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디귿(표준어), 디읃(문화어)
정보
자명디귿(표준어), 디읃(문화어)
훈몽자회池末 (末:훈독(귿=끝))
자원(니은)에 획을 추가 (혓소리)
종류닿소리
획수2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t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d(초성, 모음 앞 종성)
t(모음 앞이 아닐 때 종성)
발음
어두무성 치경 파열음[ t⁽ʰ⁾ ]
어중유성 치경 파열음[ d ]
어말치경 불파음[ t ̚ ]
이음어두 구개음화: [ ȶ⁽ʰ⁾ ]
어중 구개음화: [ ȡ ]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경음
후행 자음이 ㅎ일 경우: [ tʰ ]
획순

(표준어: 디귿, 문화어: 디읃)은 한글의 자음 중 세 번째 글자이다

현대 한국어치경 파열음을 나타내며, 낱말 처음이나 받침에 올 경우 무성[ t⁽ʰ⁾ ], 홀소리홀소리 사이 혹은 유성 자음 앞뒤에서는 유성[ d ]이 되며, 어말이나 다른 닿소리 앞에 오면 치경 불파음[ t ̚ ]이 된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치경 파열음으로 소리나지만 뒤따르는 종속적인 형식 형태소의 모음이 일 경우 구개음화하여 과 같이 소리난다. 낱말 처음이나 받침에 올 경우 안울림소리, 낱말 중간 울림소리 사이에 올 경우 울림소리가 된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ㄷ이 나타내는 소리는 혓소리며, 에 획을 더해서 만들어졌다.

훈민정음

[편집]

"ㄷ·ᄂᆞᆫ·혀쏘·리니斗:드ᇢㅸ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
ᄀᆞᆯ·ᄫᅡ·쓰·면覃ㅂ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 훈민정음 언해본 <초성해>

ㄷ는 혓소리이니 '斗(두)'자를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覃(담)'자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라.


코드값

[편집]
종류 글자 유니코드 HTML
한글 호환 자모 U+3137 &#12599;
한글 자모
영역
첫소리 ᄃᅠ U+1103 &#4355;
끝소리 ᅟᅠᆮ U+11AE &#4526;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첫소리  U+F790 &#63376;
끝소리  U+F880 &#63616;
반각 U+FFA7 &#65447;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