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난어
사용 국가 | ![]() |
---|---|
사용 지역 | 중화민국 |
언어 인구 | 4,900만 명 |
순위 | 21위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 민난어 (민남어) |
언어 부호 | |
ISO 639-3 | nan 민난어
|
![]() | |
민난어 사용 지역 |
민난어(중국어 정체자: 閩南語, 간체자: 闽南语, 백화자: Bân-lâm-gú/Bân-lâm-gí, 타이뤄: Bân-lâm-gú/Bân-lâm-gí, 민핀: Bbánlámggǔ/Bbánlámggǐ, IPA(민난어): [ban˨˨ lam˨˨ gu˥˧]/[ban˨˨ lam˨˨ gɨ˥˥]/[ban˧˧ lam˧˧ gi˥˩], 한어 병음: Mǐnnányǔ) 또는 민남어는 중국어의 방언으로, 주로 푸젠성과 타이완에서 쓰인다. ‘민’(閩)은 푸젠(福建)을 간략히 일컫는 말이다. 전통적으로는 8개, 지역에 따라 7~8개의 성조가 존재한다. 광둥어와 마찬가지로 입성(入聲)이 존재한다.
언어가 사용되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푸젠에서
- 장주어 (漳州語)
- 천주어 (泉州語)
- 하문어 (廈門語)
- 푸젠 밖에서
하문어는 장주어와 천주어를 기본으로 한 크리올이다.
특이 사항[편집]
민난어는 한자가 아닌 로마자 지원을 하는 웹페이지의 특성을 볼 때, 베트남어와 비슷한 어휘 체계를 가지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민난어 위키백과 |
![]() |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타이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