룩셈부르크어
사용 국가 | 룩셈부르크, 벨기에, 프랑스, 독일 |
---|---|
사용 지역 | 서유럽 |
언어 인구 | 39만여 명 |
문자 | 로마자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고지 독일어 중부 독일어 서중부 독일어 룩셈부르크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언어 부호 | |
ISO 639-1 | lb
|
ISO 639-2 | ltz
|
ISO 639-3 | ltz 룩셈부르크어
|
룩셈부르크어(Lëtzebuergesch, [ˈlət͡səbuɐ̯jəʃ])는 룩셈부르크의 공용어이다. 문자는 라틴 문자를 쓴다. 룩셈부르크의 공용어가 된 것은 1984년부터이다. 서중부 독일어가 변형된 모젤 프랭키쉬 방언에 속한다. 룩셈부르크어는 지리적으로는 서게르만어의 방언변형이며, 언어학적으로는 고지 게르만어에서 파생되어 나온 방언이다. 유럽 연합에서 룩셈부르크어는 소수 언어에 속하지만,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는 지정되지 않았다.
형태론[편집]
- 인칭대명사
구분 | 주격 | 목적격 | 여격 |
---|---|---|---|
1 인칭 단수 | ech | mech | mir (mer) |
2 인칭 단수 | du (de) | dech | dir (der) |
3 인칭 남성 | hien (en) | hien (en) | him (em) |
3 인칭 여성 | si (se) | si (se) | hir (er) |
3 인칭 중성 | hatt (et) | hatt (et) | him (em) |
1 인칭 복수 | mir (mer) | äis/eis | äis/eis |
2 인칭 복수 | dir (der) | iech | iech |
3 인칭 복수 | si (se) | si (se) | hinnen (en) |
상용 표현[편집]
- Jo. 네
- Nee. 아니요
- Vilächt. 아마도
- Moien! 안녕하세요
- Äddi 또는 Awar. 안녕 (헤어질때)
- Villmols merci. 감사합니다
- Wann ech glift (w.e.g) 부탁합니다 (영어로 '플리즈' 정도의 의미로 주로 문장 뒤에 붙여준다)
- Et deet mer Leed. 미안합니다
- Entschëllegt mech. 실례합니다
- Ech wees net. 모르겠습니다
- Wéi geet et? 어떻게 지내요?
- Et geet, merci. 잘지내요, 고마워요
- Wat ass däin Numm? / Wéi heechs du?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Mäin Numm ass ______. / Ich heeschen ______. 내 이름은 ... 입니다
요일[편집]
- Méindeg [메인데쉬] 월요일
- Dënschdeg [된쉬데쉬] 화요일
- Mëttwoch [뫼트보흐] 수요일
- Donneschdeg [도너쉬데쉬] 목요일
- Freideg [프라이데쉬] 금요일
- Samschdeg [잠쉬데쉬] 토요일
- Sonndeg [존데쉬] 일요일
숫자[편집]
- eent
- zwee
- dräi
- véier
- fënnef
- sechs
- siwen
- aacht
- néng
- zéng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룩셈부르크어 위키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