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베유 준동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분기하학에서 천-베유 준동형([陳]-Weil準同型, 영어: Chern–Weil homomorphism)은 리 군작용에 대하여 불변인 리 대수 변수 다항식드람 코호몰로지 동치류에 대응시키는 환 준동형이다.

정의[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을 정의할 수 있다.

  • 복소수 리 대수
  • 위의 다항식환
  • 위의 딸림표현 작용. 이에 따라 군환 왼쪽 가군을 이룬다.
  • 작용에 대한 불변량 부분 대수 .
  • 의 불변량 부분 대수는 동차 다항식 부분 공간들의 합으로 다음과 같이 분해된다.
  • 동차 다항식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개의 변수를 갖는 함수 가 존재한다.

또한,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천-베유 준동형은 다음과 같은 -결합 대수 준동형이다.

추상적 정의[편집]

리 군 에 대하여, 분류 공간 를 생각하자. (기본군은 상관이 없다.) 그렇다면, 리 대수 코호몰로지를 통해 다음이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복소수 계수이므로, 좌변은 기본군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는다.) 이 동형에서, 우변의 등급(동차 다항식의 차수)은 좌변의 등급(코호몰로지류의 차수)의 절반이다.

이에 따라, -주다발 는 어떤 연속 함수

에 의하여

로서 주어진다. 또한, 이 코호몰로지 환등급환 준동형

을 정의한다. 이를 정수 계수 대신 복소수 계수로 취하면, 등급환 준동형

을 정의한다. 이를 천-베유 준동형이라고 한다.

콤팩트 실수 리 군 은 그 복소화와 호모토피 동치이므로, 복소수 리 군 대신 콤팩트 실수 리 군을 사용해도 좋다.

구체적 정의[편집]

천-베유 준동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우선, 위의 임의의 주접속을 고르고, 그 곡률

라고 하자. 그렇다면, 에 대하여 다음을 정의하자.

여기서 사용된 기호는 다음과 같다.

  • 주다발 전체 공간의 점
  • 는 주다발의 한 접공간 개의 벡터들
  • 순열의 부호수
  • 는 크기 대칭군

그렇다면, 다음을 보일 수 있다.

  • -불변성에 의하여, 위의 닫힌 미분 형식이다. 즉, 이다.
  • 가 되는 유일한 미분 형식 가 존재하며, 이 또한 닫힌 미분 형식이다.
  • 또한, 는 사용된 주접속에 의존하지만, 그 드람 코호몰로지 동치류 주접속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천-베유 준동형은 다음과 같다.

[편집]

1차 천 특성류[편집]

(또는 이에 대응하는 콤팩트 군 )을 생각하자. 그 분류 공간은 무한 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

이며, 그 유리수 계수 코호몰로지설리번 대수

이다.

아벨 군이므로, 모든 다항식이 불변량이다. 즉, 이 경우

이다.

-주다발연관 벡터 다발 구성을 통하여 복소수 선다발과 동치이며, 이 경우 천-베유 특성류는 1차 천 특성류

로서 주어진다.

천 특성류[편집]

보다 일반적으로, -매끄러운 주다발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다음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이에 대응하는 특성류천 특성류

이다. 물론, 이를 차수별로 분해하여

천 특성류

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다발 대신, 이에 대한 (정의 표현에 대한) 연관 다발

을 사용하여

로 적을 수 있다.

역사[편집]

1940년대 말에 천싱선앙드레 베유가 도입하였다. 이 내용은 천싱선의 1951년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강의록에서 최초로 출판되었으며,[1]:64–65, §Ⅲ.6 이 강의록의 서문에서 천싱선은 베유의 공헌을 다음과 같이 인정하였다.

나는 또한 앙드레 베유씨와 자주 대화를 나눌 수 있었던 특권에 대하여 언급하고 싶습니다. 그의 미출판 원고는 [천-베유 준동형을 다루는] 3장의 전개에 크게 영향을 끼쳤습니다.
I wish also to acknowledge my privilege of having frequent conversations with André Weil. An unpublished manuscript of his has greatly influenced the presentation in Chapter Ⅲ.

 
[1]:0, §Introduction

참고 문헌[편집]

  1. Chern, Shiing-shen (1951). 《Topics in differential geometry》 (영어). The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 Bott, R. (1973), “On the Chern–Weil homomorphism and the continuous cohomology of Lie groups”, 《Advances in Mathematics》 11: 289–303, doi:10.1016/0001-8708(73)90012-1 .
  • Shiing-Shen Chern, Complex Manifolds Without Potential Theory (Springer-Verlag Press, 1995) ISBN 0-387-90422-0, ISBN 3-540-90422-0.
  • Chern, S.-S.; Simons, J (1974), “Characteristic forms and geometric invariants”,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99 (1): 48–69, JSTOR 1971013 .
  • Kobayashi, S.; Nomizu, K. (1963), 《Foundations of Differential Geometry, Vol. 2》 new판, Wiley-Interscience (2004에 출판됨) .
  • Narasimhan, M.; Ramanan, S. (1961), “Existence of universal connections”, 《Amer. J. Math.》 83: 563–572, doi:10.2307/2372896, JSTOR 2372896 .
  • Morita, Shigeyuki (2000), “Geometry of Differential Forms”, 《Translations of Mathematical Monographs》 201 .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