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크라이나어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IPA: [ʊkrɐˈjinʲsʲkɐ ˈmɔʋɐ])
사용 국가 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기 러시아의 서부
벨라루스의 기 벨라루스의 남부
사용 지역 동유럽
언어 인구 4700만여 명 (2007)
순위 26위
문자 키릴 문자
언어 계통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
   우크라이나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트란스니스트리아의 기 트란스니스트리아
크림반도
표준 우크라이나 국립 과학원
언어 부호
ISO 639-1 uk
ISO 639-2 ukr
ISO 639-3

우크라이나어(우크라이나어: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는 우크라이나의 공용어이자 우크라이나 및 기타 지역에서 사용된다. 러시아어 등과 함께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우크라이나어

개요[편집]

같은 동슬라브어군 계통의 러시아어벨라루스어에 가까우며, 특히 벨라루스어의 영향을 받았다. 역사적으로 폴란드어, 벨라루스어,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일부는 헝가리어, 슬로바키아어몰도바어 등 주변 국가의 언어에서도 나온 차용어도 약간은 있다고 한다. 남부 우크라이나어는 특히 크림 타타르어의 영향도 받았으며, 조지아어, 불가리아어, 그리스어에서 나온 차용어가 약간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폴란드어의 영향도 있으며, 이전에는 러시아어, 벨라루스어의 영향을 받았다.

역사[편집]

우크라이나어는 18세기 말, 당시의 주요 방언인 북부·남서 및 남동 방언 중에서 키이우를 중심으로 한 남동 방언을 기초로 하여 이반 코틀랴레브스키가 창시하고 시인 타라스 셰우첸코가 보급시켰다. 이 언어는 1991년에 우크라이나의 공용어가 되었다.

문자[편집]

키릴 문자를 바탕으로 한 우크라이나어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우크라이나어 알파벳
А а Б б В в Г г Ґ ґ Д д Е е Є є Ж ж З з И и
І і Ї ї Й й К к Л л М м Н н О о П п Р р С с
Т т У у Ф ф Х х Ц ц Ч ч Ш ш Щ щ Ь ь Ю ю Я я
우크라이나어 사용 국가 및 인구
국가 사용 인구
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31,058,000
러시아의 기 러시아 (시베리아) 4,363,000
카자흐스탄의 기 카자흐스탄 898,000
미국의 기 미국 844,026
몰도바의 기 몰도바 600,000
헝가리의 기 헝가리 300,000
벨라루스의 기 벨라루스 291,000
캐나다의 기 캐나다 174,830
우즈베키스탄의 기 우즈베키스탄 153,000
폴란드의 기 폴란드 150,000
키르기스스탄의 기 키르기스스탄 109,000
슬로바키아의 기 슬로바키아 100,000
라트비아의 기 라트비아 78,000
루마니아의 기 루마니아 57,593
조지아의 기 조지아 52,000
리투아니아의 기 리투아니아 45,000
타지키스탄의 기 타지키스탄 41,000
투르크메니스탄의 기 투르크메니스탄 37,118
아제르바이잔의 기 아제르바이잔 32,000
파라과이의 기 파라과이 26,000
에스토니아의 기 에스토니아 21,320
아르메니아의 기 아르메니아 8,000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2,955

우크라이나어 Ш, Ж, Ч발음[편집]

Ш, Ж, Ч는 각각 ɧ, ɧ̬, t͡ɧ로 소리난다.

대한민국에서의 학습[편집]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학대학 우크라이나어과에서 우크라이나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네이버 사전에도 우크라이나어 사전이 수록되어 있다. 하지만 보기 드문 언어라서 한국어로 된 우크라이나어 교재는 적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