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테말라 축구 국가대표팀
과테말라 | |||
---|---|---|---|
연맹 | 과테말라 축구 연맹 | ||
대륙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 ||
감독 | ![]() | ||
최다 출전자 | 카를로스 루이스 (133) | ||
최다 득점자 | 카를로스 루이스 (68) | ||
홈 구장 | 에스타디오 도로테오 과무치 플로레스 | ||
FIFA 코드 | GUA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50위 (2006년 8월) | ||
최저 순위 | 163위 (1995년 11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쿠바 아바나; 1930년 3월 17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과테말라 과테말라; 2019년 9월 5일,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 C) ![]() ![]() (과테말라 과테말라; 2021년 6월 5일,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코스타리카 산호세; 1955년 7월 24일) | |||
CONCACAF 골드컵 | |||
출전 횟수 | 17회 (1963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1967년) | ||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 |||
출전 횟수 | 12회 (1991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2001년) |
과테말라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어: Selección de fútbol de Guatemala)은 과테말라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과테말라 축구 연맹에서 운영하고 있다. 홈 구장은 에스타디오 도로테오 과무치 플로레스이며 현재 감독은 멕시코 출신의 루이스 페르난도 페나이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과테말라는 월드컵 본선 경험이 전무한 북중미 국가들 중 가장 실력이 빼어난 팀으로 손꼽히며 비록 월드컵 본선에는 한번도 진출하지 못했지만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성적만큼은 월드컵 본선 무대를 1번씩 밟아본 캐나다, 아이티, 자메이카, 파나마, 쿠바보다 월등히 높은 편에 속한다. 특히 201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12경기에서 9승 1무 2패로 지난 200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7승 4무 7패) 이후 8년만에 과테말라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승점 기록을 경신했고 이 과정에서 28골을 터뜨리며 팀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득점 기록도 갈아치웠다.
CONCACAF 골드컵[편집]
골드컵 본선에는 전신인 CONCACAF 선수권 대회를 포함해 18번 출전하여 이 중 1967년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1965년 대회와 1969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2번의 대회(2007년, 2011년)에서 8강에 이름을 올렸다.
CONCACAF 네이션스리그[편집]
2019-20 리그 C[편집]
2018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4차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리그 C에 편입된 과테말라는 최약체팀들인 앵귈라, 푸에르토리코와 함께 C조에 배정되었다. 이후 첫 경기에서 앵귈라를 10-0으로 대파했고 2차전에서는 푸에르토리코를 5-0으로 물리쳤으며 앵귈라와의 3차전에서도 5-0의 대승을 거두었다. 그리고 푸에르토리코와의 최종전에서도 5-0의 대승을 거두며 4전 전승·조 1위로 차기 시즌 리그 B 승격 및 2021년 CONCACAF 골드컵 예선 1라운드 진출을 확정지었다.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편집]
이 대회에는 12번 출전하여 이 중 2001년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5번의 대회(1995년, 1997년, 1999년, 2003년, 2014년)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팬아메리칸 게임[편집]
팬아메리칸 게임에는 5번 출전하여 1983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고 나머지 4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본선에는 3번 출전하여 1968년 대회에서 8강에 이름을 올렸고 나머지 2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비회원국 | ||||||||
![]() | |||||||||
![]() | |||||||||
![]() |
불참 | ||||||||
![]() | |||||||||
![]() |
예선 탈락 | ||||||||
![]() | |||||||||
![]() |
참가 신청이 거절됨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비회원국 | ||||||
![]() | |||||||
![]() | |||||||
![]() |
불참 | ||||||
![]() | |||||||
![]() |
3 | 0 | 0 | 3 | 4 | 12 | 0 |
![]() |
4 | 0 | 2 | 2 | 7 | 10 | 2 |
![]() |
참가를 거절당함 | ||||||
![]() |
4 | 1 | 2 | 1 | 5 | 3 | 5 |
![]() |
7 | 2 | 3 | 2 | 6 | 6 | 9 |
![]() |
11 | 4 | 3 | 4 | 23 | 16 | 15 |
![]() |
8 | 3 | 3 | 2 | 10 | 2 | 12 |
![]() |
4 | 2 | 1 | 1 | 7 | 3 | 7 |
![]() |
10 | 3 | 2 | 5 | 9 | 11 | 11 |
![]() |
2 | 0 | 1 | 1 | 0 | 2 | 1 |
![]() |
8 | 4 | 2 | 2 | 9 | 10 | 14 |
![]() ![]() |
13 | 6 | 3 | 4 | 23 | 15 | 21 |
![]() |
18 | 7 | 4 | 7 | 27 | 29 | 25 |
![]() |
8 | 3 | 2 | 3 | 15 | 8 | 11 |
![]() |
12 | 9 | 1 | 2 | 28 | 11 | 28 |
![]() |
10 | 5 | 2 | 3 | 21 | 12 | 17 |
합계 | 122 | 49 | 31 | 42 | 194 | 150 | 178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44위 (북중미 7위) |
CONCACAF 골드컵[편집]
골드컵 본선 기록 | 골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조별리그 | 6위 | 4 | 1 | 2 | 1 | 7 | 6 | 5 | 자동참가 | ||||||
![]() |
결선리그 | 준우승 | 5 | 3 | 1 | 1 | 11 | 5 | 10 | 자동참가(개최국) | ||||||
![]() |
결선리그 | 우승 | 5 | 4 | 1 | 0 | 7 | 1 | 13 | 2 | 2 | 0 | 0 | 6 | 2 | 6 |
![]() |
결선리그 | 준우승 | 5 | 3 | 2 | 0 | 10 | 2 | 11 | 자동진출(전 대회 우승국) | ||||||
![]() |
예선 탈락 | 2 | 0 | 1 | 1 | 1 | 2 | 1 | ||||||||
![]() |
결선리그 | 5위 | 5 | 0 | 3 | 2 | 4 | 6 | 3 | 2 | 2 | 0 | 0 | 2 | 0 | 6 |
![]() |
결선리그 | 5위 | 5 | 1 | 1 | 3 | 8 | 10 | 4 | 6 | 3 | 2 | 1 | 15 | 6 | 11 |
![]() |
예선 탈락 | 8 | 3 | 3 | 2 | 10 | 2 | 12 | ||||||||
1985년[4] | 조별리그 | 5위 | 4 | 2 | 1 | 1 | 7 | 3 | 7 | 자동참가 | ||||||
1989년[5] | 결선리그 | 4위 | 6 | 1 | 1 | 4 | 4 | 7 | 4 | 4 | 2 | 1 | 1 | 5 | 4 | 7 |
![]() |
조별리그 | 7위 | 3 | 1 | 0 | 2 | 1 | 5 | 3 | 3 | 0 | 2 | 1 | 0 | 1 | 2 |
![]() ![]() |
불참 | 불참 | ||||||||||||||
![]() |
4강 | 4위 | 4 | 1 | 0 | 3 | 3 | 5 | 3 | 4 | 2 | 0 | 2 | 2 | 5 | 4 |
![]() |
조별리그 | 7위 | 3 | 0 | 2 | 1 | 3 | 4 | 2 | 5 | 3 | 2 | 0 | 10 | 3 | 11 |
![]() |
조별리그 | 10위 | 2 | 0 | 1 | 1 | 3 | 5 | 1 | 5 | 3 | 1 | 1 | 5 | 2 | 10 |
![]() |
조별리그 | 12위 | 2 | 0 | 0 | 2 | 1 | 4 | 0 | 5 | 2 | 3 | 0 | 9 | 5 | 9 |
![]() ![]() |
조별리그 | 11위 | 2 | 0 | 1 | 1 | 1 | 3 | 1 | 5 | 3 | 1 | 1 | 10 | 4 | 10 |
![]() |
조별리그 | 11위 | 3 | 0 | 1 | 2 | 4 | 9 | 1 | 5 | 3 | 1 | 1 | 10 | 5 | 10 |
![]() |
8강 | 8위 | 4 | 1 | 1 | 2 | 2 | 5 | 4 | 5 | 3 | 1 | 1 | 3 | 2 | 10 |
![]() |
예선 탈락 | 3 | 0 | 0 | 3 | 1 | 6 | 0 | ||||||||
![]() |
8강 | 7위 | 4 | 1 | 1 | 2 | 5 | 4 | 4 | 3 | 1 | 0 | 2 | 3 | 6 | 3 |
![]() |
예선 탈락 | 4 | 0 | 3 | 1 | 3 | 5 | 3 | ||||||||
![]() ![]() |
조별리그 | 12위 | 3 | 0 | 1 | 2 | 1 | 4 | 1 | 4 | 3 | 0 | 1 | 7 | 4 | 9 |
![]() |
실격 (FIFA의 자격 정지 처분으로 인해 실격 처리됨) | 실격 | ||||||||||||||
![]() |
실격 (FIFA의 자격 정지 처분으로 인해 실격 처리됨) | 실격 | ||||||||||||||
합계 | 18회 진출(18/25) | 우승(1회) | 69 | 19 | 20 | 30 | 82 | 88 | 77 | 75 | 35 | 21 | 19 | 102 | 64 | 124 |
순위 |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6위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
![]() | |||||||||
![]() | |||||||||
![]() | |||||||||
![]() |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 |||||||||
![]() | |||||||||
![]() |
8강 | 8위 | 4 | 2 | 0 | 2 | 6 | 4 | 6 |
![]() |
진출 실패 | ||||||||
![]() |
조별리그 | 10위 | 3 | 0 | 2 | 1 | 2 | 5 | 2 |
![]() |
진출 실패 | ||||||||
![]() | |||||||||
![]() |
조별리그 | 16위 | 3 | 0 | 0 | 3 | 2 | 12 | 0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 |||||||||
![]() | |||||||||
합계 | 3회 진출(3/26) | 8강(1회) | 10 | 2 | 2 | 6 | 10 | 21 | 8 |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편집]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결선리그 | 3위 | 3 | 0 | 2 | 1 | 0 | 1 | 2 |
![]() |
불참 | ||||||||
![]() |
준우승 | 2위 | 4 | 2 | 0 | 2 | 2 | 5 | 6 |
![]() |
준우승 | 2위 | 5 | 3 | 2 | 0 | 10 | 3 | 11 |
![]()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5 | 2 | 10 |
![]() |
우승 | 1위 | 5 | 2 | 3 | 0 | 9 | 5 | 9 |
![]()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10 | 4 | 10 |
![]() |
4강 | 3위 | 5 | 3 | 1 | 1 | 10 | 5 | 10 |
![]() |
4강 | 3위 | 5 | 3 | 1 | 1 | 3 | 2 | 10 |
![]() |
조별리그 | 6위 | 3 | 0 | 0 | 3 | 1 | 6 | 0 |
![]() |
조별리그 | 5위 | 3 | 1 | 0 | 2 | 3 | 6 | 3 |
![]() |
조별리그 | 6위 | 4 | 0 | 3 | 1 | 3 | 5 | 3 |
![]() |
준우승 | 2위 | 4 | 3 | 0 | 1 | 7 | 4 | 9 |
![]() |
실격 | ||||||||
합계 | 12회 출전(12/14) | 우승(1회) | 51 | 23 | 14 | 14 | 63 | 48 | 83 |
팬아메리칸 게임[편집]
팬아메리칸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진출 실패 | ||||||||
![]() | |||||||||
![]() | |||||||||
![]() | |||||||||
![]() | |||||||||
![]() | |||||||||
![]() | |||||||||
![]() |
조별리그 | 7위 | 2 | 0 | 1 | 1 | 2 | 4 | 1 |
![]() |
은메달 | 준우승 | 4 | 1 | 2 | 1 | 5 | 4 | 5 |
![]() |
조별리그 | 5위 | 3 | 1 | 1 | 1 | 3 | 2 | 4 |
![]() |
진출 실패 | ||||||||
![]() | |||||||||
![]() |
조별리그 | 7위 | 4 | 1 | 1 | 2 | 4 | 5 | 4 |
![]() |
조별리그 | 7위 | 3 | 0 | 1 | 2 | 2 | 5 | 1 |
![]() |
진출 실패 | ||||||||
![]() | |||||||||
![]() | |||||||||
합계 | 5회 진출(5/17) | 은메달(1회) | 16 | 3 | 6 | 7 | 16 | 20 | 15 |
개인 기록[편집]
최다 출전 선수[편집]
# | 성명 | 연도 | 경기 | 골 |
---|---|---|---|---|
1 | 카를로스 루이스 | 1998–2016 | 133 | 68 |
2 | 기예르모 라미레스 | 1997–2012 | 106 | 16 |
3 | 구스타보 카브레라 | 2000–2012 | 104 | 2 |
4 | 프레디 톰프손 | 2001–2015 | 96 | 3 |
5 | 후안 카를로스 플라타 | 1996–2010 | 87 | 35 |
6 | 곤살로 로메로 | 2000–2012 | 83 | 9 |
7 | 훌리오 히론 | 1992–2006 | 82 | 0 |
8 | 에드가르 에스트라다 | 1995–2003 | 80 | 0 |
9 | 마리오 로드리게스 | 2003–2013 | 79 | 10 |
호세 마누엘 콘트레라스 | 2006– | 79 | 2 |
최다 득점 선수[편집]
# | 성명 | 연도 | 경기 | 골 |
---|---|---|---|---|
1 | 카를로스 루이스 | 1998–2016 | 133 | 68 |
2 | 후안 카를로스 플라타 | 1996–2010 | 87 | 35 |
3 | 카를로스 톨레도 | 1943–1953 | 17 | 25 |
4 | 마리오 캄포세코 | 1943–1950 | 29 | 23 |
프레디 가르시아 | 1998–2012 | 73 | 23 | |
6 | 오스카르 산체스 | 1976–1989 | 48 | 19 |
7 | 에드윈 웨스트팔 | 1985–1998 | 47 | 16 |
드와이트 페사로시 | 2000–2012 | 72 | 16 | |
기예르모 라미레스 | 1997–2012 | 106 | 16 | |
10 | 후안 마누엘 푸네스 | 1985–2000 | 66 | 15 |
주요 선수[편집]
각주[편집]
- ↑ 1974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다. 최강의 위용을 자랑하던 60년대 중후반과 달리 한 경기도 이기지 못하고 5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 ↑ 1978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다. 전 대회에 이어 똑같은 승점(당시엔 승리를 2점으로 계산)으로 5위를 차지했다.
- ↑ 1982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다.
- ↑ 1986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고,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다. 8년만에 본선 진출에는 성공했지만 캐나다에 1:2로 패한 것에 발목이 잡혀 최종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 ↑ 1990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고,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다.
- ↑ 이 대회부터 정식 명칭이 골드컵으로 바뀌었으며, 현재까지 단 한 번도 빼놓지 않고 계속 미국이 개최하고 있다. 더불어 12개국으로 참가국이 확대되고 4강부터 토너먼트가 도입된 첫 대회였다. 그리고 1973~1989년까지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하던 것을 아예 독자대회로 분리시켰다.
- ↑ 이 대회부터 타대륙팀을 초청하기 시작했고 첫 타자는 브라질이 되었다. A조에서 멕시코에 0:1로 패했지만 세인트 빈센틴 그레나딘을 3:0으로 누르고 조 2위 와일드카드로 4강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또다시 멕시코를 만나 0:1 패, 3·4위전에서 미국에 0:3으로 패해 단 1승을 거두고 최종 4위를 차지했다.
- ↑ 이 대회부터 출전국이 12개국으로 늘어났으며, 초청국도 3개로 확대되었고 그 자리는 콜롬비아, 페루, 대한민국이 차지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2:4로 대패했지만 북중미 최강 멕시코와 1:1로 비겨 승점을 따는 것에 만족해야 했다.
- ↑ 멕시코에 1:3, 엘살바도르에 0:1로 패하며 2전 전패로 대회 유일의 전패팀으로 전락하며 탈락했다.
- ↑ 3년 전과 비슷하게 약체인 자메이카에 0:2로 패했지만 남미의 강호 콜롬비아와 1:1로 비기며 1무 1패로 탈락했다.
- ↑ 1996년부터 이어져 오던 초청제도가 이 대회에서 14년만에 폐지되면서 12개국 모두 북중미 팀으로 대회가 치뤄졌다. C조에서 미국에 0:1로 패했으나 엘살바도르를 1:0으로 누르고 전년도 월드컵에 진출했던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1:1로 비겨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 ↑ 이 대회부터 완전히 3·4위전이 폐지되었다.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