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강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3월) |
북한강 | |
(지리 유형: 강) | |
가평 지역을 지나는 북한강.
| |
나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대한민국 |
---|---|
지방 | 강원도(북) · 강원도(남) · 경기도 |
도시 | 금강군 · 창도군 · 화천군 · 춘천시 · 가평군 · 양평군 |
소속 | 한강 독립수계 · 북한강 종속수계 |
지류 | |
- 오른쪽 | 금강천 · 금성천 · 양구서천 · 소양강 |
발원지 | 태백산맥 먹포령의 서남쪽 사면 |
- 위치 | 강원도(북) 금강군 신읍리 [최신 정보 아님][주 1][주 2][1][2][3] |
하구 | 한강의 팔당호 부근 수역 |
- 위치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
길이 | 482.98 km (300 mi)[4] |
면적 | 23,292.83 km2 (8,993 sq mi)[4] |
참고 문헌: |

북한강 자전거 길과 북한강의 모습
북한강(北漢江)은 한강의 제1지류 중 가장 긴 하천이다. 강원도 회양군(현 금강군)에서 발원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휴전선부터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에서 만나는 남한강과의 합류지점까지 국가하천으로 지정하고 있다.
댐과 호수[편집]
북한강은 댐이 많은 하천으로, 상류부터 평화의 댐, 화천댐(파로호), 춘천댐(춘천호), 의암댐(의암호), 청평댐(청평호)이 북한강에 있다. 또한 북한강 최대의 지류인 소양강에는 소양강댐이 있다. 북한강변의 춘천시는 의암호에 의하여 호반의 도시로 불린다. 경기도 가평군에는 청평호가 있으며,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에서 한강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지류[편집]
지류로는 양구서천, 간척천, 풍산천, 화천천, 용암천, 계성천, 논미천, 지촌천, 마평천, 지암천, 사평천, 월송천, 한계천, 소양강, 금산천, 공지천, 덕두원천, 팔미천, 강촌천, 서사천, 가평천, 달전천, 이화천, 산유천, 홍천강, 미원천, 조종천, 구운천, 신기천, 사기막천, 월산천, 묵현천, 아양천, 삼봉천, 시우천, 진중천, 조안천이 있으며, 이들을 합치고 남양주시 팔당호에서 남한강과 합류한다.
양구서천과 소양강은 국가하천이며, 나머지 지류들은 지방하천이다.
각주[편집]
- 내용주
- ↑ 본 위치 정보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공동 발간한 사전 《조선향토대백과》에 수록된, 2005년 1월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되었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별다른 대외 발표 없이도 기초 단위 행정 구역을 정비하는 일이 잦은 바, 《조선향토대백과》 발간 시점으로부터 10년을 넘긴 현 상황에서 위키백과는 더 이상 본 정보의 정시적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게 되었음을 이와 같이 밝힌다.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52년 군면리 대폐합을 통해 기존 4단계 행정 구역 체계를 3단계로 재편하였다. '면' 단위는 폐지되었고, '리' 단위가 한 단계 승격되어 '읍·동·리'와 이 개편으로 신설된 '로동자구'가 동등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역사 문서를 참고할 것.
- 참조주
- ↑ 가 나 《북한지도집》 182-183쪽,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수원, 2013.
- ↑ 가 나 "강원도 금강군 신읍리 개요", 평화문제연구소 국가DB 북한지역정보넷[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4-10-27에 확인.
- ↑ 가 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외 1, 《조선향토대백과》 11권 "강원도", 대한민국 평화문제연구소:서울, 2004.
- ↑ 가 나 다 한강홍수통제소 하천정보센터 (2015). 《한국하천일람 2014》 (PDF). 세종: 국토교통부. 84-85쪽. 2019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