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대수학에서 최소 다항식(最小多項式, 영어: minimal polynomial)은 체에 대한 결합 대수의 원소가 만족시키는 가장 간단한 일계수 다항식이다.[1]
체
에 대한 멱결합 대수
의 원소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집합을 정의하자.
![{\displaystyle {\mathfrak {J}}_{a}=\{p\in K[x]\colon p(a)=0\}}](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eb9fdf137e253d3d3db3a1e15a2e105aed489769)
(만약
가 1을 갖지 않는다면,
이다.) 그렇다면
는
의 아이디얼이다.
는 주 아이디얼 정역이므로, 이는 항상 주 아이디얼이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가 존재한다.
이다. 이 경우,
는 초월원이며,
는 초월 대수이다.
가 되는 일계수 다항식
가 존재한다. 이 경우,
를
의 최소 다항식이라고 한다. (이러한 일계수 다항식은 유일하며,
에 속하는 다른 모든 일계수 다항식들은
보다 차수가 더 크다.)
멱결합 대수의 원소가 최소 다항식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대수적 원소이다. 따라서 대수적 대수(특히 유한 차원 대수)의 모든 원소는 최소 다항식을 갖는다.
체의 확대
에 대하여,
은 가환
-단위 결합 대수를 이룬다. 체의 확대에서, 최소 다항식은 항상 기약 다항식이다. 귀류법을 써서,
에서
의 최소 다항식
가 인수 분해가 가능하다면 (
),
는 정역이므로
이거나
이며,
이다. 그러나
는
의 최소 차수 일계수 다항식이므로, 이는 불가능하다.
대수적 확대
에서,
가 완전체라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의 (대수적 폐포
에서의) 근들은 서로 겹치지 않는다. 그러나
가 완전체가 아닐 경우 이는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가 분해 가능 확대가 아니라고 한다.
체
위의
정사각 행렬의 유한 차원
-단위 결합 대수
에서, 임의의 행렬
은 최소 다항식을 갖는다. 행렬의 최소 다항식은 행렬의 닮음에 대하여 불변이다. 즉, 가역 행렬
에 대하여,
과
의 최소 다항식은 같다. 또한, 만약
이
를 포함하는 더 큰 체일 경우,
의
에서의 최소 다항식과
에서의 최소 다항식은 일치한다.
체
위의
행렬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의 최소 다항식은 1차 다항식들의 곱이다.
은 삼각화 가능 행렬이다.
또한,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의 최소 다항식은 서로 다른 1차 다항식들의 곱이다.
은 대각화 가능 행렬이다.
케일리-해밀턴 정리에 따라,
의 최소 다항식은 특성 다항식을 나눈다. 또한 최소 다항식과 특성 다항식의 근의 집합은 (중복도를 무시하면) 일치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의 최소 다항식의 소인수 분해가

라면,



이다.[2]:196, §6.3, (6-8); 237, §7.2, Theorem 4
체의 확대
에서,
라면,
이다.
실수체의 확대인 복소수체
에서,
의 최소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실수 행렬

의 특성 다항식은

이며, 이는 이미 중복되지 않는 1차 다항식들의 곱이다. 최소 다항식은 특성 다항식을 나누고 특성 다항식과 같은 근의 집합을 가져야 하므로,
의 최소 다항식 역시

이다.
이차 수체
에서,
가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의 최소 다항식은
이다.
의
위에서의 최소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원분체
에서,
의 최소 다항식은 원분 다항식
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다.











특히,
이 소수일 경우

이다.
분해 가능 확대가 아닌 확대에서의 최소 다항식
[편집]
분해 가능 확대가 아닌 체의 확대
에서,
의 최소 다항식은
![{\displaystyle p_{y}(X)=X^{p}-x\in \mathbb {F} _{p}(x)[X]}](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632b2ddbc72c558a4994a51675e7233bf0860ad4)
이다. 이 경우,
위에서
![{\displaystyle p_{y}(X)=(X^{p}-({\sqrt[{p}]{x}})^{p})=(X-{\sqrt[{p}]{x}})^{p}}](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f5bd7cd543c5f8e524c07d4665db20dc62876c19)
이다. 즉,
는 분해 가능 다항식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