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 한글 자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확장 한글 자모, 즉 기존의 한글 낱자를 변형하여 만든 새로운 한글 낱자에 관한 문서이다.

마름모 미음[편집]

마름모 미음 또는 마름미음박성원이 《화동정음통석운고》(華東正音通釋韻考)를 지으면서 을 대체해 임의로 만든 낱자이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마름미음'이라는 이름으로 국제 문자 세트에 추가하려 하였으나,[2] 추가되지 못하였다.

설상음 표기 자모[편집]

'혀바닥소리 니은', '혀바닥소리 디읃', '혀바닥소리 티읕', '혀바닥소리 두디읃')이라고 찾아지는 네 자모는 ㄴ, ㄷ, ㅌ, ㄸ의 세로획을 위로 연장한 자모이며 신경준 저 《훈민정음도해》에서 사용되었다. 각각 중고 한어 음운론 삼십육자모의 설상음인 孃(ɳ), 知(ʈ), 澄(ʈʰ), 徹(ɖ)에 대응되는 글자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 네 자모를 국제 문자 세트에 추가하려 하였으나,[2] 추가되지 못하였다.

[편집]

20세기 초에는 다른 언어에 쓰이는 순치음 /f, v/을 표기하기 위해 ᅄ과 ᅋ을 쓰는 경우가 있었는데, 주시경은 《대한국어문법》(1906)에서 이것이 불합리하다고 여기며 ㅇ 자리에 대신 ∨를 병서한 표기를 제안했다.[3]

조선어 신철자법의 자모[편집]

Nkchar-l.svg, Nkchar-rr.svg, Nkchar-w.svg, Nkchar-y.svg는 1948년부터 1954년까지 조선어 신철자법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쓰였던 자모이다. 이들의 이름은 아래 표와 같았다.

자모 명칭
Nkchar-l.svg Nkchar-li.svgNkchar-eul.svg(/리으/)
Nkchar-rr.svg Nkchar-rri.svgNkchar-eurr.svg(/liɯl/)
Nkchar-w.svg Nkchar-w.svgNkchar-euw.svg(/우읍/)
Nkchar-y.svg Nkchar-yy.svg(반모음 이)

이 글자들은 각각 ㄹ 불규칙, 르 불규칙, ㅂ 불규칙, 어간 말의 ㅣ에 쓰였다. 예시 등은 조선어 신철자법의 형태소의 표기를 참고하라.

음성 기호[편집]

한글을 음성 기호로 표시하기 위해 자모를 변형시킨 사례가 있다.

소리체 프로 (Sori Pro, 2020)[편집]

노타입의 《소리체 프로》는 전사를 위한 새로운 자모를 만든 계획 겸 글꼴이다.[4]

각주[편집]

  1. “국립국어원 소식지 쉼표, 마침표. 없어진 한글 자모, 어떤 소리를 나타낸 것일까요? - 홍윤표”. 2014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26일에 확인함. 
  2. n2243.pdf
  3. 주시경 (1906). 《대한국어문법》. 근ᄅᆡ 혹 외국 齒脣声을 ㅇ으로 표ᄒᆞᆷ이 잇스니 [...] 不可ᄒᆞᆫ지라. 故로 象形ᄒᆞ어 ∨ 이 표를 特別이 만ᄃᆞᆯ어 齒脣声 표로 通用코자 ᄒᆞ엇노라 
  4. https://nohtype.com/20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