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한양대학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odamoda (토론 | 기여)
잔글 →‎위상 및 활동: 맞춤법
Modamoda (토론 | 기여)
→‎식당시설: 부연설명 및 출처
413번째 줄: 413번째 줄:
[[File:HYU clubH.jpg|thumb|250px|한양대학교 패컬티 레스토랑 CLUB H]]
[[File:HYU clubH.jpg|thumb|250px|한양대학교 패컬티 레스토랑 CLUB H]]
[[File:Hanyang students restaurant nanuri.jpg|thumb|250px|한양대학교 학생식당 나누리]]
[[File:Hanyang students restaurant nanuri.jpg|thumb|250px|한양대학교 학생식당 나누리]]
한양대학교에는 9개의 건물에 15개의 식당시설이 있다. 학생식당 7개소, 교직원식당 4개소, 기타 식당 4개소가 있으며, 구성원의 신분이나 내/외부인 구분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학생식당 → 외부운영식당으로 갈수록 가격이 비싸지며, [[2009년]] 현재 제일 비싼 식당은 프라자호텔에서 직영운영하는 CLUB H로 코스요리의 경우 6만원(부가세별도)이다. 제일 저렴한 식당은 학생식당의 1500원 메뉴이다. 대부분의 식당은 구내식당과 흡사하나, CLUB H의 경우 각종 세미나나 모임에 중점을 둔 식당으로 고가의 메뉴와 회의시설(마이크, 빔프로젝터, 무선랜AP등)을 구비하고 있다.
한양대학교에는 9개의 건물에 15개의 식당시설이 있다. 학생식당 7개소, 교직원식당 4개소, 기타 식당 4개소가 있으며, 구성원의 신분이나 내/외부인 구분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학생식당 → 외부운영식당으로 갈수록 가격이 비싸지며, [[2009년]] 현재 제일 비싼 식당은 프라자호텔에서 직영운영하는 CLUB H로 코스요리의 경우 6만원(부가세별도)이다. 제일 저렴한 식당은 학생식당으로 1500원 백반메뉴가 있다. <ref>[http://student.hanyang.ac.kr/homenews/H5EI/1_viewRest.html 한양대학교 학생식당 메뉴]</ref> 대부분의 식당은 구내식당과 흡사하나, CLUB H의 경우 각종 세미나와 모임에 중점을 둔 고급형 식당으로 고가의 메뉴와 회의시설(마이크, 빔프로젝터, 무선랜AP등)을 구비하고 있다.


{{글 숨김| 한양대학교의 식당시설 | 너비=74%| 제목색= #AADDFF}}
{{글 숨김| 한양대학교의 식당시설 | 너비=74%| 제목색= #AADDFF}}

2009년 10월 21일 (수) 14:21 판

한양대학교
표어사랑의 실천
종류사립
설립1939년
총장김종량
학부생 수24,756 (2008)
대학원생 수7,948 (2008)
교직원 수1,182 (2008)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위치서울특별시 성동구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상징물개나리, 사자, 비둘기, 남색
웹사이트http://www.hanyang.ac.kr
Map 한양대학교의 위치

한양대학교(漢陽大學校; Hanyang University)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과 경기도 안산시 사1동에 위치한 사립대학교이다. 1939년 대한민국 최초의 사립 공과대학으로 설립되었으며, [1] 이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대한민국의 사회 전반에 많은 인사를 포진하고 있다.[2] 상징은 개나리, 사자, 비둘기이며 남청색을 상징색으로 사용하고 있다. 보통 줄여서 한양대 또는 한대로 부르기도 하며, 이니셜은 HYU를 사용한다.

연혁

한양대학교 김종량 10대 총장이 제 11회 한양가요제 수상자와 함께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파일:Hanyang statue founder.jpg
한양대학교 신본관에 있는 설립자 김연준의 동상

1939년 7월 김연준 (2008년 1월 7일 향년 94세의 나이로 작고)에 의하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세워진 동아공과학원을 모태로 한 사립대학교이다. 1941년 동아고등공업학원으로 인가된 후 해방과 함께, 건국기술학교로 교명을 변경 하였으며, 1948년 재단법인 한양학원 인가와 함께 건국기술학교를 한양공과대학으로 승격, 초대학장에 김연준 박사로 했다. 그 후 6.25 사변 이후 서울 수복 후, 현 교지인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 17번지에 교사를 건립한다. 1959년 한양공과대학을 교육법에 의해서 종합대학으로 승격, 현재의 교명으로 승격하였으며, 초대 총장에 김연준 박사가 취임하였다. 1978년 경기도 반월공업도시(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3동)에 반월분교(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를 신설하였다. 1995년에는 경기도 구리시에 의과대학 부속 구리병원을 개원하였다. 2009년 안산캠퍼스의 명칭을 클러스터형 산업중심대학을 뜻하는 에리카캠퍼스(ERICA)로 변경하였다.[3] 2009년 8월 현재는 제 10대 김종량 총장이 역임중이다.

요람기(1939~1948)

동아공과학원 설립부터 초대 이사장 취임 전까지를 요람기라 칭한다.[4] 1939년 7월 초대 김연준 박사에 의해 현 서울시 종로구터에 동아공과학원을 설립하게 되었으며, 2년제 3개 과로 개교하게 되었다. 1942년 동아고등공업학원을 설립하였으며, 일제의 고등교육 정책에 따라 신입생 모집 금지령을 당해 1944년 폐교하게 되었다. 이후 1945년 광복건국기술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946년 재단법인 한양학원을 설립하고 김연준 박사가 이사장에 취임하게 되었다. 이후 소화공과학교를 인수하여 한양공업학교를 설립하였다. 이후 건국기술학교를 개명, 승격등의 과정을 거쳐 한양공업대학관으로 승격하였으며, 재단법인 한양공과대학 설립인가를 받아 4년제 정규대학으로 승격하게 되었다. [5]

성장기(1948~1959)

초대 김연준이사장 취임부터 한양대학교 승격인가 전까지를 성장기라 한다. [4] 1948년 초대 법인 이사장에 김연준이 취입하였으며, 이후 몇가지 학과 개편과 부설 중등교원양성소를 설치하였다. 1950년 발발된 6.25사변과 함께 부산시 완월동의 가교사에서 수업을 하였으며, 1952년에는 한양공대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53년 대학원 설립 인가를 받아 설치하게 되었으며, 1953년 서울 수복 후 성동구 신당동 인근의 임시교사에서 수업을 하고 이후 현 한양대학교가 위치한 행당동으로 이전 및 교사를 신축하게 되었다. 1955년 자연과학 관련 학과 신설 및 정원 확대를 하게 되었으며, 이후 여러 이공계 관련 학과들을 신설 및 확장하였다. [5]

발전기(1959~1978)

종합대학 한양대학교 승격인가 후부터 반월분교(현 에리카켐퍼스)설립 전까지를 발전기라 한다. [4] 1959년 종합대학인 한양대학교로의 승격이 인가되었으며 3개 단과대학[6] 19개 학과 및 이부대학, 대학원으로 개편하였다. 1959년 교내 언론기관인 한양대학보를 창간하고 중앙도서관을 준공하였다. 이듬해인 1960년에는 방송기관인 HUBS(現 한양대학교 교육방송국의 모체)을 개시하였으며, 같은해 예체능 관련학과[7]를 인가 및 신설하였다. 그 해 일어난 4.19에 학생들이 가담에 사상자가 나기도 하였다[8]. 같은 해 학생회 및 단과대학 학생회, 총동문회가 구성 및 창립 되었다. 1961년에는 ROTC교육훈련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5.16등으로 혼란했던 사회상황때문에 학과 및 정원 재조정이 빈번했다[9]. 1965년 일본 와세다 대학과 상호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였으며, 1968년에는 계절학기를 도입하였다. 1969년에는 現 학칙이 승인되었으며 이후 수회의 학과 및 정원 조정과 건물 준공 및 용도변경, 해외대학과의 자매결연 협정[10]이 있었다. 1972년에는 계엄령선포로 인해 45일간 휴교한 적도 있었으며, 같은해 부속병원을 400병상 규모로 개설하였다. 1973년에는 초대 김연준 총장이 물러나고 2대 총장 이해남 박사가 취임하였다. 1975년에는 중국의 교육기관과 자매결연[11]을 시작했으며, 1976년, 2009년까지 사용 예정[12]인 UI(University Identity)를 공표하였다.[5]

도약기(1978~1989)

반월분교(현 에리카캠퍼스)설립 후부터 개교 50주년까지를 도약기라 한다. [4] 1978년 현 에리카켐퍼스의 모체인 반월분교를 문교부로부터 조건부로 인가받아 설립하게 되었으며, 1979년 정식인가를 받아 설립하게 되었다. 같은해 문리과 대학을 이과대학과 문과대학으로 분리하였으며, 계엄령선포로 23일간 휴교하기도 했다.1980년 반월분교 개교식을 거행하였으며, 같은해 유럽지역의 대학과 자매결연을 시작하게 되었다[13]. 5.17 조치로 인한 계엄령으로 인해 107일간 휴교하였으며, 박물관을 개관하였다. 1981년 한양여자대학 본관을 준공하였으며, 1983년에는 지하철 2호선한양대역이 개통하였다. 1987년 반월분교를 안산캠퍼스로 개명하였으며, 1988년 직원 노동조합이 결성되었다. [5]

비상기(1989~현재)

개교 50주년 후부터 현재까지를 도약기라 한다. [4] 1989년이후 여러번의 조직개편과 해외대학과의 교류(자매결연)가 빈번해 졌다. 1993년에는 기업과 산학협동 의정서[14]를 조인하게 되었으며 1994년 한양대학교 홈페이지를 개설하게 되었다. 2000년에는 사이버 언론기관인 인터넷 한양을 설립하였으며, 2002년에는 HIT 건물 준공 및 지하철 2호선 한양대역 - 교내 본관 앞 연결통로인 애지문을 준공하고 개통하였다. 특히 2000년대 초·중반에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15]을 비롯한 국내·외의 여러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2008년에는 법학전문대학원 인가를 받았으며, 같은해 36대 총학생회 배임 및 횡령사건이 일어나 자진사퇴를 하기도 했다[16]. 또한 퓨전테크놀로지 센터를 준공했으며, 이화학연구소 유치 및 일본 아소다로 총리가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17]. 2009년에는 개교 70주년을 맞아 70일의 기적 행사를 진행했으며, 한국 기네스북에 최다 헌혈자 기록으로 등재되었다[18]. 같은해 안산캠퍼스의 명칭을 에리카캠퍼스로 변경하였으며, 대학구조 개편을 통해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3] 같은해 신본관 개관에 맞춰 초대 김연준 총장 동상이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제 10대 김종량 총장이 역임하고 있다.[5]

한양대학교 기록물관리실

한양대학교 기록물 관리실은 한양대학교와 관련된 역사적 자료들을 수집하고 보존하기 위해 2009년 새로 설치된 기구이다. 각종 자료 수집 및 역사자료 관련 공모전을 시행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박물관과는 별도의 조직이다. 사진과 관련된 자료가 많으며, 공정 이용[19]에 관한 규정과 합치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배포할 수 있다.[20]

교육편제

서울캠퍼스

2010년 편제 기준, 틀:글자배경색은 전략학과를 의미

에리카캠퍼스(구 안산캠퍼스)


대학원

주요학생조직

한양대학교의 학생자치 운영기관

한양대학교 총학생회

한양대학교 학생조직을 이끄는 총괄조직, 학생회관 5층에 사무실이 있으며, 2002년 '소리없는 99%의 명예혁명'(약칭 소명) 학생회의 당선에 따라 지금의 학생회실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2009년 현재는 '한양을 말하다, SAY'(약칭 SAY)총학생회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보기  토론  편집  역사

한양대학교 동아리연합회

한양대학교 중앙동아리 관련조직. 매년 새 회장을 선출하며, 중앙동아리 운영및 승인, 사업에 대한 업무를 담당한다.

한양대학교의 학생자치 언론기관

한양대학교의 학생관련 언론기관은 총 8기관이 있으며, 학생회관과 제2 공학관에 소재하고 있다. 이 외에도 동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양동문회보', 홍보목적의 정기간행물 '사랑한대'(구 아크로폴리스), 수험생 대상의 '쥬니어 사랑한대'등이 발간되고 있다.

한양대학보

한양대학교 신문사, 1959년 창간 하였으며[5], 현재는 학기중에는 시험기간전후를 제외한 매주, 방학기간중에는 2회 발행한다. 학생회관 5층에 소재

한양저널

한양대학교 영자교지 편집부, 1970년 타블로이드판, 'The Hanyang Times'라는 제목으로 으로 발행을 시작했으며 1980년 現 명칭인 'The Hanyang Journal'로 개명하였다. 4X6배판으로 연간 4회 발행한다.[22] 학생회관 5층에 소재.

한양교지편집위원회

한양대학교 학내 유일의 학생 자치 언론 기구이다. 한양대학교 학도호국단에서 발행한 『행당』이 전신이다. 교비 지원을 받지 않고 재학생들이 연 2회 납입하는 교지 구독료(학생회비에 포함)로 교지를 발간한다. 교지는 소책자 형식으로 연 4회(계간) 발행하며, 애지문과 백남학술정보관, 각 단과대 로비에 배포한다. 학생회관 5층에 소재

위클리한양

한양대학교 인터넷 언론기관. 2000년 창설당시 부총장실 직속이었으나, 지금은 정보통신처 산하조직으로 들어가 있다. 한양대학교 메인홈페이지 및 단과대 홈페이지에 기재되는 기사를 작성하고 있다. 제2 공학관 6층에 소재

HYNET

한양대학교 LCD 방송매체 담당기관. 2009년 창설되었으며 교내 엘리베이터에 위치한 LCD에 방송을 송출한다. 제2 공학관 6층에 소재.

한대방송국/교육방송국

한양대학교 영상/음성 방송을 당당하는 기관. 한대방송국의 경우 매년 한양가요제를 양성평등센터와 함께 주관한다. 1960년 HYBS라는 이름으로 개국했으며, 1981년 반월분교(現 에리카캠퍼스)에 반월방송국을 개국하였다. 이후 몇번의 변천사를 거쳐 지금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5]. 학생회관 6(한대방송국)층에 소재

Hi! HY ERICA

에리카캠퍼스 전문 소식지. 틀:미완성

한양대학교의 홍보기관

한양대학교 홍보대사 사랑한대

한양대학교 입학처 직속조직. 2006년 창설하였다. 2,3학년 재학생으로 구성되며 정기간행물 '사랑한대'[23]를 제작하는 대외협력처와는 다른 조직이다. 축제기간에는 홍보관련 부스를 운영하고, 입시설명회 및 고교방문 등 홍보활동을 펼친다.

한양대학교 응원단

한양대학교 대중 관련 행사에 참여하고 주도하는 조직, 매해 응원제나 대회응원등을 주도한다. 노천극장에 소재

한양바라미

포털사이트 다음에 소재한 한양대학교 입시관련 카페. 정식조직은 아니나, 입시와 관련된 많은 안내 및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으며[24] 공식/비공식 홍보물[25]을 제작한다.[26]

교통

한양대역 2번출구 애지문 학교 내부로 통해있다
왕십리역

서울캠퍼스

에리카캠퍼스

캠퍼스 풍경

서울캠퍼스

한양대학교의 캠퍼스는 험준하기로 유명하다[27] 가파른 언덕이나 계단에는 고유한 이름이 붙어있으며[28], 인공폭포[29]와 스포츠 클라이밍 장소[30]도 있다. 틀:미완성

한양대학교 서울 캠퍼스의 풍경-여름
한양대학교 서울 캠퍼스의 풍경-겨울


주요건물

  • 본관/신본관 : 신본관은 2009년 완성되었으며 총장실을 비롯한 학교의 행정기관이 이곳에 있다.
  • 중앙도서관
  • HIT
  • 퓨전 테크놀로지 센터(FTC) : 융합학문 연구센터,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가 입주해 있으며, 2009년 일본 아소 다로 총리가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17].
  • 애지문 : 서울 지하철 2호선 한양대역 2번출구, 교내(본관앞)로 연결되어있다.

틀:미완성

학습시설

백남학술정보관
신한 라운지

한양대학교의 학습시설은 중앙도서관 / 각 단과대 도서관 / 각종 스터디 룸 / 전산실 및 라운지등으로 구분된다. 2007년 완공된 법학학술정보관은 제 2중앙도서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백남학술정보관과 함께 전자좌석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전자좌석관리 시스템은 인터넷으로 실시간 현황 파악이 가능하며, 무인 도서대출/반납 시스템을 병행 운영하고 있다. 복사와 인쇄는 전용 카드로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스터디룸은 예약제로 운영된다. 단과대학 도서관은 각 단과대에서 운영을 관장하고 있으며, 대부분 연중무휴(건물통합폐쇄일 제외) 24시간 운영을 한다.

한양대학교의 학습시설
  • 도서관
    • 백남학술정보관 : 중앙도서관의 역할을 하는 건물 한양대학교 정중앙이자 최고도지역에 위치. 전자정보 검색실, 스터디룸 등의 시설이 있다.
    • 법학학술정보관 : 로스쿨 개원에 발맞춰 2008년 개관. 법과대학과 경제금융대학 사이에 있다.
    • 자연과학대학 도서관 : 자연과학대학 202호에 위치
    • 사회과학대학 도서관 : 사회과학대학 1층에 위치
    • 인문과학대학 도서관 : 인문대 지하 1층에 위치
    • 경영대 도서관
    • 경제금융대학 도서관 : 경제금융대학 건물 3층에 위치
    • 의과대학 도서관
    • 정보통신대학 도서관 : 정보통신관 4층에 위치
    • 공과대학 도서관 : 제1 공학관 4층에 위치
  • 스터디룸
    • 스터디룸(백남학술정보관) : 백남학술정보관 지하 1층 휴게실에 위치
    • 스터디룸(법학학술정보관) : 법학학술정보관에 위치
    • 스터디룸(경영대) : 경영관에 위치
  • 전산실 / 시청각실
    • 백남학술정보관 전자정보검색실 : 백남학술정보관 1층
    • 법학학술정보관 전자정보검색실 : 법학학술정보관 2층
    • 자연과학대학 전산실 : 자연과학대학 구관 1층 / 레이저 컬러 프린터 출력가능
    • 인문과학대학 시청각실 : 인문과학대학 1층
    • 법학대학 전산실 : 제 3법학관 1층
    • 정보통신대학 전산실 / 인터넷 카페 : IT/BT관 2층 5층
    • 공과대학 전산실 : 제1공학관 3층
    • 제2공학관 PC개방실 : 제2공학관 4층
  • 라운지

식당시설

한양대학교 패컬티 레스토랑 CLUB H
한양대학교 학생식당 나누리

한양대학교에는 9개의 건물에 15개의 식당시설이 있다. 학생식당 7개소, 교직원식당 4개소, 기타 식당 4개소가 있으며, 구성원의 신분이나 내/외부인 구분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학생식당 → 외부운영식당으로 갈수록 가격이 비싸지며, 2009년 현재 제일 비싼 식당은 프라자호텔에서 직영운영하는 CLUB H로 코스요리의 경우 6만원(부가세별도)이다. 제일 저렴한 식당은 학생식당으로 1500원 백반메뉴가 있다. [31] 대부분의 식당은 구내식당과 흡사하나, CLUB H의 경우 각종 세미나와 모임에 중점을 둔 고급형 식당으로 고가의 메뉴와 회의시설(마이크, 빔프로젝터, 무선랜AP등)을 구비하고 있다.

한양대학교의 식당시설
  • 학생식당
    • 학생식당 : 한양플라자 3층에 위치
    • 사랑방 : 학생회관 3층에 위치
    • 중식당 : 학생회관 6층에 위치
    • 나누리 : 행원파크 지하 1층에 위치
    • 신 학생식당 : 신소재 공학관 지하 1층에 위치
    • 제 2 생활관 기숙사 식당 : 제2생활관 1층에 위치
    • 한양여대 학생식당 : 한양여자대학 행원스퀘어에 위치
  • 교직원식당
    • 교직원 식당 : 생활과학대학 7층에 위치, 서울의 전망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로도 유명하다
    • 신 교직원 식당 : 신소재 공학관7층에 위치
    • CLUB H : HIT 6층에 위치, 프라자호텔에서 직영으로 운영한다.
    • 한양여대 교직원 식당 : 한양여자대학 행원스퀘어에 위치, 학생식당 옆에 있다.
  • 기타 식당시설
    • 한양식당 : 병원건물에 위치
    • 한양대학교병원 구내식당 : 병원건물 지하1층에 위치
    • 김밥천국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 파파이스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편의/복지시설

한양플라자 카페테라스

한양대학교에는 학생복지와 관련한 여러가지 편의시설들이 있다. 금융관련 시설로는 신한은행국민은행 ATM이 7개소에 있으며, 신한은행 2개 지점이 있다[32]. 복지시설 중심의 건물은 학생회관, 한양플라자, 행원파크가 있다. 또한 조경관련 시설로는 분수 3개소, 인공폭포 1개소가 있으며, 소규모의 녹지시설들이 캠퍼스 전반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또한 138계단 쉼터에는 박목월 시비가 있다. 간식관련 복지시설로는 커피숍이 11개소가 있으며, 24시간 편의점 4개소를 포함해 총 10개소의 매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 위생시설인 온수가동 샤워실이 6개 건물에 운영되고 있으며 서점 2개소, 문구점3개소 복사실 / 여행사 / 사진관 / 기념품점등이 있다.[33]

한양대학교의 편의/복지시설
금융시설
  • 신한은행 동문회관점 : 동문회관 3층에 위치
  • 신한은행 한양여대점 : 행원스퀘어 지하1층에 위치
  • 신한은행 ATM : 백남학술정보관 1층, 생활과학대학 1층,행원파크 지하1층, 신소재공학관 지하1층, 대학원 1층, 한마당에 위치
  • 국민은행 ATM : 한마당에 위치
복지시설
  • 학생회관 : 한양 서비스센터, 사랑방 학생식당, 중식당, 총학생회실 및 언론기관들이 있다.
  • 한양플라자 : 학생복지시설, 학생식당, 기념품점, 소극장, 우체국, 동아리방, 취업지원센터, 편의점
  • 행원파크 : 나누리 학생식당, 골프연습장, 인공폭포, 분수대, 녹지시설, 커피숍, 편의점
녹지시설
  • 행원파크 : 지하주차장, 지상녹지시설, 분수 및 인공폭포 각 1개소
  • 정문 분수대 : 계단분수대 / 일반 분수대 2기가 위치
  • 행원파크 분수대 : 일반 분수대
  • 인공폭포 : 행원파크에 위치
  • 진사로 : 나무계단, 녹지, 쉼터등이 위치
  • 인문대 쉼터 : 인문대-정력계단 중간에 위치
  • 138계단 쉼터 : 박목월 시비가 있음, 138계단 중간지점에 위치
커피숍 / 베이커리
  • 로즈버드 한양플라자점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 프리페레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 Museum Cafe : 박물관 옆 야외에 위치
  • 로즈버드 대학병원점 : 한양대학교 병원 본관 1층에 위치
  • 로즈버드 한양여대점 : 행원스퀘어에 위치
  • 커피 빌리지 : 행원파크 지하 1층에 위치
  • 쿠벅 학술정보관점 : 제 1 공학관, 백남학술정보관, 생활과학대학 중앙에 위치
  • 쿠벅 법학학술정보관점 : 법학학술정보관 입구에 위치 2009년 7월 한양사이버대학교 제 2 교사로 이전
  • 쿠벅 한양사이버대학점 : 한양사이버대학교 제 2 교사 1층에 위치
  • 르방 베이커리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 신라명과 : 행원스퀘어에 위치
  • 호두과자 : 한양플라자 3층에 위치
매점 / 편의점
  • 미니스톱 한양플라자점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 미니스톱 대학병원점 : 한양대학교 병원 본관 3층에 위치
  • 세븐일레븐 신소재공학관점 : 신소재 공학관 지하 1층에 위치
  • 미니스톱 학술정보관점 : "사자가군것질할때"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줄여서 "사군"이라고도 한다. 제 1 공학관, 백남학술정보관, 생활과학대학 중앙에 위치
  • 인문대 매점 : 자연대, 인문대 사이 혁신광장(청년광장)에 위치
  • 경영대 매점 : 행원파크 지하 1층에 위치
  • 경금대 매점 : 경제금융대학 야외에 위치 2009년 7월 한양사이버대학교 제2 교사로 이전
  • 한양사이버대학 매점 : 한양사이버대학교 제2교사 2층에 위치
  • 체육대학 매점 : 올림픽 체육관 2층에 위치
  • 제2 공학관 매점 : 제 2 공학관, 노천극장 사이에 위치
  • 한양여대 매점 : 행원스퀘어 지하 1층에 위치
샤워시설
  • 노천극장 1층
  • 정보통신관 전층
  • 자연과학대학 지하 1층 / 6층
  • 경금대 5층
  • 인문대 지하 1층
  • 경영대 지하 1층
서점 / 문구점
  • 구내 서점 학생회관점 : 학생회관 1층에 위치
  • 구내 서점 동문회관점 : 동문회관 3층에 위치
  • 구내 문구점 학생회관점 : 학생회관 1층에 위치
  • 구내 문구점 동문회관점 : 동문회관 3층에 위치
  • 구내 문구점 신소재공학관점 : 신소재 공학관 지하1층에 위치
복사실
  • 인문대 지하 1층
  • 정보통신관 1층
  • 한양플라자 1층
  • 백남학술정보관 지하 1층
  • 제1공학관 1층
  • 공업센터 본관 4층
  • 신소재공학관 지하 1층
  • 학생회관 2층
  • 경제금융대학 지하 1층
기타
  • 기념품점 : 한양플라자 1층
  • 휴대폰 판매점 : 한양플라자 1층
  • 구내 여행사 : 한양플라자 3층
  • 구내 시계판매점 : 한양플라자 1층
  • 구내 사진부 : 한양플라자 1층

고유명사화된 장소/지형

한마당과 미나스티리스를 이어주는 138계단

한양대학교에는 언덕에 지어진 학교 특성상 지형과 관련된 명칭들이 많다[27]. 정식 명칭은 아니지만 재학생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교내 언론에서도 이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27][28]. 특히 가파름을 상징하는 88계단, 138계단, 정력계단등의 계단 관련 명칭도 있으며, 해당 지역의 환경을 표현하는 폭풍의 언덕등이 있다.[28] 그 외에 공식적으로는 존재하지 않으나 구분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제 3 캠퍼스라는 명칭도 존재하며, 해당 지형의 미관적 특성을 나타내는 미나스티리스[34]로 명명된 지역이 있다.

한양대학교의 고유명사화된 지형
언덕
  • 진사로 : 정문에서 한마당으로 올라가는 언덕, 매우 가파르다. 지금은 리모델링하여 녹지시설과 나무계단이 있다.
  • 폭풍의 언덕 : 생활과학대학 - 한양사이버대학 - 법학학술정보관으로 이어지는 언덕길, 바람이 자주 불어 폭풍의 언덕이라 한다
계단
  • 목월길 : 한마당 - 인문과학대학을 이어주는 계단, 2008년 이전에는 138개의 계단이 있어 종종 138계단으로 불린다.[28] 리모델링 후 20개가 더 늘어서 현재는 158개의 계단이 있다. 정식명칭은 목월길이다.
  • 88계단 : 한마당 - 사회과학대학을 이어주는 계단, "애국한양"이라는 글씨가 쓰여있며 한양플라자측 계단을 통해 갈 경우 F학점을 맞는다는 미신이 있다. 계단 위 아래의 지반 공사로 인해 현재의 계단 수는 83개라고 한다. 2009년 한양대학교 축제 라치오스의 일환으로 페인팅을 다시 했다
  • 정력계단 : 의과대학 - 자연과학대학을 이어주는 계단, 계단 하나하나의 고저차가 커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2009년 부분 리모델링을 했다.
지역
  • 미나스티리스 : 인문대 - 자연대 - 사범대가 있는 최고도지역을 칭하는말, 반지의 제왕에 나온 요새와 흡사하게 절벽위에 건물이 있어 이런 별칭이 붙었다
  • 제 3 캠퍼스 : 경제금융대학, 법학대학, 정책과학대학, 경영대학, 정보통신대학, 예술학부, 체육대학 등 산 꼭대기 너머에 있는 지역을 칭하는 말, 실제로는 서울캠퍼스에 편제되어있으나, 지형으로 인한 접근성 문제나 인문학 중심의 학문의 특성상 자연계열 중심 지역(산 너머가기 전)과의 교류가 드물어 이런 별칭이 붙었다.

공연시설

겨울의 노천극장
  • 노천극장 : 제2 공학관 앞에 위치, 한양가요제, MBC FM4U 공개방송등 비중이 큰 공연이 이곳에서 열린다.
  • 한양예술극장 : 정보통신관 1층 - 올림픽 체육관 1층에 위치
  • 소극장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 콘서트홀 : 학생회관 4층에 위치

에리카 캠퍼스

틀:미완성

사건 / 사고 / 행사(단기성/일회성)

이석씨 폭행 치사사건

1997년 한양대학교 총학생회실에서 이석씨가 사망한 사건. 가해자인 한총련측은 이석씨가 경찰의 프락치라고 주장하고 있으며[35], 경찰측은 이석씨가 단순 기능수리공이었으며 한총련측에서 프락치로 오인을 해서 사망에 이르게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36]

제36대 체인지 포유 총학생회 학생회비 배임 및 횡령사건

2007년 비상대책위원회의 문제제기에 따라 36대 Change 4 U 총학생회가 약 1,400만원의 배임 및 횡령(Change 4 U측 자료)으로 인해 총 사퇴 한 사건. 학교당국에서는 자세한 감사자료를 공개하지 않았다[16]

한양공대 70주년 기념 EXPO

2009년 5월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한 행사. 올림픽체육관에서 이루어졌다.

70일의 기적

최다 헌혈자 수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한양대학교 70일의 기적행사

2009년 한양대학교 7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한 행사[37]. 사랑의 실천이라는 학교의 표어에 부응하는 취지로 70일간 7,000명의 헌혈 기네스에 도전을 하였다. 2009년 5월 16일까지 진행된 이 행사는 KBS 사랑의 리퀘스트 생방송을 끝으로 마감했으며, 총 6,211회에걸친 5,831명의 기록을 내며 한국 기네스북에 등재 되었다[18]








사건 / 사고 / 행사(연례성/주기성)

한양대학교 축제(제1회 한양사진기록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작)
한양대학교 새로배움터

유재하 음악경연대회

유재하씨의 모교인 한양대학교에서 매년 유재하 음악경연대회를 유치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라치오스(봄 축제)

매년 봄 열리는 한양대학교 축제의 이름. 이전에는 대동제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나 2009년 제 37대 총학생회 SAY부터 이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문서를 참고.

애한제(가을축제)

매년 가을 열리는 한양대학교 축제의 이름. 틀:미완성

MBC FM4U 여름음악 페스티발

한양대학교 노천극장에서 열리는 MBC FM4U 여름음악 페스티발

매년 여름 노천극장에서 열리는 MBC 라디오 공개방송. 이틀행사로 열리며, 한국의 유명한 예능인들을 초청하여 공연을 가진다. 일반인에게 공개되어있는행사이나, 입장을 위해서는 MBC나 한양대학교측을 통해 티켓을 배부받아야 한다.

새로배움터 / 미리배움터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재학생들이 준비하는 프로그램, 미리배움터의 일부 프로그램은 학점취득이 가능하다.

공업수학 경시대회

공과대학, 자연과학대학, 정보통신대학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수학 능력측정 시험. 연례 행사이다

한양사진기록 공모전

기록물 관리실에서 주관하는 한양대학교 관련 사진자료 공모전. 2009년 제 1회 공모전을 시행하였다.


제 1회 한양사진기록 공모전 수상자 (우수상 이상)
최우수상 홍준모 공과대학 전자컴퓨터통신 대학원 대동제 사진(3장)
우수 윤석오 교무처 교무과 내일을 밝히는 한양의 밤
우수 송건용 국제문화대학 영미언어문화학부 호수공원의 야경
우수 고영문 물리학과 대학원 2007년 역동적인 한양 가요제

공놀이

매년 가을 공과대학을 주축으로 하는 학술제 및 문화제, 공과대학 학생회 주관으로 각종 학술행사와 문화행사가 기획된다.

윈드오케스트라 정기 연주회

한양대학교 음악대학의 정기 연주회, 매년 가을즈음하여 예술의 전당에서 오케스트라 정기 연주회를 가진다.[38]

한양 JOB DISCOVERY FESTIVAL (취업박람회)

한양대학교 취업지원센터에서는 매년 학생들의 취업활동을 돕기위해 가을학기 초 취업박람회인 한양 JOB DISCOVERY FESTIVAL을 개최한다. 2009년 취업박람회의 경우 삼성, 현대, SK, 두산등을 포함한 117개 업체에서 참가했으며 5천여명의 구직자가 참가했다.[39]

위상 및 활동

대외 평가/활동

한양대학교는 정·재계, 법조계[40]등 대한민국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인사를 포진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의 산업화, 근대화에 큰 공헌을 했으며, 현대그룹정주영 회장은 공식석상에서 대한민국의 근대화와 함께 한양대학교를 직접 언급할 정도로[41]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다. 2009년 에는 일본아소 다로 총리가 한양대학교를 방문해 연구진을 격려하기도 했고 [42] 같은 해 출판된 《코스닥 상장법인 경영 인명록》에 따르면 한양대학교는 서울대, 연세대 다음으로 3번째 많은 코스닥 등기임원을 배출해 냈다[43]

연구활동

한양대학교는 국내외의 여러 유명인사를 초청하여, 학술활동을 펼치고 있다. 각 단과대별 세미나 또는 BK21세미나 등을 개최하고 있으며, 노벨상 수상자들을 지속적으로 초청하고 있다[44]. 또한 여러가지 국책사업인 SRC[45] / ERC[46] / NRL[47] / WCU [48]BK21[49] 사업에 참여했거나 참여하고 있다. 국방생존성기술 연구소를 유치하기도 했다.[50] 또한 일본이화학연구소아시아연구네트워크(ARN)를 공동으로 설립[51]하여 융합학문에 대한 국제적인 학술연구/교육활동을 펼치고 있으며[52], SCI 저널인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을 출판하고 있다.[53] 또한 실용학문 중시의 학풍으로 대학의 기술이전수입에 있어 2008년 기준 1억 이상의 성과를 올려 대한민국에서 제일 높은 기술이전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특허 출원대비 등록률이 49.4%로 국내대학중 제일 높다. [54]

뉴 한양 2020

2000년대 들어 입시 수험생용 배치표 저평가 문제[55] 등, 위상이 예전만 못하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56] 이에따라 각종 전략학과의 신설 및 우수인재 유치, 교육환경 개선등의 총체적 성장을 위한 뉴 한양 2020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57]

기타

한양대학교와 관련된 동문 및 유명 구성원에 대해서는 한양대학교 출신 인물분류:한양대학교 동문을 참고.

국제교류

한양대학교는 MIT, 버클리, 도쿄대 공과대학등을 포함한 2009년 현재 30개국 151개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58]. 일리노이 공과대학템플 대학교와 같이 복수학위제도를 운영[59]하고 있으며, MIT를 포함해 11개국 44개 학교와 교환학생을 파견/영입하는 교류[60]도 하고 있다.

주요 저명 자매결연대학

주요 주변시설

성동구 살곶이공원에서 바라본 한양대학교

같이보기

참고자료

  1. “개교 70주년 한양대학교 '100년의 꿈' 비전 선포”. 전자신문. 
  2. 한양대학교#위상 문단 참조
  3. “산학연 연계 한국판 실리콘밸리 탄생”. 경인일보. 
  4. 한양대학교 대학기록실의 역사분류
  5. 한양대학교 연혁
  6. 종합대학 승격 당시 있었던 단과대학은 공과대학, 문리과대학(자연과학 및 인문학) 정경대학(정치, 법률)이었다.
  7. 음악과 및 영화과
  8. 한양대학교 자료에 의하면 사망1, 부상2, 실종5로 기록되어있다.
  9. 1960년부터 1964년까지의 기간동안 학과및 정원 조정이 총 10번 있었다.
  10. 최초 해외대학과의 자매결연은 1971년 미국의 서던 일리노이대학교(Southern Illinois University)이며 2009년 현재 미국은 40개 학교, 전 세계적으로는 30개국 151개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11. 최초의 자매결연 중국 교육기관은 중국문화학원(College of Chinese Culture)이며 2009년 현재는 중국의 45개 대학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12. 한양대학교에서는 2009년 가을 새로운 UI를 공표할 예정이다.
  13. 최초의 유럽지역 자매결연대학은 독일 퀼른대학(Kolim Music College)이었으며 2009년 현재는 유럽의 25개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14. 이때 당시 기아자동차와 산학협동을 하게 되었다.
  15. MIT와의 자매결연은 2004년 맺어졌으며 매년 교환학생 파견 및 공동개발을하고 있다.
  16. “한양대 학생회, 회비 운용 논란에 총사퇴”. 국민일보. 
  17. “아소 日총리, 한양대서 韓.日 연구진 격려”. 연합뉴스. 
  18. “한양대 '70일간 기적'에 6천211명 헌혈”. 연합뉴스. 
    “70일 간의 기적, 헌혈자 5831명 기록”. 한양대학보. 
  19. 한양대학교 기록물관리실 소장자료 공정이용에 관한 안내
  20. 한양대학교 기록물관리실 소장자료의 공정이용 안내 문서에는 위키백과의 자료 등록정책이랑 위배되는 부분이 있어 본 문서에 포함하지 못하였다.
  21. 2008년 회계부정 사건으로 인해 4월 총 사퇴를 하고 남은 임기를 정상화운영위원회에서 물려받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한양대학교 제36대 체인지 포유 총학생회 학생회비 배임 및 횡령사건 참조
  22. History - Hanyangian.com
  23. 대외협력처의 정기간행물 사랑한대
  24. “인터넷 ‘점수공개 카페’ 떴다”. 한겨례신문. 
  25. 정식 홍보물이 된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홍보물, 최초 작성 및 개제는 한양바라미였다.
  26. 한양바라미 카페
  27. “한양의 캠퍼스를 거닐다”. 위클리한양. 
  28. “지금 만나러 갑니다”. 위클리한양. 
  29. 행원파크에 위치
  30. 인문대 부근에 위치
  31. 한양대학교 학생식당 메뉴
  32. 정확히 말하면 한양대학교 관할내의 신한은행 지점은 동문회관점이며, 한양여대 행원스퀘어에 한양여대점이 있다.
  33. 정확히 말해 한양사이버대학교한양여자대학교의 시설도 본문에 포함되어있으나, 동일 생활권내에 있으므로 같이 서술하였다.
  34. 영화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요새이름
  35. “이적규정 철회, 내가 지고 가야할 짊…옥중에서부터 결심했다”. 오마이뉴스. 
  36. “한총련 어떤 단체인가”. 국민일보. 
  37. “다 함께 만드는 한양 70년”. 위클리한양. 
  38. 윈드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홍보물
  39. “한양대 '잡 페스티벌'에 5,000여명 몰려”. 서울경제. 2008년 9월 14일에 확인함. 
  40. “법조인 1000명 배출 기념 한양법조동문회 송년회”. 동아일보. 
  41. “개교 70주년 맞는 한양대 김종량 총장”. 동아일보. 
  42. “아소 日총리, 한양대서 韓.日 연구진 격려”. 연합뉴스. 
  43. “코스닥 CEO 평균은 서울대 출신 52세”. 연합뉴스. 
  44.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총 4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초청하였다.
    “내년 10월 노벨상 수상자 3명 한양에 온다”. 위클리한양. 
    “테크노 특강, 노벨물리학상의 러플린 총장 초빙”. 위클리한양. 
  45. 양자 광기능 물성 연구센터
    “오늘의 일정(8월8일.목요일)”. 연합뉴스. 
  46. “김종경 한양대 교수, 국제방사선방호협회 집행위원 선임”. 한국대학신문. 
  47. 나노 SOI 공정 연구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박재근 한양대 교수”. 한국대학신문. 
  48. “[우리는 WCU로 간다]<4>한양대”. 동아 사이언스. 
  49. BK21 참여사업단 소개
  50. “스텔스기술 특화연구센터 개설”. 연합뉴스. 
  51. “한양대, 아시아 연구 거점 '퓨전테크놀로지센터' 개관”. 머니투데이. 
  52. 자세한 내용은 아시아연구네트워크문서를 참조
  53. 자세한 내용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SCI 저널 출판 문단을 참조
    “한양공대 학술지 SCI에 등재”. 동아일보. 
  54. “입시 수입보다 적은 기술이전 수입”. 한국대학신문. 
  55. “‘뜨거운 감자’ 배치표, 언제쯤 식을까”. 한양대학보. 
  56. “70돌 한양공대 명품 브랜드로 거듭난다”. 한국일보. 
  57. “뉴 한양 2020 결과 보고회 열려”. 위클리 한양. 
  58. 한양대학교 해외자매결연대학 소개
  59. 일리노이 공과대학 복수학위 안내문
    일리노이 공과대학교와의 복수학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문서를 참고
  60. '한양의 새로운 동반자 MIT' 학술교류협정 체결”. 위클리한양. 
    “한양대, MIT와 학술교류 협정 체결”. 한국대학신문. 


바깥 고리

대표웹

단과대학

대학원

학과/학부

유관기관

부속기관

언론기관


틀:서울특별시의 사립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