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어족
몽골어족 | |
---|---|
지리적 분포 | 몽골 내몽골, 신장, 간쑤, 칭하이(중국) 부랴트 공화국, 칼미크 공화국(러시아) 헤라트(아프가니스탄) |
계통적 분류 | 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
하위 분류 | |
글로톨로그 | mong1329[1] |
![]() 몽골어족의 지리적 분포 |
몽골어족(蒙古語族, 영어: Mongolic languages)은 몽골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중앙아시아의 어족이다. 최대 언어는 몽골어인데, 고유 몽골어 화자만 5백만 명 이상으로 몽골어족 언어 화자 수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계통[편집]
인근의 튀르크어족·퉁구스어족, 더 나아가 한국어족, 일본어족과 함께 묶여 알타이어족을 구성한다는 학설이 존재한다.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는 몽골어족의 언어는 일러야 몽골 제국이 확장하던 13세기 초 이후에 갈라진 것으로서, 지리적 분포에 비해 계통상 분리된 시간이 오래되지 않아 몽골어족의 조어인 몽골조어(Proto-Mongolic)는 멀리 소급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거란어와 토욕혼어가 몽골어족과 같은 계통이라는 학설이 유력해짐에 따라 이들을 포함하는 확장 몽골어족(Para-Mongolic)을 세워 더 과거의 모습을 재구성하려는 학자도 많다.[2] 더 거슬러 올라가서는 고대의 선비나 오환의 언어까지 포함하여 궁극적인 몽골어족을 구성하는 경우도 있으며[3] 이를 통해 고대의 튀르크어족 조어와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다.
2014년 알렉산더 보빈 등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진은 몽골에서 1975년 발굴된 Hüis Tolgoi 비문을 분석하여 이것이 5~7세기 경에 몽골어족 계통의 언어로 쓰인 글임을 결론지음으로써 확장 몽골어족 연구에 큰 진척을 얻었다.[4]
하위 분류[편집]
- 중앙몽골어군
- 몽골어 (몽골의 공용어)
- 할하어
- 차하르어
- 호르친어
- 바린어
- 오르도스어
- 몽골어 (몽골의 공용어)
- 서몽골어군
- 북몽골어군
- 동북몽골어군
- 동남몽골어군
- 중남몽골어군
- 서남몽골어군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2). 〈Mongolic〉. 《Glottolog 4.6》.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Juha Janhunen (2006). 《The Mongolic Languages》. Routledge. 393쪽. ISBN 978-1-135-79690-7.
- ↑ Shimunek, Andrew (2017).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ISBN 978-3-447-10855-3. OCLC 993110372.
- ↑ Vovin, Alexander (2019).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 the Brāhmī Bugut and Khüis Tolgoi Inscrip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urasian Linguistics》 (영어) 1 (1): 162–197. doi:10.1163/25898833-12340008. ISSN 2589-8825.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