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사랑방/2021년 제32주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2년 전 (Dand music님) - 주제: 봇 하나를 생각해봤습니다.
사랑방
2021년 제32주
2021년 8월
30 26 27 28 29 30 31 1
31 2 3 4 5 6 7 8
32 9 10 11 12 13 14 15
33 16 17 18 19 20 21 22
34 23 24 25 26 27 28 29
35 30 31 1 2 3 4 5

요곤 위백 역사에 남을거라고 했는데....[편집]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9A%A9%EC%9E%90%ED%86%A0%EB%A1%A0:%EC%8B%A0%EB%B9%84%EB%A1%9C%EC%9A%B4_%EC%9C%84%ED%82%A4%EB%9F%AC 위 링크에선 위백 역사에 남을 사건이라고 했는데 신기하네요. 제가 기여하다온 나무위키에선 이런일이 하루에도 수십건 벌어져서 별일도 아닌데... 역시 나무랑 위백은 많이 다르군요. 위의 일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씀해주세요. --깍깍이 (토론) 2021년 8월 9일 (월) 12:22 (KST)답변

@깍깍이: 내용과는 별개로 서명은 항상 말의 뒤에 해주세요. -- August A.U (talk) 2021년 8월 9일 (월) 15:43 (KST)답변

알찬 글·좋은 글 후보 토론, 함께 검토하기에 참여해 주세요![편집]

분류 알찬 글·좋은 글 후보 문서 토론 개시일
알찬 글 후보 후쿠오카현 서쪽 해역 지진 토론 2021년 5월 18일
도카이 지진 토론 2021년 5월 20일
런던탑 토론 2021년 5월 23일
독일의 국기 토론 2021년 7월 10일
좋은 글 후보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토론 2021년 5월 3일
레너드 대 펩시코 사건 토론 2021년 5월 7일
뒤러의 코뿔소 토론 2021년 5월 22일
유럽기 토론 2021년 6월 13일
윈도우 서버 2012 토론 2021년 6월 18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토론 2021년 7월 14일
비키니 토론 2021년 7월 17일
날씨의 아이 토론 2021년 7월 29일
10일 전쟁 토론 2021년 8월 3일
중간계 전투2 토론 2021년 8월 9일
함께 검토하기 대상 문서 토론 개시일
푸들 토론 2021년 4월 23일
자유의 마을 토론 2021년 5월 13일
소노이 케이코 토론 2021년 6월 24일
2020년 주가 대폭락 토론 2021년 7월 12일

사용자 여러분들께서 현재 진행 중인 알찬 글·좋은 글 후보 토론, 함께 검토하기에 대한 많은 의견을 제시해 줄 것을 부탁드립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8월 9일 (월) 14:37 (KST)답변

위키백과버그[편집]

2020 도쿄 올림픽 에디터톤에 함께 참여주세요[편집]

2020 도쿄 올림픽 폐막식

2020년 도쿄 올림픽은 8월 8일 끝났습니다. 양궁, 펜싱, 육상, 수영, 근대5종 등 33개 종목, 339개 부문에서 메달과 기록을 놓고 겨룬 205개국 그리고 난민 선수단. 만천여명의 사람들이 스포츠의 제전에서 자신의 기량을 겨루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올림픽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선수와 메달리스트 그 치열했던 기록을 백과사전에 한 폭으로 담아내는 건 위키인 여러분의 몫입니다!

위키백과:2020 도쿄 올림픽 에디터톤에서 그 치열했던 기록을 함께 그려 나가주세요! 도쿄 패럴림픽이 막을 내리는 9월 5일까지 활동은 함께 계속됩니다.

참여자 분들에게는 추첨을 통해 문화상품권을 증정해 드립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1년 8월 10일 (화) 15:52 (KST)답변

등재된 문서의 당사자가 문서 삭제를 요청했을 경우[편집]

실제로 해당 사용자가 피해자의 유족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해당 사건의 당사자라 주장하시는 분이 문서 삭제를 요청하셨습니다. 일단 김기웅 순경 사건은 1992년 12월 여관에서 동숙하던 김기웅 순경의 여자친구가 살해되자 경찰이 김기웅 순경을 고문하여 허위자백을 받아내고 후에 이것이 밝혀져 국가배상청구 소송에서 배상 판결이 난 사건입니다. 해당 문서의 삭제 신청을 처리하기 앞서 당사자가 관련되어 있을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관해서는 저도 경험해본 바나 전해들은 것이 없어 의견을 모으고자 사랑방에 말씀을 올립니다. --호로조 (토론) 2021년 8월 10일 (화) 17:10 (KST)답변

@호로조: 답변입니다.
1. 백:생존#하나의 사건으로만 알려진 인물에 대한 문서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생존 인물에 대한 위키백과의 글은 그 대상의 삶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위키백과의 목적은 인기를 끌거나 물의를 일으키거나 사람들의 생활에 대한 자극적인 주장을 퍼뜨려 옮기는 것이 아닙니다. 생존 인물의 전기는 보수적으로 저술되어야 하며, 대상의 사생활을 존중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내용은 물론 사망한 인물에게도 예외는 아닌 관계로, 해당 사건의 피해자인 김 순경 및 애인 분의 신상은 최대한 보호받아야 하며, 개인이 아닌 사건 관련 문서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물론 사건 문서라고 해도, 생존 인물의 인권은 지켜져야 합니다. 다만, 김 순경 사건의 경우 무죄 판결이 난 94년 이후로도 진범 서 모씨의 또 다른 범죄 등 후속 보도가 이어졌고, 현재까지도 형사사건의 대표적 오판 사례로 꼽히는 등 '사건 자체의 저명성'은 충족하는 만큼, 삭제 대신 보수적인 문체로 기술함이 옳습니다.
3. 비슷한 류의 문서로는 비앙카 데빈스 살해 사건 문서가 있겠습니다. 피해자인 데빈스는 남친에게 끔찍하게 살해당한 뒤에도 사체 사진이 그대로 sns에서 유포되어 물의를 빚은 사건이었죠. 최근에는 검찰이 방송국에 증거자료였던 데빈스 씨의 성관계 영상을 제공한 것이 뒤늦게 밝혀져 유가족이 기소하였죠. 그분들이 위백에 삭제 신청을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관련 삭제 토론에서는 방송에서 저명하게 다뤄지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습니다. 특정 사건이 단지 '안타깝다'고 등재되지 않는 만큼, 반대로 '안타깝다'는 이유로 삭제되지는 않는다는 원칙 역시 적용됨을 알 수 있습니다.
4.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집 시엔 불필요하게 자극적인 내용은 최대한 빼거나, 건조한 문체로 작성하는 등 관련자들을 배려해야 합니다. 데빈스 양 살해 사건 문서의 이미지 파일 역시 지극히 평범한 수준의 것만 있는 이유는 바로 이것입니다. 요즘 백:생존 관련 이슈가 많이 나오는데, 차후 위키백과 외부 사람들을 설득하기 위해서라도 인권 관련 문제에 대비할 필요는 있겠습니다. Reiro (토론) 2021년 8월 11일 (수) 00:06 (KST)답변

New Wikipedia Library collections and design update (August 2021)[편집]

Hello Wikimedians!

The TWL OWL says log in today!

The Wikipedia Library is pleased to announce the addition of new collections, alongside a new interface design. New collections include:

Additionally, De Gruyter and Nomos have been centralised from their previous on-wiki signup location on the German Wikipedia. Many other collections are freely available by simply logging in to The Wikipedia Library with your Wikimedia login!

We are also excited to announce that the first version of a new design for My Library was deployed this week. We will be iterating on this design with more features over the coming weeks. Read more on the project page on Meta.

Lastly, an Echo notification will begin rolling out soon to notify eligible editors about the library (T132084). If you can translate the notification please do so at TranslateWiki!

--The Wikipedia Library Team 2021년 8월 11일 (수) 22:23 (KST)

This message was delivered via the Global Mass Message tool to The Wikipedia Library Global Delivery List.

위키프로젝트:위키백과 토막글이 900개의 토막글 문서 보충을 달성했습니다.[편집]

위키프로젝트:위키백과 토막글이 2021년 8월 13일에 900개의 토막글 문서 보충을 달성했습니다. 토막글 프로젝트를 통해 보충한 900번째 토막글 문서는 사용자:Sangjinhwa님에 의해 보충된 딜쇼트 나자로프입니다. 이 기록은 프로젝트가 시작된 2017년 12월 24일을 기점으로 1,329일째이자 프로젝트 189주차인 2021년 8월 13일에 달성한 것입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8월 13일 (금) 06:08 (KST)답변

토론:신비아파트의 등장인물 목록 의견 좀[편집]

이 토론에 며칠째 의견이 안나오고 있습니다. 이걸 읽고 의견좀 내주세요 --118.220.2.75 (토론) 2021년 8월 13일 (금) 14:21 (KST)답변

봇 하나를 생각해봤습니다.[편집]

※이건 생각한것이니 문제점이 있으시면 핑주세요.※

1. 설명[편집]

이 봇은 백:사권신의 권한 신청 문서만 편집합니다. 일단 이 봇의 기능을 설명드리겠습니다.

  • 백:사권신에 요청을하면 자신의 계정명이 2번씩입력되는 오류 수정.
  • 백:사권신의 요청중 잘못입력된 오타 수정.
  • 백:사권신의 요청중 중복 이름의 문단뒤에 '(2)'를 추가.

기능은 이정도 생각해냈습니다. 저도 신청할때 중복문단이여서 계속 들어가면 첫번째 문단으로 연결되더군요. 그리고 오타를 수정하시는분들도 계시고 이름이 2번씩써져 사용자 링크에 오류가 생기기도하고요. 특수:차이/29615160, 특수:차이/29997918 같은 오류도납니다. 그래서 전 이 봇을 생각해봤습니다.

2. 실행[편집]

자동으로할까 반자동으로할까 고민중인데, 컴맹이라 어떻게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이 점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글이 너무 짧네요. 읽어주신것만으로도 감사드립니다 :) -- August A.U (talk) 2021년 8월 13일 (금) 16:34 (KST)답변

@Dand music: 말씀하신 두개의 차이는 원래 서식에서 저렇게 나오는게 정상입니다. 다른 권한 신청(업로더, 기타 권한 등)도 저 서식을 잘만 사용중입니다만, 언제 누군가 롤배커 신청 문서에서 === 을 == 로 바꾼 이후, 왜인지는 몰라도 지금까지 지속되어온 것입니다. 그 문제는 == 을 다시 === 로 바꾸면 해결될 것입니다. — Wikiwater2020 ( / ) 2021년 8월 13일 (금) 17:27 (KST)답변
아.. 그럼 그건 선긋겠습니다. -- August A.U (talk) 2021년 8월 13일 (금) 17:32 (KST)답변
그럼 다른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다른것도 문제가 있나요? -- August A.U (talk) 2021년 8월 13일 (금) 17:34 (KST)답변
중복 문단 뒤에 (2) 붙이는 것은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문단 만들때부터 (2), (3), ... 붙이면 되긴 한데 붙이지 못한 경우를 대비해 그런 기능이 있으면 문단으로 바로 연결이 되니 편리할 것 같네요. — Wikiwater2020 ( / ) 2021년 8월 14일 (토) 19:12 (KST)답변
감사합니다:) 이거랑 나중에 다른걸 적용해서 봇 등록 신청을 하겠습니다. -- Agust 𝐷 (talk) 2021년 8월 17일 (화) 14:00 (KST)답변

하이[편집]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 -- August A.U (talk) 2021년 8월 13일 (금) 17:14 (KST)답변

위키백과[편집]

사랑방 편집 안됩니까?

계속되는 훼손으로 보호됬습니다. -- August A.U (talk) 2021년 8월 13일 (금) 17:15 (KST)답변

축구[편집]

위키백과에 축구가 떠있네요

무슨 말입니까? --118.220.2.75 (토론) 2021년 8월 13일 (금) 20:06 (KST)답변


정지가 아니라 차단입니다. -- August A.U (talk) 2021년 8월 13일 (금) 17:40 (KST)답변

호로조 권한 좀 회수합시다[편집]

자기가 잘못 차단했다가 푼 것을 살짝 이름만 바꾸어 재차단하는 것은 전형적인 권한 남용으로, 외국에 살고 있어 국내 통신사 IP로 접속이 불가능한 것도 있는데도 차단을 한 것은 정상이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백:사관으로가주세요. -- August A.U (talk) 2021년 8월 13일 (금) 17:41 (KST)답변
이 사용자가 무리가 심한 차단을 한 것은 이번이 한번이 아닙니다. 위키백과:사랑방/2020년 제17주#사용자:호로조 권한 회수 제안
백:관리자 권한 회수 -- August A.U (talk) 2021년 8월 14일 (토) 18:16 (KST)답변
그리고 물결표 4개(~~~~)로 서명해주세요. -- August A.U (talk) 2021년 8월 14일 (토) 18:17 (KST)답변
동원 아이피 빌런 메일짱을 차단한 관리자의 권한을 회수하자는 주장을 하며 나타나는 수상한 아이피들. 애초에 이런 행위 땜에 차단된 건데 너무 티나는 거 아닌가요? --얌나야 (토론) 2021년 8월 14일 (토) 19:06 (KST)답변
귀하와 원한 관계가 없는 저를 대상으로도 이런 말이 올라온 게 의아하기는 합니다. 해당 사용자가 차단이 되자마자 이글이 올라온 것으로 보이는데 맥락상 의심하지 않을 이유가 있을까요? 해외 아이피 사용 여부에 대한 고려가 없었음에도 그런 말을 굳이 직접 하시는 이유도 궁금하고요. --호로조 (토론) 2021년 8월 14일 (토) 19:19 (KST)답변
제 생각에는 호로조 님은 전혀 잘못한게 없어보이는데요. --Korea한국 (토론) 2021년 8월 14일 (토) 22:18 (KST)답변
그리고 정상이 아니라고 하는 것은 그게 관리자한테 할 말입니까? 그리고 차단 당한 사용자가 외국에 살고 있다고 자신 멋대로 판단을 하시면 곤란한데요. 그리고 관리자는 사용자가 잘못한 것이 있어야 차단을 하시는 분인데

자신의 판단대로 잘못이라는 단어를 함부로 쓰는 것도 곤란합니다. --Korea한국 (토론) 2021년 8월 14일 (토) 22:27 (KST)답변

동음이의 문서의 제목 규정 추가 토론[편집]

동음이의어 문서의 제목을 보면 괄호로 구분되어 있는데요, 이 괄호 안의 정보를 간결히 적어야 한다는 규정을 추가하자는 토론을 시작했습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밥풀떼기" 2021년 8월 14일 (토) 02:34 (KST)답변

자주통일충북동지회 문서에 기여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편집]

최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령과 공작금을 받으며 미국 록히드 마틴스텔스기 F-35A 도입 반대 운동을 벌인 자주통일충북동지회국가정보원에 의해 적발되었습니다.

워낙 큰 소식이고, 2021년에 적발된 간첩 소식이라 문서 내용이 꽤 길 줄 알았는데 짧네요...

더 많은 사람들이 기여해 줬으면 좋겠습니다.

Ox1997cow (토론) 2021년 8월 14일 (토) 10:50 (KST)답변

복구 토론의 내용을 초안에 임시로 복구하는 안에 대해[편집]

현재 의견 요청 되어있는 위키백과토론:복구_토론#복구_대상_문서의_내용이 곧 있으면 의견 요청 부착 후 한달 (최초 부착 후로는 14개월)이 지납니다. 한국 기준 8월 12일 00:00 까지 이견 없으시다면 총의가 형성 된 것으로 간주하려 하는데, 의견 있으신 분들 계시다면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소극적인 참여도 괜찮습니다! ――사도바울💬||X 2021년 8월 14일 (토) 22:21 (KST)답변

공용에 Hidden Categories의 편집이나 핫캣으로 분류 추가에 대해 질문[편집]

기술방에 질문을 드렸는데 여기저기 다 질문을 드려야 정확한 해답이 나올거 같아서 질문하나 드리고 가겠습니다.

숨은 분류는 Hidden Category, Hidden Categories 라고 작은 글씨로 보이는데

일반 카테고리는 HotCat으로 분류를 추가하거나 편집할수 있는데

숨은 분류라는 Hidden Category는 HotCat으로 추가하거나 편집이 안되요.

파일:Ravenel_Bridge_at_night_from_Mt_Pleasant.jpg 이 파일로 한번 가보시면

카테고리 밑에 Hidden categories 라고 있는데요.

Hidden categories에 있는 분류들이 파일 편집 할때는 보이지 않습니다.

예시로 Pictures of the Year (finalist)가 편집할때 안보입니다.

계정은 있고 공용에서 자동 인증된 사용자 인데 Hidden Category는 어떻게 편집하는 건가요?

파일 내용에 Hidden Category에 속하는 분류를 추가할때도 Hidden Category에 추가만 되고

원래는 파일 내용에 없는 분류인데 내용에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대부분 공용의 파일에서 파일에는 보이는데 내용에 Category가 없는 것도 있거든요.

Hidden Category는 어떻게 편집하는 건가요? --185.136.218.105 (토론) 2021년 8월 15일 (일) 12:50 (KST)답변

안녕하세요 185.136.218.105님! Hidden category는 그 자체로 문서에 있을 수도 있지만, 이 경우는 백:문서 끼워넣기에 의해 삽입된 것이네요. 문서 끼워넣기란 대괄호 2쌍을 사용하는 링크와 다르게 중괄호 2쌍을 사용합니다. 해당 파일 문서를 보시면 {{Assessments|POTY=f| (...) }}라고 적힌 코드가 보이실텐데, 이는 template 이름공간의 assessments 문서에 POTY 파라미터에 f라는 매개변수를 넘겨서 중간에 끼워넣는 것입니다. 말씀하신 POTY (finalist) 분류는 template:assessments에 끼워넣어진 template:assessments/commons에 끼워넣어진 template:assessments/category에 가 보시면 f라는 매개변수가 해당 분류를 생성해 끼워넣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설명이 조금 어려운데 ㅠ 틀을 사용해 편집을 하시다보면 금방 익숙해지시리라 생각되어요. 앞으로도 좋은 활동 부탁드리고, 공용에서 활동하시는 계정으로 여기서도 로그인 하실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좋은 주말 되세요^^ ――사도바울💬||X 2021년 8월 15일 (일) 13:14 (KST)답변
@Sadopaul: 감사합니다. 그렇게 할수도 있군요. 문서 끼워넣기는 들어봤어요. 매개변수와 문서 끼워넣기를 저도 배워서 활용해 볼게요. 기술방에도 질문을 드렸는데 철회할게요. --185.136.218.105 (토론) 2021년 8월 15일 (일) 13:53 (KST)답변

누군가 장난을 쳤네요. 윤석열을 검색하면 대통령이…[편집]

누군가 장난을 쳤네요. 윤석열을 검색하면 대통령이 윤석열입니다. 이런 장난을 막거나, 바로 발견, 신고, 정정이 되어야 할텐데요.

수정했습니다. 직접 수정하실수 있으니 다음부터는 문서가 보호되지 않는 이상 직접 편집해주시길 바랍니다 :) 아, 그리고 수정하신분은 IP 사용자이신데 기여를 2번만하신걸 보니 처음 편집하신것 같습니다. 다만 이 뒤로도 이분이 문서훼손을하시면 백:사관에 차단요청을 넣으시면됩니다! -- Agust 𝐷 (talk) 2021년 8월 15일 (일) 19:56 (KST)답변

아프가니스탄 관련 문서 수정 부탁드립니다[편집]

2021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멸망하고 탈레반 정부가 세워졌습니다. 관련 문서들을 수정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Whachadoin (토론) 2021년 8월 16일 (월) 16:35 (KST)답변

@Whachadoin:이미 아프가니스탄 멸망하기 전에 일부 도시는 수정했습니다.-- Yellow Cookie 2021년 8월 17일 (화) 08:35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