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 구개수 마찰음
유성 구개수 마찰음 | |
ʁ | |
---|---|
IPA 번호 | 143 |
엔티티 | ʁ |
X-SAMPA | R |
키르셴바움 | g" |
소리 | |
유성 구개수 마찰음(有聲口蓋垂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목젖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다. 이 발음은 혀 뒤쪽을 올려 연구개(여린입천장)과 협착을 이루고 목젖이 혀 뒤쪽에 닿는 소리이다.
발음의 예[편집]
- 프랑스어: 모든 'r', 'rr'이 이 소리가 난다. 그렇지만, 맨 끝 자리에 있는 'r'의 경우 소리를 내지 않기도 한다.
- 니브히어: Ӻ이 이 소리가 난다.
- 라코타어: ǧ에서 이 소리가 난다.
![]() |
이 글은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