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수학에서 연관 다발(聯關-, 영어: associated bundle)은 위상군의 작용을 갖는 위상 공간 및 같은 위상군에 대한 주다발로부터 구성되는, 전자를 올로 갖는 올다발이다.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위상 공간

- 위상군

-주다발 
- 위상 공간

의, 위상 공간
위의 연속 왼쪽 작용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위상 공간을 생각하자.

이는 사영 함수
![{\displaystyle \pi \colon [(p,v)]\mapsto p}](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6ef0f2b149d4b833eb8366cbaef155d55fde3c01)
를 통해, 올이
인,
위의 올다발을 이룬다. 이를 연관 다발이라고 한다.
연관 벡터 다발[편집]
특히,
가 유한 차원 실수 벡터 공간이며,
가
의 연속 유한 차원 실수 표현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연관 다발
위에는
로부터 오는, 표준적인
위의 벡터 다발 구조가 존재한다. 즉, 각 올
위에는 벡터 공간 구조
![{\displaystyle t[(p,v)]=[(p,tv)]\qquad (p\in P,\;v\in V,\;t\in \mathbb {R} )}](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aa288b326d36ab8b697a8f3f58f171d00763baf2)
![{\displaystyle [(p,v)]+[(p\cdot g^{-1},v')]=[(p,v+\rho (g)v')]\qquad (p\in P,\;v,v'\in V,\;g\in G)}](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e853321019f8c4127251ff3bb7047386796d5ab9)
가 주어진다. 이를
의 연관 벡터 다발(영어: associated vector bundle)이라고 한다.
가 2차 순환군이며,

가 원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원의 2겹 피복 공간

![{\displaystyle \pi \colon [t]\mapsto [2t]}](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c513f21359ad11b5daaa806b5e5f6a9c31a30eed)
은 자연스럽게
-주다발을 이룬다. 즉, 그 위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g\colon [t]\mapsto \left[t+{\frac {1-g}{2}}\right]\qquad (g\in \{\pm 1\})}](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2301136af40a43acc3029d6880262796e3f5f443)
는 자연스러운 1차원 실수 표현

을 가지며, 이에 대한 연관 벡터 다발은 (원 위의 1차원 벡터 다발로 여긴) 뫼비우스의 띠이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