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강(江)은 물이 흐르는 길이다. 하늘에서 내린 비가 바다로 흘러가는 경로에 해당된다. 한국어 고유어로는 가람이라고도 한다.
강은 육지 위를 흐르면서 각지에 생명체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며 육지를 침식, 흙, 암석 조각들을 이동시키고 민물고기가 살 수 있는 터전을 만드는 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대체적으로 강에서 사는 생물들과 바다에서 사는 생물들은 서로 다르지만 강과 바다를 오고가며 살 수 있는 생물들도 존재한다. 예를 들자면 상어의 대다수는 바다에서 살지만 황소상어와 같이 바닷물과 민물을 오고 갈 수 있는 생물들도 존재하며 특히 갠지스강에는 민물에 완전히 적응하여 오로지 민물에서만 사는 진성담수상어인 갠지스상어가 산다. 그외에 연어와 은어도 강과 바다를 모두 오고가며 살 수 있는 생물 중에 하나이다.
용어[편집]
하천(河川)은 강과, 골짜기나 평지에서 흐르는 자그마한 내를 뜻하는 시내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하천의 분류[편집]
현재 이 문단은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2022년 9월) |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에서는 하천법에 의해 국가하천, 지방하천을 정하고, 그 외의 하천은 소하천정비법에 의해 소하천으로 분류한다. 국가하천은 국토보전상 또는 대한민국 국민 경제상 중요한 하천으로, 국토교통부장관이 아래 사항 중 하나에 해당하면 국가하천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 유역면적 합계가 200km2 이상인 하천
- 다목적댐의 하류 및 댐 저수지로 인한 배수영향이 미치는 상류의 하천
- 유역면적 합계가 50km2 이상 200km2 미만인 하천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하천
- 인구 20만명 이상의 도시를 지나거나 범람구역 안의 인구가 1만명 이상인 지역을 지나는 하천
- 다목적댐, 하구둑 등 저수량 500만m3 이상의 저류지를 갖추고 국가적 물 이용이 이루어지는 하천
- 상수원보호구역, 국립공원,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문화재보호구역, 생태·습지보호지역을 지나는 하천
- 범람으로 인한 피해, 하천시설 또는 하천공작물의 안전도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하천
지방하천은 지방의 공공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하천으로서 시장 또는 도지사가 그 명칭과 구간을 지정하는 하천을 말하며, 시장 또는 도지사가 하천을 관리한다.
소하천은 국가하천 또는 지방하천으로 지정되지 않은 하천으로, 일시적이 아닌 유수(流水)가 있거나 또는 있을 것이 예상되는 구역이다.
상수원의 수질 기준[편집]
현재 이 문단은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2022년 9월) |
대한민국[편집]
수질 기준을 따지는 지표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BOD는 1급의 경우 1mg/L 이하, 2급의 경우 3mg/L 이하, 3급의 경우 5mg/L 이하이어야 각각의 수질 기준을 만족한다. 그 외에 pH, SS, DO, 대장균 군수를 지표로 사용한다.[1]
공학적 특징[편집]
계절의 변화에 따라 수질 변화가 가장 큰 수원이다.[2]
하천의 길이[편집]
하천 길이는 구적기를 사용해 지형도에서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Horton은 하천 평균길이가 하천차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고 하천길이법칙(law of stream lengths)을 만들었다.
-
- : u차 하천의 평균길이
- : 1차 하천의 평균길이
- RL : 하천길이비
하천 길이를 재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유역의 길이를 잴 수도 있고 유역 중심거리를 잴 수도 있다.[3]
하천의 면적[편집]
u차 하천면적 Au는 u차 하천의 유출에 기여하는 유역면적이다. 1956년 Schumm은 각 차수의 평균 하천유역면적은 1차 하천의 평균 유역면적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는 하천 면적법칙(law of stream area)을 제시하였다.[4]
-
- RA : 임의 차수 하천 평균 유역면적과 그 다음으로 낮은 차수 하천 유역면적과의 비
하천의 경사[편집]
하천종단도에서 하천 임의 두 지점의 표고차와 수평거리의 비를 하천 경사라고 한다. 상류에선 경사가 급하고 하류로 갈수록 경사가 완만해진다. 하천경사를 계산하는 방법은 단순경사방법, 등면적경사방법, 부분경사방법, 등가경사방법이 있다.[5]
하천 밀도[편집]
하천밀도는 단위면적 당 하천 길이를 나타내는 지표다. 유역 내 지류하천의 다소를 나타내는 값으로 사용되며, 토양이 침식성, 불투수성, 급경사, 식생 피복이 빈약한 지역일수록 높은 하천 밀도, 비침식성 토양, 투수성인 지역일수록 낮은 하천 밀도를 보인다.[6]
-
- LT : 유역 내 총 하천길이
- A : 총 유역면적
강과 문화[편집]
강 목록[편집]
- 강의 목록 (이름 순)
- 강의 목록 (길이 순)
- 한국의 강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
- 이재수 (2018). 《수문학》 2판. 구미서관. ISBN 9788982252914.
- 이종형 외 (2010). 〈하천과 하천공학〉. 《하천공학》. 구미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