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흐리우냐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 |
---|---|
українська гривня (우크라이나어),
украинская гривна (러시아어) | |
ISO 4217 코드 | UAH |
중앙은행 | 우크라이나 국립은행 |
웹사이트 | www.bank.gov.ua |
사용국 | ![]() |
인플레이션 | 9.52% (2021 y-o-y)[1] |
출처 | NBU, 2019, May[2] |
보조단위 | |
1⁄100 | kopiyka (копійка) |
기호 | ₴ |
복수형 | 흐리우니 (гривні, 주격 복수형, 2에서 4까지), 와 흐리벤 (гривень, 소유격 복수형, 5 이상) |
kopiyka (копійка) | 코피이키 (копійки, 주격 복수형, 2에서 4까지), 코피이옥 (копійок, 소유격 복수형, 5 이상) |
동전 | |
자주 사용됨 | ₴1, ₴2, ₴5, ₴10 |
드물게 사용됨 | 10, 50 kopiyok |
지폐 | |
자주 사용됨 | ₴20, ₴50, ₴100, ₴200, ₴500, ₴1,000 |
드물게 사용됨 | ₴1, ₴2, ₴5, ₴10 |
흐리우냐(우크라이나어: гривня)는 우크라이나의 통화이다. 1 흐리우냐는 100 코피이카(копійка)에 해당된다. 흐리우냐라는 이름은 11세기 크이우 대공국의 통화였던 그리브나(гривна)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1990년대 초반 우크라이나에서 있었던 초인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한 차원에서 1996년 9월 2일을 기해 흐리우냐를 도입했다. 옛 통화였던 카르보바네츠와의 교환 비율은 100,000 카르보바네츠 = 1 흐리우냐이다. 1, 2, 5, 10, 25, 50 코피카, 1 흐리우냐, 2 흐리우니, 5, 10 흐리벤 동전과 1 흐리우냐, 2 흐리우니, 5, 10, 20, 50, 100, 200, 500 흐리벤 지폐가 통용된다. 2019년 10월 우크라이나 중앙은행은 1000 흐리벤 지폐를 도입했으며 10코피카 미만의 단위는 낮은 가치로 인해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우크라이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화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Ukrania Hryvnia”. 2017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Archived”. 2016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