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후치경 마찰음
무성 후치경 마찰음 | |
ʃ | |
---|---|
그림 | ![]() |
IPA 번호 | 134 |
엔티티 | ʃ |
X-SAMPA | S |
키르셴바움 | S |
소리 | |
발음 설명[편집]
무성 후치경 마찰음(無聲後齒莖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후치경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다.
조음 방법[편집]
손가락을 이와 잇몸 사이에 넣고,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을 발음하면,손가락이 이에 눌리게 된다. 이때 혀를 조금만 뒤로 빼서 발음하면(손가락은 위의 방법으로 입에 댄다)된다. 또 치과에서 나는 소리를 흉내내도 이 소리가 난다. 치과 소리를 흉내낼 때 성대를 울려서 발음하면, 유성 후치경 마찰음이 된다.
발음의 예[편집]
- 영어: sh가 이 소리가 나타낸다. 예외는 매우 적다.
- 독일어: sch가 이 소리를 나타낸다.
- 이탈리아어: i와 e 앞의 sc, 다른 모음 앞의 sci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 š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알바니아어, 스와힐리어, 소말리어: sh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헝가리어: s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아일랜드어: s가 구개음화될 때 이 소리가 난다(북부 방언 제외).
- 튀르키예어, 쿠르만지어: Ş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우크라이나어, 불가리아어: Ш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아랍어, 우르두어: ش에서 이 소리가 난다.
![]() |
이 글은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