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와힐리어
사용 국가 | 탄자니아, 케냐, 콩고민주공화국, 르완다, 부룬디, 말라위, 모잠비크 등 |
---|---|
사용 지역 | 동아프리카 |
언어 인구 | 제1 언어: 1500만여 명~2500만여명 제2 언어: 4000만여 명~1억여 명 |
문자 | 로마자 아랍 문자 |
언어 계통 | 니제르콩고어족 애틀랜틱콩고어파 볼타콩고어군 베누에콩고어 반투제어군 남부 반투제어군 반투어군 중부 반투어군 G 그룹 사바키어 스와힐리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 ![]() ![]() 동아프리카 공동체 |
표준 | 없음. |
언어 부호 | |
ISO 639-1 | sw
|
ISO 639-2 | swa
|
ISO 639-3 | 다수: swa – Swahili (generic)swc – Congo Swahiliswh – Swahili (specific)
|
![]() | |
![]() |
스와힐리어는 아프리카 동부에서 널리 쓰이는 반투어군 언어이다. 남부 소말리아에서 모잠비크 북부까지, 동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1500km에 이르는 지역에서 쓰이는 스와힐리족의 모어이다. 대략 500만여 명이 첫 번째 언어로, 5,000만여 명이 두 번째 언어로 쓰고 있다.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와 인근 지역의 공용어이다.
개관
[편집]스와힐리어는 아프리카 동부 해안에 있는 섬인 잔지바르에서 기원했다. 잔지바르에서 쓰이는 방언은 키웅구자(웅구자어)라 불린다. 스와힐리어는 탄자니아, 케냐, 우간다(2005년부터)의 공용어이다. 이 언어는 콩고민주공화국의 4대 법적 국민어 중 하나이며, 르완다, 부룬디, 소말리아, 마요트를 포함한 코모로, 모잠비크, 말라위의 일부 지역에서도 쓰이고 있다. 또한, 2004년부터는 아프리카 연합에서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포르투갈어, 에스파냐어(2003년부터)에 이어 6번째로 업무어로 지정되었다. 그 외에도 시드마이어의 문명 4의 오프닝의 ost의 가사(주기도문)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사전
[편집]1999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에서 발행한 스와힐리어-한국어 사전이 있다. 편저자는 김윤진과 권명식이며, 분량은 800여 쪽이다. 다만, 이 사전은 영어에 영향을 받은 동부아프리카의 스와힐리어만을 대상으로 했고, 프랑스어에 영향받은 콩고민주공화국(약 2천5백만 명의 사용자), 부룬디, 르완다 등지의 스와힐리어는 제외됐다.
진료 사전
[편집]2011년 스와힐리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의 진료 활동을 위해 코이카 소속 내과 의사 장승훈(DrTanzania) 이 만든 스와힐리 어 진료 사전이 있다. PDF 파일과 안드로이드 앱 형식으로 무상 배포되었으며 분량은 90여 쪽이다. 이 사전은 한국어-영어-스와힐리어로 표기되었으며, 실제 환자 진료 시의 상황에 맞추어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스와힐리어 의학 사전과 인체도를 포함하고 있다.
음운
[편집]홀소리
[편집]a(/ɑ/), e(/ɛ/), i, o(/ɔ/), u 5개가 있다.
닿소리
[편집]입술소리 | 치경음 | 후치경음/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ny(/ɲ/) | ng’(/ŋ/) | ||
파열음/파찰음 | 무성음 | p | t | ch(/tʃ/) | k | |
내파음/유성음 | b(/ɓ~b/) | d(/ɗ~d/) | j(/ʄ~dʒ/) | g(/ɠ~ɡ/) | ||
선비음화 | mb(/mb̥/) | nd(/nd̥/) | nj(/nd̥ʒ̊/) | ng(/ŋɡ̊/)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sh(/ʃ/) | h | |
유성음 | v | z | ||||
선비음화 | mv(/mv̥/) | nz(/nz̥/) | ||||
유음 | 설측음 | l | ||||
비설측음 | r | |||||
반모음 | y(/j/) | w |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 Kamusi Project Internet Living Swahili Dictionary
![]() |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