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외래어 표기법/노르웨이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외래어의 한글 표기 |
---|
기본 수칙 |
외래어 표기법 |
비공식 / 자체 표기법 |
관련 링크 |
|
다음은 국립국어원이 정한 노르웨이어 표기법입니다.
노르웨이어의 표기[편집]
자모 | 한글 | 보기 | ||
---|---|---|---|---|
모음 앞 | 자음 앞 · 어말 | |||
자음 | b | ㅂ | ㅂ, 브 | Bodø 보되, Ibsen 입센, dobb 도브 |
c | ㅋ, ㅅ | 크 | Jacob 야코브, Vincent 빈센트 | |
ch | ㅋ | 크 | Joachim 요아킴, Christian 크리스티안 | |
d | ㄷ | Bodø 보되, Norden 노르덴 | ||
적지 않음 (장모음 뒤) |
spade 스파에 | |||
적지 않음 (ld, nd의 d) |
Arnold 아르놀, Harald 하랄, Roald 로알, Aasmund 오스문, Vigeland 비겔란, Svendsen 스벤센 | |||
적지 않음 (장모음+rd) |
fjord 피오르, Sigurd 시구르, gård 고르, nord 노르, Halvard 할바르, Edvard 에드바르 | |||
드 (단모음+rd) |
ferd 페르드, Rikard 리카르드 | |||
적지 않음 (장모음 뒤) |
glad 글라, Sjaastad 쇼스타 | |||
드 | dreng 드렝, bad 바드 | |||
f | ㅍ | 프 | Hammerfest 함메르페스트, biff 비프 | |
g | ㄱ | gå 고, gave 가베 | ||
이* | gigla 이글라, gyllen 윌렌 | |||
적지 않음 (이중 모음 뒤와 ig, lig) |
haug 헤우, deig 데이, Solveig 솔베이, farlig 팔리 | |||
ㅇ (n 앞) |
Agnes 앙네스, Magnus 망누스 | |||
ㄱ (무성음 앞) |
sagtang 삭탕 | |||
그 | grov 그로브, berg 베르그, helg 헬그 | |||
gj | 이* | – | Gjeld 옐, gjenta 옌타 | |
h | ㅎ | Johan 요한, Holm 홀름 | ||
적지 않음 | Hjalmar 얄마르, Hvalter 발테르,Krohg 크로그 | |||
j | 이* | – | Jonas 요나스, Bjørn 비에른, fjord 피오르, Skodje 스코디에, Evje 에비에, Tjeldstø 티엘스퇴 | |
k | ㅋ, 시* | ㄱ, 크 | Rikard 리카르드, Kirsten 시르스텐, Kyndig 쉰디, Køyra 셰위라, lukt 룩트, Erik 에리크 | |
kj | 시* | - | Kjerschow 셰르쇼브, Kjerulf 셰룰프, Mikkjel 미셸 | |
l | ㄹ, ㄹㄹ | ㄹ | Larvik 라르비크, Ålesund 올레순, sol 솔 | |
m | ㅁ | ㅁ | Moss 모스, Trivandrum 트리반드룸 | |
n | ㄴ | ㄴ | Namsos 남소스, konto 콘토 | |
ng | ㅇ | ㅇ | Lange 랑에, Elling 엘링, tvang 트방 | |
nk | ㅇㅋ | ㅇㅋ | ankel 앙켈, punkt 풍트, bank 방크 | |
p | ㅍ | ㅂ, 프 | pels 펠스, september 셉템베르, sopp 소프 | |
qu | 크ㅂ | – | Quisling 크비슬링 | |
r | ㄹ | 르 | Ringvassøy 링바쇠위, Lillehammer 릴레함메르 | |
rl | ㄹㄹ | ㄹ | Øverland 외벨란 | |
s | ㅅ | 스 | Namsos 남소스, Svalbard 스발바르 | |
sch | 시* | 슈 | Schæferhund 셰페르훈, Frisch 프리슈 | |
sj | 시* | – | Sjaastad 쇼스타, Sjoa 쇼아 | |
sk | 스ㅋ, 시* | 스크 | skatt 스카트, Skienselv 시엔스엘브, skram 스크람, Ekofisk 에코피스크 | |
skj | 시* | – | Skjeggedalsfoss 셰게달스포스, Skjåk 쇼크 | |
t | ㅌ | ㅅ, 트 | metal 메탈, husets 후셋스, slet 슬레트, lukt 룩트 | |
적지 않음 (어말 관사 et) |
huset 후세, møtet 뫼테, taket 타케 | |||
th | ㅌ | 트 | Dorthe 도르테, Matthias 마티아스, Hjorth 요르트 | |
tj | 시* | – | tjern 셰른, tjue 슈에 | |
v, w | ㅂ | 브 | varm 바름, Kjerschow 셰르쇼브 | |
모음 | a | 아 | Hamar 하마르, Alta 알타 | |
aa, å | 오 | Aall 올, Aasmund 오스문, Kåre 코레, Vesterålen 베스테롤렌, Vestvågøy 베스트보괴위, Ålesund 올레순 | ||
au | 에우 | haug 헤우, lauk 레우크, grauk 그레우크 | ||
æ | 에 | være 베레, Svolvær 스볼베르 | ||
e | 에 | esel 에셀, fare 파레 | ||
eg | 에이, 에그 | regn 레인, tegn 테인, negl 네일, deg 데그, egg 에그 | ||
ø | 외, 에 | Løken 뢰켄, Gjøvik 예비크, Bjørn 비에른 | ||
i | 이 | Larvik 라르비크, Narvik 나르비크 | ||
ie | 이 | Grieg 그리그, Nielsen 닐센, Lie 리 | ||
o | 오 | Lonin 로닌, bok 보크, bord 보르, fjorten 피오르텐 | ||
øg | 외위 | døgn 되윈, løgn 뢰윈 | ||
øy | 외위 | høy 회위, røyk 뢰위크, nøytral 뇌위트랄 | ||
u | 우 | Ålesund 올레순, Porsgrunn 포르스그룬 | ||
y | 위 | Stjernøy 스티에르뇌위, Vestvågøy 베스트보괴위 |
표기 세칙[편집]
위 표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제1항
- 1. b, g가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받침 'ㅂ, ㄱ'으로 적는다.
Ibsen 입센 | sagtang 삭탕 |
- 2. 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ㅂ, ㅅ'으로 적는다.
lukt 룩트 | september 셉템베르 | husets 후셋스 |
- 제2항: c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Jacob 야코브 | Vincent 빈센트 |
- 제3항: d
- 1. 모음 앞의 d는 'ㄷ'으로 적되, 장모음 뒤에서는 적지 않는다
Bodø 보되 | Norden 노르덴 | (장모음 뒤) spade 스파에 |
- 2. ld, nd의 d는 적지 않는다.
Harald 하랄 | Aasmund 오스문 |
- 3. 장모음+rd의 d는 적지 않는다.
fjord 피오르 | nord 노르 |
- 4. 단모음+rd의 d는 어말에서는 '드'로 적는다.
ferd 페르드 | mord 모르드 |
- 5. 장모음+d의 d는 적지 않는다.
glad 글라 | Sjaastad 쇼스타 |
- 6. 그 밖의 경우에는 '드'로 적는다.
dreng 드렝 |
※ 모음의 장단에 대해서는 노르웨이어의 발음을 보여 주는 사전을 참조하여야 한다.
- 제4항: g
- 1. 모음 앞의 g는 'ㄱ'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이'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god 고드 | gyllen 윌렌 |
- 2. g는 이중 모음 뒤와 ig, lig에서는 적지 않는다.
haug 헤우 | deig 데이 | Solveig 솔베이 | fattig 파티 | farlig 팔리 |
- 3. n 앞의 g는 'ㅇ'으로 적는다.
Agnes 앙네스 | Magnus 망누스 |
- 4. 무성 자음 앞의 g는 받침 'ㄱ'으로 적는다.
sagtang 삭탕 |
- 5.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berg 베르그 | helg 헬그 | Grieg 그리그 |
- 제5항: j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 앞의 자음과 합쳐서 적는다.
Bjørn 비에른 | fjord 피오르 | Skodje 스코디에 |
Evje 에비에 | Tjeldstø 티엘스퇴 |
- 제6항: k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Rikard 리카르드 | Kirsten 시르스텐 |
- 제7항: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sol 솔 | Quisling 크비슬링 |
- 제8항: nk는 자음 t 앞에서는 'ㅇ'으로, 그 밖의 경우에는 'ㅇ크'로 적는다.
punkt 풍트 | bank 방크 |
- 제9항: sk는 '스ㅋ'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skatt 스카트 | Skienselv 시엔스엘브 |
- 제10항: t
- 1. 어말 관사 et의 t는 적지 않는다.
huset 후세 | møtet 뫼테 | taket 타케 |
- 2. 다만, 어말 관사 et에 s가 첨가되면 받침 'ㅅ'으로 적는다.
husets 후셋스 |
- 제11항: eg
- 1. eg는 n, l 앞에서 '에이'로 적는다.
regn 레인 | tegn 테인 | negl 네일 |
- 2.그 밖의 경우에는 '에그'로 적는다.
deg 데그 | egg 에그 |
- 제12항: ø는 '외'로 적되, g, j, k, kj, lj, skj 다음에서는 '에'로 적고 앞의 '이' 또는 '시'와 합쳐서 적는다. 다만, jø 앞에 그 밖의 자음이 올 때에는 j는 앞의 자음과 합쳐 적고 ø는 '에'로 적는다.
Bodø 보되 | Gjøvik 예비크 | Bjørn 비에른 |
- 제13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단, mm, nn은 모음 앞에서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Moss 모스 | Mikkjel 미셸 |
Matthias 마티아스 | Hammerfest 함메르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