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D-막: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4번째 줄: 24번째 줄:
==참고 문헌 ==
==참고 문헌 ==
{{주석}}
{{주석}}
* {{저널 인용|장=D branes in string theory I|성=Di Vecchia|이름=Paolo|공저자=Antonella Liccardo|doi=10.1007/978-94-011-4303-5_1|제목=M-Theory and Quantum Geometry|isbn=978-0-7923-6475-7|id={{arxiv|hep-th/9912161}}|기타=NATO Science Series 556|연도=2000|위치=Utrecht|출판사=Springer}}
* {{저널 인용|id={{arxiv|hep-th/9912275}}|연도=1999|성=Di Vecchia|이름=Paolo|공저자=Antonella Liccardo|제목=D branes in string theory II}}
* {{저널 인용|제목=Études on D-Branes|이름=Clifford V.|성=Johnson|id=hep-th/9812196|연도=1998}}
* {{저널 인용|저널=Nuclear Physics B Proceedings Supplements|권=61|호=1–2|날짜=1998-02|쪽=86–98|제목=Introduction to D-Branes|이름=Lárus|성=Thorlacius|doi=10.1016/S0920-5632(97)00521-5|id={{arxiv|hep-th/9708078}}}}


[[분류:끈 이론]]
[[분류:끈 이론]]

2013년 1월 9일 (수) 11:40 판

D-막(영어: D-brane) 또는 디리클레 막(영어: Dirichlet brane)이란 열린 의 끝에 붙어 있는 막(brane)이다.[1][2][3] 이에 따라 열린 끈의 경계 조건이 디리클레 경계 조건을 이룬다. 차원의 D-막은 D-막이라 부른다.

역사

워런 시걸(Warren Siegel)이 1976년에 4차원 시공을 다루기 위하여 열린 끈의 디리클레 경계 조건을 고려하였다.[4] 그러나 열린 끈의 디리클레 경계 조건노이만 경계 조건과 달리 일반적으로 로런츠 대칭을 깨므로 이 논문은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다.

1989년에 다이진(중국어: 戴瑾, 병음: Dài Jǐn)과 로버트 리(Robert G. Leigh), 조지프 폴친스키[5], 페트르 호르자바(체코어: Petr Hořava)[6]T-이중성에 따라 노이만 경계 조건디리클레 경계 조건이 (적어도 축소화한 시공에서는) 서로 동등하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즉, 노이만 경계 조건을 가진 열린 끈을 포함한 이론은 디리클레 경계 조건도 허용해야만 한다. 1995년에 폴친스키는 D-막이 블랙홀의 고차원에서의 확장 개념인 검은 막과 전개상수에 의해 매개되는 이중성을 지닌다는 것을 밝혀냈다.[7] 이 사실은 제2차 끈이론 혁명의 계기가 되어 홀로그래피 원리M이론의 이중성을 이끌었다.

종류

D-막은 시공의 차원에 따라 0차원의 D(−1)-막 (또는 D-순간자)부터 (초끈 이론의 경우) 10차원의 D9-막까지가 있다. (보존 끈 이론에서는 물론 D25-막까지 가능하다.)

이들은 대개 불안정하나, 특수한 경우 이들은 보존되는 전하를 지녀 안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를 BPS 상태라고 부른다.) IIA종 이론에서는 D0, D2, D4, D6, D8-막이, IIB종 이론에서는 D(−1), D1, D3, D5, D7, D9-막이, I종 이론에서는 D1, D5, D9-막이 안정하다.

성질

D-막은 근본적으로 난부-고토 작용을 일반화한 디랙 작용을 따른다. 일반적으로, D-막은 게이지 전하를 띨 수 있다. 예를 들어 끈 이론에서의 각종 p-형식과 딜라톤, 중력자와 결합한다. 이를 디랙-보른-인펠트 작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점입자 (0-막)가 1-형식의 게이지 장과 결합할 수 있듯, Dp-막은 (p+1)-형식의 게이지 장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미분형식 전기역학이라고 한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1. Johnson, Clifford V. (2003). 《D-Branes》. Cambridge Monographs on Mathematical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0511606540. ISBN 9780521809122. 
  2. Johnson, Clifford V. (2001년 10월). 〈D-brane primer〉. 《Strings, Branes And Gravity: TASI 99, Boulder, Colorado, USA, 31 May – 25 June 1999》. Singapore: World Scientific. 129-350쪽. doi:10.1142/9789812799630_0002. ISBN 978-981-02-4774-4. arXiv:hep-th/0007170. 
  3. Polchinski, Joseph (1997). 〈Lectures on D-branes〉. 《Fields, Strings and Duality: TASI 96: Proceedings》. Singapore: World Scientific. ISBN 9789810231446. arXiv:hep-th/9611050. 
  4. Siegel, Warren (1976년 6월 28일). “Strings with dimension-dependent intercept”. 《Nuclear Physics B》 109 (2): 244–254. doi:10.1016/0550-3213(76)90204-2. 
  5. Dai, Jin; Robert G. Leigh, Joseph Polchinski (1989년 10월 20일). “New connections between string theories”. 《Modern Physics Letters A4 (21): 2073–2083. doi:10.1142/S0217732389002331. 
  6. Hořava, Petr (1989년 11월 9일). “Background duality of open string models”. 《Physics Letters B231 (3): 251–257. doi:10.1016/0370-2693(89)90209-8. 
  7. Polchinski, Joseph (1995년 12월 25일). “Dirichlet branes and Ramond-Ramond charges”. 《Physical Review Letters75 (26): 4724–4727. doi:10.1103/PhysRevLett.75.4724. arXiv:hep-th/9510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