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언어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음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언어 목록이다. 현재까지 총 60개의 언어가 등장했다.

참가 언어 목록[편집]

순서 언어 첫 등장한 연도 국가
1 네덜란드어 1956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2 독일어 1956 스위스의 기 스위스
3 프랑스어 1956 벨기에의 기 벨기에
4 이탈리아어 1956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5 스페인어 1957 독일의 기 독일
6 영어 1957 영국의 기 영국
7 덴마크어 1957 덴마크의 기 덴마크
8 스웨덴어 1958 스웨덴의 기 스웨덴
9 룩셈부르크어 1960 룩셈부르크의 기 룩셈부르크
10 노르웨이어 1960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11 사미어 1960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12 핀란드어 1961 핀란드의 기 핀란드
13 세르비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1] 196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기 유고슬라비아
14 크로아티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1] 1963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기 유고슬라비아
15 포르투갈어 1964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
16 보스니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1] 1964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기 유고슬라비아
17 슬로베니아어[2] 1966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기 유고슬라비아
18 빈 독일어 1971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3]
19 몰타어 1971 몰타의 기 몰타
20 아일랜드어 1972 아일랜드의 기 아일랜드
21 히브리어 1973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
22 그리스어 1974 그리스의 기 그리스
23 튀르키예어 1975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24 아랍어 1980 모로코의 기 모로코
25 아이슬란드어 1986 아이슬란드의 기 아이슬란드
26 로만슈어[4] 1989 스위스의 기 스위스
27 나폴리어 1991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28 아이티 크레올어 1992 프랑스의 기 프랑스
29 코르시카어 1993 프랑스의 기 프랑스
30 에스토니아어 1994 에스토니아의 기 에스토니아
31 루마니아어 1994 루마니아의 기 루마니아
32 슬로바키아어 1994 슬로바키아의 기 슬로바키아
33 리투아니아어 1994 리투아니아의 기 리투아니아
34 헝가리어 1994 헝가리의 기 헝가리
35 러시아어 1994 러시아의 기 러시아
36 폴란드어 1994 폴란드의 기 폴란드
37 고대 그리스어 1995 그리스의 기 그리스
38 포어아를베르크어 1996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3]
39 브르타뉴어 1996 프랑스의 기 프랑스
40 마케도니아어 1998 북마케도니아의 기 북마케도니아
41 사모기티아어 1999 리투아니아의 기 리투아니아
42 남바이에른어 2003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43 인공 언어 2003 벨기에의 기 벨기에
44 라트비아어 2004 라트비아의 기 라트비아
45 카탈루냐어 2004 안도라의 기 안도라
46 우크라이나어 2004 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47 버로어 2004 에스토니아의 기 에스토니아
48 몬테네그로어[5] 2005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49 알바니아어 2006 알바니아의 기 알바니아
50 타히티어 2006 모나코의 기 모나코
51 불가리아어 2007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
52 체코어 2007 체코의 기 체코
53 아르메니아어 2007 아르메니아의 기 아르메니아
54 롬어 2009 체코의 기 체코
55 스와힐리어 2011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56 우드무르트어 2012 러시아의 기 러시아
57 아제르바이잔어 2012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
58 조지아어 2012 조지아의 기 조지아
59 폰토스 그리스어 2016 그리스의 기 그리스
60 크림 타타르어 2016 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61 벨라루스어 2017 벨라루스의 기 벨라루스
  • 1970년대 중반까지 언어 등장이 많은 이유는 당시 규정상 자국의 언어로만 출전해야 하였기 때문이다. 규정이 깨진 이후, 지역언어와 타국가의 언어(영어가 대체적으로 많이 쓰임)등이 쓰이기 시작했다.
  • 1994년 이후 언어 등장이 다시 많아진 이유는 동구권의 붕괴로 많은 국가가 참가하였기 때문이다.
  • 2003년 벨기에의 곡이 처음 인공언어로 쓰인 이후, 2006년2008년에 인공언어로 쓰인 곡이 참가했다.

자국 언어를 사용하지 않은 국가[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유고슬라비아가 분열되기 전에는 3개의 언어가 세르보크로아트어로 쓰였다. 크로아티아어라는 언어가 등장한 시기는 1970년대이고, 보스니아어세르비아어라는 언어가 등장한 시기는 1990년대 중반이다. 하지만 곡마다 쓰임새가 조금씩 달라 다른 언어로 분류했다.
  2. (세르보크로아트어) 슬로베니아어세르보크로아트어와 다르다.
  3. 오스트리아는 독일어의 방언으로 된 곡을 각각 두 개씩 참가시켰는데, 2003년에는 남 바바리아어로 된 곡을, 2012년에는 오스트로바이에른어로 된 곡을 참가시켰다.
  4. 로만슈어스위스 인구중 사용 비율이 1%밖에 되지 않지만 스위스에서 공용어로 쓰이는 언어이다.
  5. 유고슬라비아의 1983년, 1984년곡인 DžuliCiao amore는 현대 몬테네그로어와 비슷하지만, 1990년대 중반까지 이 언어가 인정되지 않아, 세르보크로아트어로 분류된다.
  6. en:Love Unlimited (Sofi Marinova song). 소피 마리노바의 곡 "Love Unlimited"에서 아제르바이잔어 구절인 "Mən səni sevirəm"이 가사에 나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