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이 제어
알타이 제어 유라시아횡단어족 | |
---|---|
지리적 분포 | 중앙아시아 · 시베리아 지역 · 한반도, 일본 |
계통적 분류 | 알타이 제어 |
하위 분류 | |
![]() |
알타이 제어(영어: Altaic languages, -諸語)는 우랄 산맥에서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 언어들의 공통점을 설명하고자 제시된 가설적인 어족이다. 19세기부터 시작한 긴 시간의 언어학적 연구사료가 남아있는 유명한 학설이면서 논쟁이 계속되는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을 포함하며 학자에 따라 한국어족, 일본어족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한국어와 일본어를 알타이어족에 포함시키는 학자로는 구스타크 욘 람스테트와 예프게니 폴리바노프, 로이 앤드류 밀러, 마르티너 로베이츠 등을 들 수 있다.[1]
알타이어족의 역사[편집]
퉁구스어족·몽골어족·투르크어족의 언어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언급은 러시아 동부를 여행했던 스웨덴의 군장교 필립 요한 폰 슈트랄렌베르크가 1730년 쓴 책에서 처음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니콜라스 포페는 이를 “알타이 제어에 속하는 많은 언어들을 분류하려고 했던 최초의 시도”라고 평했다.[2]
‘알타이’[3]라는 말이 처음 붙은 것은 1844년으로, 우랄어족을 주로 연구했던 핀란드의 문헌학자 마티아스 카스트렌(Matthias Castrén)에 의해서였다. 카스트렌의 알타이 제어는 핀우그리아어와 사모예드어까지 포함하고 있었는데, 오늘날엔 두 언어군이 우랄어족에 속하므로, 카스트렌이 제안한 알타이 제어는 지금의 우랄알타이어족에 해당하며 현대에는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이후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포함된다고 주장한 사람으로는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와 예프게니 폴리바노프가 있다. 로이 앤드류 밀러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알타이어족으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4]
한편 퉁구스어·몽골어·투르크어와 함께 한국어·일본어·아이누어를 하나의 어족으로 보는 관점도 있다. 이러한 주장 중의 하나로 조지프 그린버그의 유라시아어족 가설이 있다. 알타이어족의 유명 옹호자인 마르티너 로베이츠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포함한) 알타이 제어를 '트랜스유라시아어족'(Transeurasian languages)라 칭한다.
특징[편집]
알타이 제어에 속하는 언어는 일반적으로 다음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 SOV 어순, 즉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가진다.
- 교착어이다.
- 모음조화가 있다. 또는 과거에 있었다.
- 두음법칙이 있어 어두에 특정 자음이 쓰이지 않는다. 유음 /r/, /l/로 시작되는 단어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부동사(副動詞, converb)가 있다.
- 모음교체, 자음교체가 없다.
- 문법적 성(gender)이 없다.
- 대개 유기음이 없었다.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Stratification in the peopling of China: how far does the linguistic evidence match genetics and archaeology? In; Sanchez-Mazas, Blench, Ross, Lin & Pejros eds. Human migrations in continental East Asia and Taiwan: genetic,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evidence. 2008. Taylor & Francis.
- ↑ Poppe 1965:125
- ↑ 알타이 산맥에서 유래함
- ↑ Poppe 1976:470
참고 및 관련 문헌[편집]
- Poppe, Nicholas. 1965. Introduction to Altaic Linguistics. Ural-altaische Bibliothek 14. Wiesbaden: Otto Harrassowitz.
- Poppe, Nicholas. 1976. Review of Karl H. Menges, Altajische Studien II. Japanisch und Altajisch (1975). In The Journal of Japanese Studies 2.2, 470–474.
- Starostin, Sergei A., Anna V. Dybo, and Oleg A. Mudrak. 2003.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ltaic Languages, 3 volumes. Leiden: Brill Academic Publishers. ISBN 90-04-13153-1.
외부 링크[편집]
- (영어) Ethnologue의 알타이 제어 계통도
- (한국어) 한국알타이학회
![]() |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