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 벡터 다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수기하학미분기하학에서 안정 벡터 다발(安定vector다발, 영어: stable vector bundle)은 정칙 벡터 다발 가운데, 모듈라이 공간을 잘 정의할 수 있는 것들이다.

정의[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콤팩트 복소다양체
  • 고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으로의 단사 정칙 함수 . 이에 따라, 위에는 표준적인 켈러 다양체 구조가 주어지며, 켈러 형식의 코호몰로지류 는 정수 계수 코호몰로지로 주어진다는 정수 계수이다. (고다이라 매장 정리에 의하여, 그 역 또한 성립한다.)
  • 위의 정칙 벡터 다발

다발의 기울기[편집]

이라고 할 때, 기울기(영어: slope 슬로프[*])는 다음과 같은 유리수이다.

이 식에서, 분자가 정수인 것은 사영 대수다양체이기 때문이다.

에르미트-아인슈타인 접속[편집]

콤팩트 리 군

이 주어졌으며, 위의, 구조의 정칙 벡터 다발이라고 하고, 이에 대응되는 -주다발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위의 어떤 벡터 다발 접속 의 곡률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1,1)차 벡터 값 복소수 미분 형식이며, 이것이 값을 갖는 벡터 다발딸림표현 연관 벡터 다발

이다. 표현에 따라서

이다. 에서, 스칼라에 대한 곱셈으로 구성된 부분 선다발

을 생각하자. 이는 표준적 대역적 단면을 가지므로, 표준적으로 자명한 벡터 다발을 이룬다. 이 포함 사상을

이라고 하자. 이제, 만약

라면, 에르미트-아인슈타인 접속이라고 한다. 허수이므로, 이 경우 위에 임의의 에르미트 계량을 부여한다면, 는 자명하게 유니터리 접속을 이룬다 (모든 모노드로미가 에르미트 계량에 대하여 유니터리 행렬이다).

안정 벡터 다발[편집]

일 때,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정칙 벡터 다발을 안정 벡터 다발이라고 한다.[1]

  • 의 임의의 부분 정칙 벡터 다발 에 대하여, 이다.
  • 는 (양의 차원의) 두 정칙 벡터 다발의 직합으로 표현될 수 없으며, 그 위에는 (에 대한) 에르미트-아인슈타인 접속이 (하나 이상) 존재한다.
  • 는 (양의 차원의) 두 정칙 벡터 다발의 직합으로 표현될 수 없으며, 그 위에는 (에 대한) 에르미트-아인슈타인 접속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안정 벡터 다발의 첫 정의에서, 로 약화시키면, 준안정 벡터 다발(영어: semistable vector bundle)의 개념을 얻는다.

리만 곡면의 경우[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 경우, 가 1차원이므로, 위에 임의의 켈러 다양체 구조를 부여하더라도, 그 스칼라배를 취하여 이것이 사영 다양체가 되게 만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 항상 의 넓이가 1이 되게 규격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의 기울기는 켈러 구조에 의존하지 않으며, 따라서 안정성 여부 역시 켈러 구조에 의존하지 않는다.

성질[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위에 벡터 다발 접속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폐곡선

에 대하여, 모노드로미

를 정의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모노드로미가 모두 유니터리 군

에 속한다면, 이러한 접속을 유니터리 접속(영어: unitary connection)이라고 하자. 유니터리 접속 이 주어졌을 때, 그 곡률

를 생각하자. ( 위의 유니터리 리 대수들의 벡터 다발이다.) 이제, 부피 형식을 통한 호지 쌍대

를 생각하자.

나라심한-세샤드리 정리(நரசிம்மன்-சேஷாத்ரி定理, 영어: Narasimhan–Seshadri theorem)에 따르면,[2] 가 두 벡터 다발의 직합으로 표현될 수 없다고 가정하였을 때, 가 안정 벡터 다발일 필요 충분 조건인 유니터리 접속을 갖는 것이다. 이 경우, 곡률이 상수이므로, 모노드로미를 통하여 임의의 점 에 대하여 군 준동형

이 존재한다.

리만 곡면 위의 안정 벡터 다발의 모듈러스 공간[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위의 차원 차 안정 정칙 벡터 다발들의 모듈라이 공간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연결 공간인 복소수 사영 대수다양체이다. 에서, 그 접공간은 다음과 같다.

증명 개략:

어떤 매개 변수 및 열린 덮개 에 대하여 전이 함수가 라면,

이며, 이러한 함수들의 족은 (에서) 층 코호몰로지 의 원소를 정의한다. 여기서 이다.

복소수 차원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필요 충분 조건이거나, 이며 이거나, 이며 인 것이다. 여기서 정칙 벡터 다발 의 차수는 이며, 은 1차 천 특성류이다.

증명:

의 차원은 물론 어떤 임의의 에서의 접공간의 차원과 같다.

리만-로흐 정리에 따라서,

이다. 그런데 는 대역적 단면을 가지므로

이며, 가 안정 벡터 다발이므로

이다. (이는 올별 항등 함수의 스칼라배로 구성된다.) 물론

이다. 따라서

이다.

만약 일 경우 (), 리만 구 위의 모든 정칙 벡터 다발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여기서 보편 선다발차 텐서곱이다. 이 가운데 안정 벡터 다발인 것은 선다발 밖에 없으며, 준안정 벡터 다발인 것은 모든 에 대하여 인 것이다 (즉, ). 즉,

이다.

만약 일 경우, 타원 곡선 위의 정칙 벡터 다발 가 안정 벡터 다발일 필요 충분 조건은 그 차수와 그 차원이 서로소인 것이다.

이 경우,

이다.[3]

하더-나라삼한 여과[편집]

리만 곡면 위의 임의의 정칙 벡터 다발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여과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위의 준안정 벡터 다발이다.

이를 하더-나라심한 여과(영어: Harder–Narasimhan filtration)라고 한다.[4]

역사[편집]

데이비드 멈퍼드가 1963년에 도입하였다.

나라심한-세샤드리 정리는 무두바이 세샤차를루 나라심한(타밀어: முடும்பை சேஷ சாரலு நரசிம்மன், 영어: Mudumbai Seshacharlu Narasimhan)과 칸지바람 스리랑가차리 세샤드리(타밀어: காஞ்சீவரம் ஶ்ரீ ரங்காசாரி சேஷாத்ரி, 영어: Conjeevaram Srirangachari Seshadri)가 1965에 최초로 대수기하학을 사용하여 증명하였으며,[5] 이후 1983년에 사이먼 도널드슨이 미분기하학을 사용하여 다른 정의를 발표하였으며,[2] 1985년에 이 정리를 임의의 차원의 사영 켈러 다양체에 대하여 일반화하였다.[1]

[편집]

모든 정칙 선다발(1차원 정칙 벡터 다발)은 (자명하게) 안정 벡터 다발이다.

양의 차원의 두 정칙 선다발 , 직합 은 안정 벡터 다발이 될 수 없다.[2]:269 이 경우,

이므로,

이기 때문이다.

참고 문헌[편집]

  1. Donaldson, Simon K. (1985). “Anti self-dual Yang-Mills connections over complex algebraic surfaces and stable vector bundles”. 《Proceedings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Third Series (영어) 50 (1): 1–26. doi:10.1112/plms/s3-50.1.1. ISSN 0024-6115. MR 765366. 
  2. Donaldson, S. K. (1983). “A new proof of a theorem of Narasimhan and Seshadri”.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 18 (2): 269–277. doi:10.4310/jdg/1214437664. ISSN 0022-040X. MR 710055. 
  3. Atiyah, Michael (1957). “Vector bundles over an elliptic curve”. 《Proceedings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7: 414–452. doi:10.1112/plms/s3-7.1.414. 
  4. Harder, G.; Narasimhan, M. S. (1975). “On the cohomology groups of moduli spaces of vector bundles on curves”. 《Mathematische Annalen》 (영어) 212 (3): 215–248. doi:10.1007/BF01357141. ISSN 0025-5831. MR 0364254. 
  5. Narasimhan, Mudumbai Seshacharlu; Seshadri, Conjeevaram Srirangachari (1965). “Stable and unitary vector bundles on a compact Riemann surface”.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영어) 82: 540–567. doi:10.2307/1970710. ISSN 0003-486X. MR 0184252.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