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어리그의 외국인 선수 명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리미어리그 외국인 선수 명단은 1992년부터 시작된 프리미어리그에서 활약한 외국인 선수들의 명단이다. 총 107개국에서 외국인 프리미어리거가 나왔고 가장 최근에 첫 번째 외국인 프리미어리거를 배출한 국가는 아르메니아(헨리크 미키타리안, 2016년 8월 16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이다.

1.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현재 프리미어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수이다.

2. 프리미어리그 구단과 계약했으나 프리미어리그 경기에 출전하지 못한 선수는 기재하지 않는다.

3. 영국 국적을 가지고 있는 선수(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포함)는 기재하지 않는다. 단, 영국에서 태어났으나 성인 대표팀을 다른 나라로 선택했을 시에는 기재한다.

4. 프리미어리그 구단과 계약을 했고 프리미어리그 경기에 뛴 선수라도 리그에 출전하지 못한 시즌이 있으면 그 시즌은 기재하지 않는다.

2018년 5월 13일 기준

가나 가나[편집]

마이클 에시엔은 첼시 소속으로 두번의 프리미어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가봉 가봉[편집]

가이아나 가이아나[편집]

감비아 감비아[편집]

그레나다 그레나다[편집]

그리스 그리스[편집]

스텔리오스 얀나코풀로스는 볼턴, 헐 시티 소속으로 프리미어리그에서 6시즌 동안 주전으로 활약했다.

기니 기니[편집]

기니비사우 기니비사우[편집]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편집]

존 오비 미켈은 첼시 소속으로 두번의 프리미어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야쿠부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4개의 프리미어리그 팀에서 활약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편집]

스티븐 피나르는 2007년 에버턴에 입단한 이후 3개의 팀에서 9년 동안 프리미어리그 생활을 하고 있다.

네덜란드 네덜란드[편집]

로빈 판 페르시는 2 시즌 연속으로 프리미어리그 득점왕을 기록했으며, 아스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활약했다.
뤼트 판 니스텔로이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으로 2002-03 시즌 프리미어리그 득점왕을 차지했다.
에드빈 판 데르 사르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으로 있는 동안 프리미어리그 최장기간 클린시트를 기록한 선수로 기록되어 있다.
데니스 베르흐캄프는 아스널 소속으로 3번의 프리미어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디르크 카위트는 리버풀 소속으로 6 시즌 동안 프리미어리그에서 208경기 출장 51골을 기록했다.

노르웨이 노르웨이[편집]

올레 군나르 솔셰르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으로 6번의 프리미어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욘 아르네 리세는 리버풀 소속으로 7 시즌 동안 활동하면서 프리미어리그 234경기 21골을 기록했다.
브레데 항엘란은 풀럼과 크리스털 팰리스 소속으로 9 시즌 동안 프리미어리그에서 활얐했다.

뉴질랜드 뉴질랜드[편집]

대한민국 대한민국[편집]

덴마크 덴마크[편집]

페테르 슈마이켈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으로 5번의 프리미어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골키퍼 중 유일하게 올해의 선수로 선정된 바 있다.
다닐 아게르는 리버풀 소속으로 9시즌 동안 프리미어리그에서 활약했다.

독일 독일[편집]

옌스 레만은 아스널의 2003–04시즌 무패 우승을 달성할 시 주전 골키퍼였다.
미하엘 발라크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4시즌 동안 첼시에서 활약했으며 2009-10 시즌 프리미어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메수트 외질은 2013년 아스널로 합류한 뒤 현재까지 활약하고 있으며, 2016년 아스널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라이베리아 라이베리아[편집]

라트비아 라트비아[편집]

러시아 러시아[편집]

루마니아 루마니아[편집]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편집]

마케도니아 공화국 북마케도니아[편집]

말리 말리[편집]

멕시코 멕시코[편집]

모로코 모로코[편집]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편집]

몬트세랫 몬트세랫[편집]

몰타 몰타[편집]

미국 미국[편집]

바베이도스 바베이도스[편집]

버뮤다 버뮤다[편집]

베냉 베냉[편집]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편집]

벨기에 벨기에[편집]

벨라루스 벨라루스[편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편집]

볼리비아 볼리비아[편집]

부룬디 부룬디[편집]

부르키나파소 부르키나파소[편집]

불가리아 불가리아[편집]

브라질 브라질[편집]

세네갈 세네갈[편집]

세르비아 세르비아[편집]

세이셸 세이셸[편집]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키츠 네비스[편집]

스웨덴 스웨덴[편집]

스위스 스위스[편집]

스페인 스페인[편집]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편집]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편집]

시에라리온 시에라리온[편집]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편집]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편집]

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편집]

아일랜드 아일랜드[편집]

알바니아 알바니아[편집]

알제리 알제리[편집]

앙골라 앙골라[편집]

앤티가 바부다 앤티가 바부다[편집]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편집]

에콰도르 에콰도르[편집]

오만 오만[편집]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편집]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편집]

온두라스 온두라스[편집]

우루과이 우루과이[편집]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편집]

이란 이란[편집]

이스라엘 이스라엘[편집]

이집트 이집트[편집]

이탈리아 이탈리아[편집]

일본 일본[편집]

자메이카 자메이카[편집]

잠비아 잠비아[편집]

적도 기니 적도 기니[편집]

조지아 조지아[편집]

중국 중국[편집]

지브롤터 지브롤터[편집]

짐바브웨 짐바브웨[편집]

체코 체코[편집]

칠레 칠레[편집]

카메룬 카메룬[편집]

카보베르데 카보베르데[편집]

캐나다 캐나다[편집]

케냐 케냐[편집]

코소보 코소보[편집]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편집]

코트디부아르 코트디부아르[편집]

콜롬비아 콜롬비아[편집]

콩고 공화국 콩고 공화국[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편집]

퀴라소 퀴라소[편집]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편집]

키프로스 키프로스[편집]

터키 튀르키예[편집]

토고 토고[편집]

튀니지 튀니지[편집]

트리니다드 토바고 트리니다드 토바고[편집]

파라과이 파라과이[편집]

파키스탄 파키스탄[편집]

페로 제도 페로 제도[편집]

페루 페루[편집]

포르투갈 포르투갈[편집]

폴란드 폴란드[편집]

프랑스 프랑스[편집]

핀란드 핀란드[편집]

헝가리 헝가리[편집]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