본 오부치 내각, 필리핀 에스트라다 내각, 프랑스 월드컵 올스타 선수
- 제22차 - 러시아/인도네시아 내각
- 제21차 - 70회 아카데미상
- 제19차 - 1997년 노벨상 수상자
- 제18차 - 중국 장쩌민 지도부 (1997년 9월), 일본 하시모토 2차 내각, 타이완/이란 각료, 주한 외국 대사, 세계 주요 항공사/공항 이름
- 제17차 - 프랑스 시라크/조스팽 각료
- 제16차 - 제69회 아카데미상, 주한 외국 대사, 영국 블레어 내각(1997년 5월)
- 제15차 - 미국 클린턴 제2기 내각
- 제14차 - 미국 미식축구 팀 명단, 일본 하시모토 내각(1996년)
- 제13차 - 러시아 내각, 태풍 이름 (예전 알파벳 순 시절)
- 제12차 - 미국 프로농구 팀
- 제11차 - 미국 프로야구 팀
- 제10차/제9차 - 일본 하시모토/무라야마 내각
외부 링크[편집]
-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 규정 보기
- Hangulize: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표기를 변환해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