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론에서 분해 가능 확대(分解可能擴大, 영어: separable extension) 또는 분리 가능 확대(分離可能擴大)는 최소 다항식의 근들이 겹치지 않는 대수적 확대이다.
체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기약 다항식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기약 다항식을 분해 가능 다항식(分解可能多項式, 영어: separable polynomial)이라고 한다.
- 모든 체의 확대
및
에 대하여,
속에서
이다.
인 체의 확대
가 존재한다.
- 모든 체의 확대
및
에 대하여,
임은 불가능하다.
- 형식적 도함수
에 대하여,
이다.
최소 다항식은 항상 기약 다항식이다. 대수적 확대
에 대하여, 만약 모든
에 대하여 그 최소 다항식
이 분해 가능 다항식이라면
를 분해 가능 확대라고 한다.
체
에 대하여, 그 대수적 폐포
속에서,
에 대하여 최소 다항식이 분해 가능한 원소들의 집합
은
의 부분체를 이루며, 이를
의 분해 가능 폐포(分解可能閉包, 영어: separable closure)라고 한다.
의 분해 가능 폐포는 (동형을 무시하면) 유일하다. (다만, 대수적 폐포는 표준적이지 않으므로, 서로 다른 두 분해 가능 폐포 사이의 동형은 표준적이지 않다.)
의 분해 가능 확대는
의 최대 갈루아 확대이다.
대수적 확대
에 대하여, 만약 모든
에 대하여 그 최소 다항식
이 분해 가능 다항식이 아니라면
를 완전 비분해 확대(完全非分解擴大, 영어: purely inseparable extension)라고 한다.
임의의 체
에 대하여,
는 분해 가능 확대이며,
은 완전 비분해 확대이다. 임의의 대수적 확대
에 대하여,
는 분해 가능 확대이며,
은 완전 비분해 확대이다. 임의의 정규 확대
에 대하여,
는 완전 비분해 확대이며,
는 갈루아 확대이다. 또한
은
와
의 합성체이며,
는 둘의 교집합이다. 여기서,

는
의 모든 자기 동형 사상에 대한 고정점의 집합이다.
유한 확대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분해 가능 확대이다.
- 체 대각합
는 전사 함수이다.

완전체의 대수적 확대는 항상 분해 가능 확대이다. 즉, 분해 불가능 확대는 양의 표수에서만 존재하는 현상이다.
대수적 확대

는 정규 확대이지만 분해 가능 확대가 아니다.
의 최소 다항식은
![{\displaystyle x^{p}-t^{p}\in \mathbb {F} _{p}(t^{p})[x]}](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231852216f9beee2d45bb9c5cc545acce8978f4b)
인데,
에서 이는
![{\displaystyle x^{p}-t^{p}=(x-t)^{p}\in \mathbb {F} _{p}(t)[x]}](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5062652552ea34fd10e5b1d6a6d66af908df6063)
와 같이 인수분해되므로 분해 가능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