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계동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계동층
층서 범위: 백악기
영양군 청기면 상청리의 도계동층
유형퇴적암
상위 단위경상 누층군
하층청량산층
지역영양군, 영덕군
두께900 m 이상
암질
이암, 사암
나머지역암, 셰일
위치
이름 유래도계동도폭(1963)
나라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 봉화군, 영양군, 안동시, 청송군, 영덕군, 포항시의 지질 및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도계동층(Kt; Kyeongsang supergroup Dogyedong formation, 道溪洞層)은 대한민국 경상 분지 영양소분지에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퇴적암 지층이다. 이 지층은 영양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1]

지역별 지질[편집]

안동시[편집]

  • 중평동도폭(1970)에 의하면 본 층을 구성하는 암석은 주로 녹회색 또는 자색(赭色) 이암과 응회질 사암 또는 석회암, 역암, 알코스질 사암 등으로 교호(交互)된다. 이 중 역암은 하부에서 현저한 발달을 보이며 자색(赭色) 이암 및 사암과 호층(互層)을 이룬다. 암상으로 보아 자색 계열은 하부에, 상부로 갈수록 거의 녹회색 계열로 이루어진다. 도폭 내에서 청량산층보다 더 북동부인 대곡동 상류 지역에 분포한다.[2]
  • 예안도폭(1969)에 의하면 주로 적갈색 이암과 응회질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형 역암, 석회질 사암, 알코스질사암, 녹회색 사암 및 두개 층의 화산암류를 수반한다. 적갈색 이암과 응회질 사암은 전 층에 걸쳐 넓게 발달하며 원형 역암은 적색 이암과 응회질 사암과 더불어 호층을 이루나 특히 하부에서 현저하다. 석회질 이암과 석영질 사암도 간간히 협재되며 알코스질사암은 대체로 원형 역암의 상하 가까이에 협재된다. 녹회색 사암은 본 층 중부에 발달한다. 원형 역암의 역(礫)은 3~5 cm 직경의 화강암, 규암, 사암, 적색 이암, 암회색 셰일, 녹회색 사암, 회색석회암의 원형 역[圓礫]과 화산암의 각력(角礫)이다. 본 층의 층리는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으나 적색 이암 및 응회질 사암에는 건열이 현저하다. 화석은 발견되지 않고 도폭 내 지역에서 본 지층의 상한(上限)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두께 결정은 불가능하나 400 m 이상으로 계산된다.[3] 도폭 내에서 모두 태곡 단층예안면 태곡리재산면 남면리를 잇는다―동부 및 봉화군 재산면 남면리 이남 지역에 분포한다.[1]

영양군청송군[편집]

영양군 입암면 신사리 지방도 제911호선 도로변의 도계동층
북위 36° 36′ 04.4″ 동경 129° 04′ 49.8″ / 북위 36.601222° 동경 129.080500°  / 36.601222; 129.080500
영양군 일월면 칠성리 반변천 하천변 노두
북위 36° 44′ 05.0″ 동경 129° 08′ 57.9″ / 북위 36.734722° 동경 129.149417°  / 36.734722; 129.149417
  • 도계동도폭(1963)에 의하면 하부의 청량산층과는 점이적이고 정합적인 관계이다. 양 층의 경계는 청량산층의 상부에서 현무암류가 첨멸되는 부분을 본 층의 하한으로 설정하였다. 본 층의 하부는 비교적 원도(圓度)가 발달한 작은 역(礫)을 함유하는 역암, 사암, 이암, 셰일 등과 호층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하부의 오십봉층원에 있는 것들과 유사하다. 본 층은 주로 역암, 사암, 셰일 및 이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대체로 응회암질이다. 역암과 사암은 본 층의 하부에서 현저하며 상부로 갈수록 셰일 및 이암층이 우세해진다. 각 엽층의 두께는 대체로 1.5 내지 5 m로서 10 m를 초과하지 못한다. 역(礫)은 원도가 높으며 크기 5 cm 내외의 것들이다. 역암과 사암은 갈색 내지 담홍색을 띠며, 본 역암층은 곳에 따라 알코스사암으로 점이된다. 셰일 및 이암은 (어두운) 자색(赭色)을 띤다. 본 층을 통틀어 응회질의 정도는 하부에서 현저하며 상부로 갈수록 미약해진다. 본 층의 상한은 본 도폭 내 지역에서 나타나지 않아 총 두께를 알 수 없으나 900 m 이상으로 추정된다. 본 층은 본 층 하부에 속하는 경상계 지층의 층서 암상의 대비로 보아 대구도폭 지역에서의 대구층에 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폭 내에서 청량산층 분포지역 남쪽 및 서쪽인 영양군 청기면 행화리-당리 이남 지역, 일월면 도곡리-칠성리 이남 및 수비면 송하리 이서 지역 일대에 넓게 분포한다.[4][1]
  • 영양도폭(1970)에 의하면 이 지역에 분포하는 경상 누층군 지층으로서 하부의 청량산층을 정합으로 덮고 도폭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영양읍, 청기면의 대부분 지역, 입암면석보면 서부, 청송군 진보면 동부 일대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본 층이 이렇게 넓은 분포를 갖는 것은 이 지역에 발달하는 남-북 주향의 계단(階段) 단층에 의하여 반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층의 구성 암석은 전체적으로 적갈색 내지 자색(赭色) 계통의 암색을 가지며 주로 이암과 석회질 알코스질사암 및 응회암질의 호층으로 이루어지고 역암 및 역질 사암, 응회암 및 현무암류를 포함한다. 역암 및 역질 사암층의 발달은 미약하다. 본 층 퇴적중에도 화산활동이 있었음은 본 층에 함유되는 응회질 사암, 응회암 및 현무암류로서 증명되지만 청량산층 오십봉층원에 비하여 규모로 보아 미약해졌음이 확인된다. 본 층 하한(下限)으로부터 약 270 m 상위에 두께 10~20 m인 1~2매의 엷은 세천동(細川洞) 현무암류 및 응회암이 발달될 뿐 그 상위로는 화성활동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5][1]
  • 2006년 영양소분지 일대의 도계동층을 조사한 결과 영양군 지역의 도계동층에서 6개의 공룡 발자국 화석산지가 발견되었다.[6]
화석산지 위치 암상 개수 길이 종류
영양군 입암면 병옥리 병옥교 교각 아래 적색 셰일 6 45~60 용각류
영양군 입암면 교리 하상 적색 셰일 2 56
영양군 청기면 상천리 동천 하상 적색 셰일 10 51~63 44~56
영양군 청기면 구매리 여미마을 하상 적색 사암 1 42 25
영양군 청기면 구매리 구통마을 소청천 하상 적색 셰일 7 15~65
영양군 영양읍 상원리 당평마을 반변천 하상 적색 셰일 용각류 5
조각류 1
용각류 25~39
조각류 26~80
용각류 20~26
조각류 22~63
용각류
조각류

영덕군[편집]

영덕군의 도계동층은 주로 자색의 셰일, 미사암으로 구성되며 두께는 150~250 m이다. 층리는 청량산층 부근에서 동-서 주향에 남쪽으로 경사하나 남부로 갈수록 남-북 내지 북북서 주향에 서쪽으로 경사한다.[7] 영덕군 영덕읍 화천리 산 95 (N 36°27'20.83", E 129°20'31.40")에는 임도를 따라 도계동층이 약 100 m 에 걸쳐 드러나 있다. 노두의 두께는 7~10 m이며 주로 적색 사암, 실트스톤, 역암으로 구성되고 역질조립사암이 협재된다. 역암의 역은 원마도가 양호한 현무암, 화강암, 규암, 사암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현무암 역은 도계동층 하부의 오십봉 현무암에서 기원한 것이다. 역암층 하부는 침식적이고 점이층리 또는 역점이층리를 이루며 내부에 일부 층리가 발달한다. 이곳의 도계동층에는 사질역암으로 구성된 쇄설성 암맥이 약 2 m 길이로 발달한다.[8]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中平洞 地質圖幅說明書 (중평동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0년. 
  3. “예안 지질도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4. “道溪洞 地質圖幅說明書 (도계동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5. “英陽 地質圖幅說明書 (영양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0년. 
  6. 임성규; 박두광; 문종명 (2006년 2월). “영양소분지 하양층군 도계동층에서 발견된 백악기 공룡발자국”. 《한국고생물학회》: 16. 
  7. 강희철; 천영범; 하상민; 서경한; 김종선; 신현조; 손문 (2018년 9월). “경북 영덕군 동부 일원의 지질과 U-Pb 연령 (Geology and U-Pb Age in the Eastern Part of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Korea)”. 《한국암석학회》. 153-171쪽. doi:10.7854/JPSK.2018.27.3.153. 
  8. 정대교; 신승원; 공은혜 (강원대학교); 백인성; 김현주; 박정규 (부경대학교); 임현수; 강희철; 조형성; 이성준; 채용운 (부산대학교); 허민; 김종선 (전남대학교); 황상구 (안동대학교) (2017년 11월). 《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