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성 치경 마찰음(有聲齒莖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잇몸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다.
조음 방법을 세분화하여 치찰음인 유성 치조 마찰음과 치찰음이 아닌 유성 치조 마찰음으로 나눌 수 있다.
종류 |
치 |
치조 |
치조후
|
치찰음 |
z̪ |
z |
z̠, ʐ, ʒ
|
비 치찰음 |
ð |
ð̠, ð͇, ɹ̝ |
ɻ̝
|
조음 방법[편집]
- 혀끝과 치조 간의 간격을 좁힌다.
- 좁혀진 혀끝과 치조사이를 강하게 마찰시킨다.
- 혀끝을 내리면서, 마찰되는 공기를 강하게 내뱉음과 동시에 성대를 울린다.
-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유지했다가 더 강하게 내는 마찰음이다.
- 혀를 치조나 그 주변에 대는 치조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강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에서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치찰음[편집]
- IPA 기호 z는 기류가 이빨 쪽으로 빠져나가는 치찰음을 의미한다.
- 치찰음이 아닌 유성 치조 마찰음을 위한 공식 IPA 기호는 없지만,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가 가능하다.
발음의 예[편집]
언어 |
단어 |
국제음성기호 |
뜻 |
비고
|
영어 |
zero |
[ziːroʊ] |
'0' |
|
일본어 |
全部(zenbu) |
[zembɯ] |
'전부' |
|
|
---|
자음 |
---|
— 이 표는 일부 브라우저에서 정확히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는 음성 기호를 포함하고 있다.
|
— 쌍으로 있는 기호는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이다.
|
— 어두운 부분은 조음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곳이다.
|
— 별표(*)가 붙어있는 곳은 비공식 기호인 경우이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