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드라마)
![]() | |
장르 | 드라마, 사극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MBC |
방송 기간 | 1986년 11월 3일 ~ 1987년 1월 27일 |
방송 시간 | 매주 월·화요일 밤 9시 45분 ~ 10분 45분 |
방송 분량 | 60분 |
방송 횟수 | 22부작 |
연출 | 김종학, 유길촌, 장수봉 |
조연출 | 신호균, 이대영, 김남원 |
각본 | 신봉승 |
출연자 | 유인촌, 김도연, 임문수 외 |
《남한산성》은 1986년 11월 3일부터 1987년 1월 27일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월화드라마로,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일곱 번째 작품이다. 임진왜란에 이은 두 번째 환란인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참상을 그렸다. 상반된 구국관을 지녔던 전쟁하기를 주장하는 주전파와 전쟁을 피하고 화해하거나 평화롭게 지내자고 주장하는 주화파의 충성편이기도 했다.
등장 인물[편집]
조선[편집]
- 유인촌 : 인조 역 - 조선 제16대 군주
- 김도연 : 인렬왕후 역 - 인조의 왕비
- 신성균 : 소현세자 역 - 인조의 아들
- 최정원 : 민회빈 강씨 역 - 인조의 며느리
- 권재희 : 인목대비 역 - 선조의 부인
- 이희도 : 광해군 역 - 조선 제15대 군주
- 오지명 : 강홍립 역 - 사르후 전투 당시 조선군 원수
- 김용림 : 우주 황씨역
- 박찬환 : 강숙역
- 임문수 : 이원익역
- 전운 : 김류역
- 신충식 : 장유역
- 박영태 : 신경진역
- 박종관 : 김자점역
- 최상훈 : 임경업역
- 강인덕 : 도우역
- 정욱 : 김상헌 역 - 반청 세력의 핵심 인물
- 변희봉 : 최명길 역 - 친청 세력의 핵심 인물
- 사상기 : 이귀역
- 김주승 : 한윤역
- 이동신 : 유운 역 - 이괄 반란군 장수
- 오승명 : 정충신역
- 장혁 : 장만역
- 오세장 : 유해역
- 전국근 : 강인역
- 이진수 : 윤황역
- 정한헌 : 김연역
- 이계인 : 임시백역
- 송경철 : 박난영역
- 문회원 : 오신남역
- 오승룡 : 윤진사역
- 신명철 : 박천군수역
- 김찬구 : 이경직역
- 최병학 : 홍서봉역
- 김기현 : 이경석역
- 이영범 : 박입역
- 박태호 : 박로역
- 허기호 : 서고신 역
- 오현경 : 윤의립역
- 박순애 : 윤서아 역 - 윤의립의 딸
- 정은숙 : 윤인발의 소실역
- 이용화 : 임경업의 소실역
- 전국환 : 조시준역
- 김기주 : 김경서 역 - 사르후 전투 당시 조선군 부원수
- 김종구, 이의일 : 남이흥역
- 최상설 : 이완 역 - 정묘호란 당시 조선 장군
- 심우창 : 최몽량역
- 공호석 : 김준역
- 이동주 : 이봉수역
- 서학 : 이서역
- 강만희 : 오달제 역 - 삼학사 중 한 명
- 유승봉 : 윤집 역 - 삼학사 중 한 명
- 이성용 : 홍익한 역 - 삼학사 중 한 명
- 문영수 : 심집역
- 우상전 : 조선군 전령역
- 박상규 : 이기남역
- 한영수 : 김경징역
- 남영진
- 미상 : 장렬왕후 역 - 효종의 부인
- 미상 : 효종 역 - 조선 제17대 군주
- 미상 : 나덕헌 역 -
- 미상 : 조귀인 역 - 인조의 후궁
청나라 인물[편집]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편집]
- 1986년 12월 1일 ~ 12월 2일: 창사 25주년 특집 드라마 《젊은 날의 초상》 방송으로 결방
- 1986년 12월 23일: 성탄절 특선영화 《케이프혼의 등대》 방송으로 결방
- 1986년 12월 29일: 송년 특집 〈그리운 노래 그리운 사람〉 방송으로 결방
- 1986년 12월 30일: 송년 특선영화 《브리타닉호의 영웅들》 방송으로 결방
- 1987년 1월 12일: MBC 뉴스데스크가 15분 연장 방송으로 순연되어 밤 10시부터 방영
- 1987년 1월 13일: 특집방송으로 순연되어 밤 10시 35분부터 방영
문화방송 월화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회천문
(1986년 4월 28일 ~ 1986년 10월 28일) |
남한산성
(1986년 11월 3일 ~ 1987년 1월 27일) |
불새
(1987년 2월 2일 ~ 1987년 2월 2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