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 순치 마찰음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성 순치 마찰음 | |
v | |
---|---|
그림 | ![]() |
IPA 번호 | 129 |
엔티티 | v |
X-SAMPA | v |
키르셴바움 | v |
소리 | |
유성 순치 마찰음(有聲脣齒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와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유성 마찰음이다.
조음 방법[편집]
- 윗니로 아랫입술을 가볍게 깨물어, 옆의 빈 공간으로 공기를 흐르게 한다.
- 빈 공간을 강하게 마찰한다.
- 윗니를 떼면서 마찰되는 공기를 강하게 내뱉음과 동시에 성대를 울린다.
특징[편집]
-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유지했다가 더 강하게 내는 마찰음이다.
- 윗니와 아랫입술로 조음하는 순치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강음이다.
- 기류가 혀 옆이 아니라 중앙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에서 발성 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발음의 예[편집]
- 영어:'v'가 이 소리가 난다,
- 그리스어:'β'가 이 소리가 난다.
-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베트남어: V가 이 소리가 난다.
- 유럽어 (영어, 스페인어 제외): 대부분의 'w'가 이 소리가 난다.
- 러시아어: В가 이 소리가 나지만, 단어 끝에 오는 경우에는 /f/발음이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