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영어: Eurovision Song Contest, 프랑스어: Concours Eurovision de la Chanson)는 유럽방송연맹(European Broadcasting Union) 회원국 시청자 앞에서 노래, 춤 등 자신의 기량을 뽐낸 뒤 순위를 가리는 유럽 최대의 음악 경연 대회이다.
참가국[편집]
아래의 목록은 연도마다 처음 참가한 나라를 나열한 것이다.
연도 | 처음 참가한 나라 |
---|---|
1956 | ![]() ![]() ![]() ![]() ![]() ![]() ![]() |
1957 | ![]() ![]() ![]() |
1958 | ![]() |
1959 | ![]() |
1960 | ![]() |
1961 | ![]() ![]() ![]() |
1964 | ![]() |
1965 | ![]() |
1971 | ![]() |
1973 | ![]() |
1974 | ![]() |
1975 | ![]() |
1980 | ![]() |
1981 | ![]() |
1986 | ![]() |
1993 | ![]() ![]() ![]() |
1994 | ![]() ![]() ![]() ![]() ![]() ![]() ![]() |
1998 | ![]() |
2000 | ![]() |
2003 | ![]() |
2004 | ![]() ![]() ![]() ![]() |
2005 | ![]() ![]() |
2006 | ![]() |
2007 | ![]() ![]() ![]() ![]() |
2008 | ![]() ![]() |
2015 | ![]() |
역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결과[편집]
아래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우승한 국가를 가리킨다. 우승 국가는 다음 해 콘테스트의 개최권을 갖는다.
- 1956년:
스위스 (리스 아시아)
- 1957년:
네덜란드 (코리 브로컨)
- 1958년:
프랑스 (앙드레 클라보)
- 1959년:
네덜란드 (테디 스홀턴)
- 1960년:
프랑스 (자클린 부아에)
- 1961년:
룩셈부르크 (장-클로드 파스칼)
- 1962년:
프랑스 (이자벨 오브레)
- 1963년:
덴마크 (그레테 & 예르겐 잉만)
- 1964년:
이탈리아 (질리올라 칭케티)
- 1965년:
룩셈부르크 (프랑스 갈)
- 1966년:
오스트리아 (우도 위르겐스)
- 1967년:
영국 (샌디 쇼)
- 1968년:
스페인 (마시엘)
- 1969년:
스페인 (살로메),
영국 (룰루),
네덜란드 (레니 쿠르),
프랑스 (프리다 보카라) 공동우승
- 1970년:
아일랜드 (다나)
- 1971년:
모나코 (세브리느)
- 1972년:
룩셈부르크 (비키 레안드로스)
- 1973년:
룩셈부르크 (앤-마리 다비드)
- 1974년:
스웨덴 (아바)
- 1975년:
네덜란드 (티치-인)
- 1976년:
영국 (브라더후드 오브 맨)
- 1977년:
프랑스 (마리 미리암)
- 1978년:
이스라엘 (이즈하르 코헨, 알파베타)
- 1979년:
이스라엘 (밀크 앤 허니)
- 1980년:
아일랜드 (조니 로건)
- 1981년:
영국 (벅스 피즈)
- 1982년:
독일 (니콜)
- 1983년:
룩셈부르크 (코린느 에르메스)
- 1984년:
스웨덴 (헤레이스)
- 1985년:
노르웨이 (바비삭스!)
- 1986년:
벨기에 (산드라 킴)
- 1987년:
아일랜드 (조니 로건)
- 1988년:
스위스 (셀린 디온)
- 1989년:
유고슬라비아 (리바)
- 1990년:
이탈리아 (토토 쿠티뇨)
- 1991년:
스웨덴 (카롤라)
- 1992년:
아일랜드 (린다 마틴)
- 1993년:
아일랜드 (니브 캐버노)
- 1994년:
아일랜드 (폴 해링턴, 찰리 맥게티건)
- 1995년:
노르웨이 (시크릿 가든)
- 1996년:
아일랜드 (이미어 퀸)
- 1997년:
영국 (카트리나 앤 더 웨이브스)
- 1998년:
이스라엘 (다나 인터내셔널)
- 1999년:
스웨덴 (샬로트 닐손)
- 2000년:
덴마크 (올센 브라더스)
- 2001년:
에스토니아 (타넬 파다르, 데이브 벤튼, 2XL)
- 2002년:
라트비아 (마리야 나우모바)
- 2003년:
튀르키예 (세르타브 에레네르)
- 2004년:
우크라이나 (루슬라나)
- 2005년:
그리스 (헬레나 파파리주)
- 2006년:
핀란드 (로르디)
- 2007년:
세르비아 (마리야 셰리포비치)
- 2008년:
러시아 (디마 빌란)
- 2009년:
노르웨이 (알렉산데르 뤼바크)
- 2010년:
독일 (레나 마이어란드루트)
- 2011년:
아제르바이잔 (엘 & 니키)
- 2012년:
스웨덴 (로린)
- 2013년:
덴마크 (엠멜리에 데 포레스트)
- 2014년:
오스트리아 (콘치타 부르스트)
- 2015년:
스웨덴 (몬스 셀멜뢰브)
- 2016년:
우크라이나 (자말라)
- 2017년:
포르투갈 (살바도르 소브랄)
- 2018년:
이스라엘 (네타 바르질라이)
- 2019년:
네덜란드 (덩컨 로런스)
-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취소됨.[1][2]
- 2021년:
이탈리아 (모네스킨)
- 2022년:
우크라이나 (칼루시 오케스트라)
국가별 우승 횟수[편집]
우승 횟수 | 국가 | 우승 연도 |
---|---|---|
7 | ![]() |
1970년, 1980년, 1987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6년 |
6 | ![]() |
1974년, 1984년, 1991년, 1999년, 2012년, 2015년 |
5 | ![]() |
1967년, 1969년, 1976년, 1981년, 1997년 |
![]() |
1961년, 1965년, 1972년, 1973년, 1983년 | |
![]() |
1958년, 1960년, 1962년, 1969년, 1977년 | |
![]() |
1957년, 1959년, 1969년, 1975년, 2019년 | |
4 | ![]() |
1978년, 1979년, 1998년, 2018년 |
3 | ![]() |
1963년, 2000년, 2013년 |
![]() |
1985년, 1995년, 2009년 | |
![]() |
1964년, 1990년, 2021년 | |
2 | ![]() |
1968년, 1969년 |
![]() |
1956년, 1988년 | |
![]() |
1982년, 2010년 | |
![]() |
1966년, 2014년 | |
![]() |
2004년, 2016년 | |
1 | ![]() |
1971년 |
![]() |
1986년 | |
![]() |
1989년 | |
![]() |
2001년 | |
![]() |
2002년 | |
![]() |
2003년 | |
![]() |
2005년 | |
![]() |
2006년 | |
![]() |
2007년 | |
![]() |
2008년 | |
![]() |
2011년 | |
![]() |
2017년 |
- 1969년에 열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는 우승곡이 4개가 나옴.
- 세르비아는 "세르비아"라는 국가 아래 첫 참가에 우승을 했지만,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참가, 우승한 적이 있다.
- 러시아는 소련 해체 이전에 "소련"이라는 단일 국가로 참가한 적 없음.
- 2020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취소됨.
참가 언어[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Official EBU statement & FAQ on Eurovision 2020 cancellation”. 《Eurovision.tv》. 2020년 3월 18일.
- ↑ “유럽 덮친 코로나에 최대 음악 축제 '유로비전' 취소”. 《뉴스1》. 2020년 3월 19일. 2021년 8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