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성 연구개 파열음(有聲軟口蓋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유성 파열음이다.
- 조음 방법은 조음기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다.
- 혓바닥과 연구개로 조음하는 연구개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강음이다.
- 기류가 혀 옆이 아니라 중앙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로부터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발음의 예[편집]
- 한국어: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유성음(ㅁ, ㄴ, ㄹ, ㅇ) 받침과 모음 사이의 'ㄱ'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일본어: が, ぎ, ぐ, げ, ご가 이 소리가 난다.
- 러시아어: Г가 이 소리가 나나, /k/발음이 되기도 한다.
- 독일어, 체코어, 말레이어, 폴란드어, 헝가리어: g가 이 소리가 난다.
- 프랑스어, 영어: g 뒤에 /e, i, y/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 덴마크어: 첫소리의 g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아제르바이잔어: q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터키어: g 뒤에 /e, i, ö, ü/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 노르웨이어: g 뒤에 /ei, i, j, øy, y/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 현대 그리스어: γκ 뒤에 /ai, e, i, oi, y/[1]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 스웨덴어: g 뒤에 /ä, e, i, ö, y/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카탈루냐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g 뒤에 /e, i/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
---|
닿소리 |
---|
— 이 표는 일부 브라우저에서 정확히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는 음성 기호를 포함하고 있다.
|
— 쌍으로 있는 기호는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이다.
|
— 어두운 부분은 조음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곳이다.
|
— 별표(*)가 붙어있는 곳은 비공식 기호인 경우이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