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남 축구 국가대표팀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별칭 | Suriboys (수리보이즈) |
---|---|
연맹 | 수리남 축구 연맹 |
대륙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
감독 | 데안 고레 |
최다 출전자 | 마를론 펠테르 (44) |
최다 득점자 | 스테파노 라이젤 (12) |
FIFA 코드 | SUR |
FIFA 랭킹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순위: 84위 (2008년 8월) 최저 순위: 168위 (2001년 4월)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수리남; 1921년 1월 28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 ![]() (수리남; 1947년 3월 2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 ![]() (아루바; 1946년 6월 5일) |
유니폼 | |
CONCACAF 골드컵 | |
출전 횟수 | 2회 (1977년에 처음 출전) |
최고 성적 | 조별리그 |
수리남 축구 국가대표팀은 수리남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가이아나, 프랑스령 기아나와 마찬가지로 남미 축구 연맹 소속인 아닌 인접 대륙인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소속으로 국제 대회에 출전한다. 다만 FIFA 월드컵 본선에는 단 한번도 출전한 적이 없고 CONCACAF 골드컵 본선에는 2번 출전해서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1991년 팬아메리칸 게임에도 출전했으나 마찬가지로 조별리그에 머물렀다. 그나마 수리남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국제 대회는 카리브컵과 ABCS 토너먼트 대회로 카리브컵에서는 전신인 1978년 CFU 챔피언십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조별리그 제도가 도입된 이후 8개팀이 출전한 1994년 대회와 1996년 대회에서 4강에 진출했다. ABCS 토너먼트 대회에서는 3번의 우승을 차지하면서 이 대회의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불참 | ||||||||
![]() | |||||||||
![]() |
기권 | ||||||||
![]() |
불참 | ||||||||
![]() | |||||||||
![]()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
![]() |
불참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불참 | ||||||
![]() | |||||||
![]() |
기권 | ||||||
![]() |
불참 | ||||||
![]() | |||||||
![]() | |||||||
![]() |
2 | 0 | 1 | 1 | 1 | 2 | 1 |
![]() |
4 | 1 | 0 | 3 | 8 | 9 | 3 |
![]() |
4 | 2 | 0 | 2 | 10 | 9 | 6 |
![]() |
4 | 2 | 1 | 1 | 11 | 4 | 7 |
![]() |
10 | 2 | 2 | 6 | 15 | 24 | 8 |
![]() |
4 | 2 | 1 | 1 | 5 | 3 | 7 |
![]() |
6 | 1 | 2 | 3 | 4 | 10 | 5 |
![]() |
불참 | ||||||
![]() |
4 | 1 | 2 | 1 | 4 | 4 | 5 |
![]() |
2 | 0 | 0 | 2 | 0 | 2 | 0 |
![]() ![]() |
4 | 1 | 1 | 2 | 1 | 2 | 4 |
![]() |
4 | 2 | 1 | 1 | 12 | 6 | 7 |
![]() |
9 | 3 | 2 | 4 | 14 | 21 | 11 |
![]() |
6 | 2 | 1 | 3 | 5 | 11 | 7 |
![]() |
2 | 0 | 0 | 2 | 1 | 4 | 0 |
합계 | 65 | 19 | 14 | 32 | 91 | 111 | 71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02위 (북중미 13위) |
CONCACAF 골드컵[편집]
북중미 골드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
![]() | |||||||||
![]() | |||||||||
![]() |
예선 도중 기권 | ||||||||
![]() |
예선 탈락 | ||||||||
![]() |
결선리그 | 6위 | 5 | 0 | 0 | 5 | 6 | 17 | 0 |
![]() |
예선 탈락 | ||||||||
1985년[4] | 조별리그 | 8위 | 4 | 0 | 1 | 3 | 2 | 9 | 1 |
1989년[5] | 불참 | ||||||||
![]() |
예선 탈락 | ||||||||
![]() ![]() |
기권 | ||||||||
![]() |
예선 탈락 | ||||||||
![]() |
불참 | ||||||||
![]() |
예선 탈락 | ||||||||
![]() | |||||||||
![]() ![]() |
예선 도중 기권 | ||||||||
![]() |
예선 탈락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2회 진출(2/24) | 조별리그(2회) | 9 | 0 | 1 | 8 | 8 | 26 | 1 |
순위 |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22위 |
팬아메리칸 게임[편집]
팬아메리칸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별리그 | 6위 | 3 | 1 | 1 | 1 | 4 | 3 | 4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 |||||||||
합계 | 1회 진출(1/17) | 조별리그(1회) | 3 | 1 | 1 | 1 | 4 | 3 | 4 |
각주[편집]
- ↑ 1974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다.
- ↑ 1978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다.
- ↑ 1982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다.
- ↑ 1986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고,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다.
- ↑ 1990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고,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다.
- ↑ 이 대회부터 정식 명칭이 골드컵으로 바뀌었으며, 현재까지 단 한 번도 빼놓지 않고 계속 미국이 개최하고 있다. 더불어 12개국으로 참가국이 확대되고 4강부터 토너먼트가 도입된 첫 대회였다. 그리고 1973~1989년까지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하던 것을 아예 독자대회로 분리시켰다.
- ↑ 이 대회부터 타대륙팀을 초청하기 시작했고 첫 타자는 브라질이 되었다.
- ↑ 이 대회부터 출전국이 12개국으로 늘어났으며, 초청국도 3개로 확대되었고 그 자리는 콜롬비아, 페루, 대한민국이 차지했다.
- ↑ 1996년부터 이어져 오던 초청제도가 이 대회에서 14년만에 폐지되면서 12개국 모두 북중미 팀으로 대회가 치뤄졌다.
- ↑ 이 대회부터 완전히 3·4위전이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