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함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Manhattan distance.svg|섬네일|200px|맨해튼 거리와 유클리드 거리의 비교: 맨해튼 거리인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선의 길이는 모두 12이며 가장 짧은 맨해튼 거리이다. 유클리드 거리인 초록색 선의 길이는 <math>6 \sqrt{2} \approx 8.49</math>이므로 네 선 중에서 가장 길이가 짧다.]]
[[파일:Manhattan distance.svg|섬네일|200px|맨해튼 거리와 유클리드 거리의 비교: 맨해튼 거리인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선의 길이는 모두 12이며 가장 짧은 맨해튼 거리이다. 유클리드 거리인 초록색 선의 길이는 <math>6 \sqrt{2} \approx 8.49</math>이므로 네 선 중에서 가장 길이가 짧다.]]
'''거리 함수'''(距離 函數, {{llang|en|Distance function}})는 [[집합]]의 각 원소 쌍 사이에 [[거리]]를 주는 [[함수]]이다. 거리가 있는 집합을 [[거리 공간]]이라고 부른다.<ref>{{서적 인용|성=Čech|이름=Eduard|제목=Point Sets|위치=New York|출판사=Academic Press|연도=1969년|쪽=42}}</ref> 계량이 집합의 [[위상수학]]을 유도하지만 모든 위상수학을 계량으로 생성할 수는 없다. 계량으로 위상수학을 설명할 수 있는 공간을 [[거리화 가능 공간]]이라고 부른다.
'''거리 함수'''(距離 函數, {{llang|en|metric, distance function}})는 [[집합]]의 각 원소 쌍 사이에 [[거리]]를 주는 [[함수]]이다. 거리가 있는 집합을 [[거리 공간]]이라고 부른다.<ref>{{서적 인용|성=Čech|이름=Eduard|제목=Point Sets|위치=New York|출판사=Academic Press|연도=1969년|쪽=42}}</ref> 거리는 집합의 [[위상 공간 (수학)|위상]]을 유도하지만 모든 위상을 거리로부터 생성할 수는 없다. 거리로부터 위상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을 [[거리화 가능 공간]]이라고 부른다.


[[거리화 가능 공간]]에서 계량의 중요한 원천은 [[미분 가능 다양체]]의 접선 벡터로부터 스칼라로 정의할 있는 [[쌍선형 형식]]인 계량 텐소르이다. 계량 텐소르는 통합을 통해 곡선을 따라 거리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계량을 결정한다.
[[미분기하학]]에서 거리를 정의하는 한 가지 중요한 방법은 [[계량 텐서]]이다. 계량 텐서는 [[미분 가능 다양체]]의 [[접벡터]]를 받아 [[스칼라 (수학)|스칼라]]를 내놓는 [[쌍선형 형식]]이다. 계량 텐서는 적분을 통해 곡선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 주고, 따라서 거리를 결정한다.


== 정의 ==
== 정의 ==
집합 {{수학 변수|X}}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함수("거리 함수" 또는 단순히 "거리"라고 부름)로 표현한다.
집합 {{수학 변수|X}}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함수("거리 함수" 또는 단순히 "거리"라고 부름)로 표현한다.
:<math>d : X \times X \to [0,\infty)</math>
:<math>d : X \times X \to [0,\infty)</math>
여기서 <math>[0,\infty)</math>는 음수가 아닌 [[실수]]의 집합이며 모든 <math>x, y, z \in X</math>에 대해 다음 3가지 공리가 충족된다.
여기서 <math>[0,\infty)</math>는 음이 아닌 [[실수]]의 집합이며 모든 <math>x, y, z \in X</math>에 대해 다음 3가지 공리가 충족된다.


:{|
:{|
14번째 줄: 14번째 줄:
|style="width:250px"|<math>d(x, y) = 0 \Leftrightarrow x = y</math> ||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
|style="width:250px"|<math>d(x, y) = 0 \Leftrightarrow x = y</math> ||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
|-
|-
| 2. || <math>d(x, y) = d(y, x) </math> || [[대칭 함수]]
| 2. || <math>d(x, y) = d(y, x) </math> || [[대칭 함수|대칭성]]
|-
|-
| 3. || <math>d(x, y) \le d(x, z) + d(z, y)</math> || [[삼각 부등식]]
| 3. || <math>d(x, y) \le d(x, z) + d(z, y)</math> || [[삼각 부등식]]
|}
|}


또한 이러한 공리는 음수가 아닌 조건 또는 "분리 조건"을 암시한다. 따라서 <math>d(x,y) \ge 0</math> 모두 <math>x, y \in X</math>가 된다.
공리들은 거리가 음수가 아니라는 "분리 조건"을 함의한다. 즉, 모든 <math>x, y \in X</math> 대해 <math>d(x,y) \ge 0</math>이다.


1번, 3번, 2번 공리를 그러한 순서대로 적용하면 <math>0 = d(x, x) \le d(x, y) + d(y, x) = d(x, y) + d(x, y) = 2 d(x, y)</math> <math>0 \le d(x, y)</math> 의미한다.
왜냐하면 1번, 3번, 2번 공리를 순서대로 적용하면 <math>0 = d(x, x) \le d(x, y) + d(y, x) = d(x, y) + d(x, y) = 2 d(x, y)</math>이고, 따라서 <math>0 \le d(x, y)</math>이기 때문이다.


음수가 아닌 수와 1번 공리는 "[[양의 정부호 함수]]"라고 불리는 것을 정의한다.
함수값이 음이 아니라는 조건과 1번 공리는 "[[양의 정부호 함수]]"라고 불리는 것을 정의한다.


다른 점들 사이에 점이 절대 들어갈 수 없도록 다음과 같이 보다 강력한 버전으로 만든 "삼각 부등식"을 만족하는 거리를 [[초거리 공간]]이라고 한다.
사이에 다른 점이 들어갈 수 없도록 다음과 같이 삼각 부등식보다 강한 조건을 만족하는 거리를 [[초거리 공간|초거리]]라고 한다.
:<math>d(x, y) \leq \max(d(x, z), d(y, z))</math>는 모두 <math>x, y, z \in X</math>가 된다.
: 모든 <math>x, y, z \in X</math>에 대해 <math>d(x, y) \leq \max(d(x, z), d(y, z))</math>.


{{수학 변수|X}}에서 임의의 2개의 점인 {{수학 변수|x}}와 {{수학 변수|y}} {{수학|1=''d''(''x'', ''y'')}}에 근접한 곡선으로 결합될 있는 경우에 {{수학 변수|X}}에 대한 공간 {{수학 변수|d}} [[길이 거리 공간]]이라고 부른다.
{{수학 변수|X}} 임의의 {{수학 변수|x}}와 {{수학 변수|y}}에 대해, 두 점을 이으면서 그 길이가 {{수학|1=''d''(''x'', ''y'')}}에 임의로 가까운 곡선이 존재하는 경우, {{수학 변수|d}} {{수학 변수|X}} [[길이 거리 공간|길이 거리]]라고 부른다.


''G'' 군의 거리(곱셈으로 표기함)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왼쪽 불변"(반대 개념은 "오른쪽 불변")이라고 표현한다.
''G'' 거리 ''d''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왼쪽 불변"(반대 개념은 "오른쪽 불변")이라고 한다. (곱셈 표기법 사용)
:<math>d(zx, zy) = d(x, y)</math> [resp. <math>d(xz,yz)=d(x,y)</math>] (''G''의 모든 ''x'', ''y'', ''z''에 대해)
:<math>d(zx, zy) = d(x, y)</math> [반대 개념은 <math>d(xz,yz)=d(x,y)</math>] (''G''의 모든 ''x'', ''y'', ''z''에 대해)


가환 덧셈군 <math>X</math>의 거리 <math>D</math>는 모든 <math>x, y, z \in X</math>에 대해 <math>D(x, y) = D(x + z, y + z)</math>인 경우 또는 모든 <math>x, y \in X</math>에 대해 <math>D(x, y) = D(x - y, 0)</math>인 경우에 이동 불변이라고 한다. 또한 모든 벡터 공간은 가환 덧셈군이며 [[노름 공간]]에 의해 유도되는 실제 또는 복잡한 벡터 공간에 대한 거리는 항상 이동 불변이다.
가환 덧셈군 <math>X</math>의 거리 <math>D</math>는 모든 <math>x, y, z \in X</math>에 대해 <math>D(x, y) = D(x + z, y + z)</math>인 경우 또는 모든 <math>x, y \in X</math>에 대해 <math>D(x, y) = D(x - y, 0)</math>인 경우에 평행변환불변이라고 한다. 또한 모든 벡터 공간은 가환 덧셈군이며, 실벡터공간 또는 복소벡터공간에서 [[노름 공간|노름]]에 의해 유도되는 거리는 항상 평행변환불변이다.


실제 또는 복잡한 벡터 공간에 대한 거리 <math>D</math>는 이동 불변이고 "완전히 동질적"인 경우에만 노름으로 유도된다. 여기서 후자는 모든 [[스칼라 (수학)|스칼라]] ''s''와 모든 <math>x, y \in X</math>에 대해 <math>D(sx, sy) = |s| D(x, y)</math> 의미한다. 이 경우에 함수 <math>\| x \| := D(x, 0)</math>는 <math>X</math>에 대한 노름을 정의하고 <math>\| \cdot \|</math>에 의해 유도된 노름 거리는 <math>D</math>와 같다.
실벡터공간 또는 복소벡터공간에서 거리 <math>D</math>는 평행변환불변이고 "절대동차"인 경우에만 노름으로 유도된다. 여기서 절대동차라는 것은 모든 [[스칼라 (수학)|스칼라]] ''s''와 모든 <math>x, y \in X</math>에 대해 <math>D(sx, sy) = |s| D(x, y)</math>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함수 <math>\| x \| := D(x, 0)</math>는 <math>X</math>에 대한 노름을 정의하고 <math>\| \cdot \|</math>에 의해 유도된 노름 거리는 <math>D</math>와 같다.


== 참고 ==
== 참고 ==
이러한 조건들은 [[거리]]의 개념에 대한 직관적인 개념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구별되는 점 사이의 거리가 양수이고 ''x''에서 ''y''까지의 거리는 ''y''에서 ''x''까지의 거리와 같다. 삼각 부등식은 ''x''에서 ''z''까지의 거리가 ''x''에서 ''z''까지의 거리보다 적어도 직접적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우클레이데스]]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2개의 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선이며 그것은 자신의 기하학에 대한 삼각 부등식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조건들은 [[거리]]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구별되는 점 사이의 거리는 양수이고, ''x''에서 ''y''까지의 거리는 ''y''에서 ''x''까지의 거리와 같다. 삼각 부등식은 ''x''에서 ''y''를 거쳐 ''z''까지 가는 거리가 적어도 ''x''에서 ''z''까지 직접 가는 거리만큼 길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에우클레이데스]]는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원론]]에서 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직선이라고 했는데, 이는 [[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한 삼각 부등식이다.


== 예시 ==
== 예시 ==
* [[이산 공간]]에서의 계량: ''x'' = ''y''인 경우 ''d''(''x'',''y'') = 0이고 그렇지 않으면 ''d''(''x'',''y'') = 1이 된다.
* [[이산 공간|이산 거리]]: ''x'' = ''y''인 경우 ''d''(''x'',''y'') = 0이고 그렇지 않으면 ''d''(''x'',''y'') = 1이 된다.
* [[유클리드 거리]]에서의 계량은 이동과 회전 불변을 띠고 있다.
* [[유클리드 거리]] 평행변환과 회전변환에 대해 불변이다.
* [[맨해튼 거리]]에서의 계량은 이동 불변을 띠고 있다.
* [[맨해튼 거리]] 평행변환에 대해 불변이다.
* 보다 일반적으로 [[노름 공간]]에 의해 유도되는 모든 계량 기준은 이동 불변을 띠고 있다.
* 보다 일반적으로 [[노름 공간|노름]]에서 유도되는 모든 거리는 평행변환불변이다.
* [[국소 볼록 공간]]인 <math>(p_n)_{n\in N}</math>이 [[위상 벡터 공간]] ''E''를 정의하는 반노름 공간의 [[수열]]인 경우
* <math>(p_n)_{n\in N}</math>이 ([[국소 볼록 공간]]인) [[위상 벡터 공간]] ''E''를 정의하는 [[반노름]]의 [[수열|열]]이라면
*:<math>d(x,y)=\sum_{n=1}^\infty \frac{1}{2^n} \frac{p_n(x-y)}{1+p_n(x-y)}</math>라고 표현한다.
*:<math>d(x,y)=\sum_{n=1}^\infty \frac{1}{2^n} \frac{p_n(x-y)}{1+p_n(x-y)}</math>
*:동일한 [[위상수학]]을 정의하는 거리이다. 이는 [[절대 수렴]] <math>(a_n)</math>을 통해 <math>\frac{1}{2^n}</math> [[양수 (수학)|양수]]요약할 수 있다.
*:동일한 [[위상 공간 (수학)|위상]]을 정의하는 거리이다. (여기서 <math>\frac{1}{2^n}</math> 합이 수렴하는 임의의 양항급수 <math>(a_n)</math>바꿔도 된다.)
* [[노름 공간]] <math>(\R, | \cdot |)</math>은 절댓값이 <math>\R</math>에서 일반적인 유클리드 위상수학을 유도하는 실제 선 <math>\R</math>의 노름인 [[바나흐 공간]]이다. 거리 <math>D : \R \times \R \to \R</math> 위의 <math>\R</math>는 모든 <math>x, y \in \R</math>에 대해 <math>D(x, y) = | \arctan(x) - \arctan(y)|</math>이다. {{개행 금지|<math>| \cdot |</math>{{Hair space}}}}의 유도 거리와 마찬가지로, 거리 <math>D</math>도 {{수학|1=ℝ}}에서 일반적인 유클리드 토폴로지를 유도한다. 그러나 <math>x_{\bull} = \left(x_i\right)_{i=1}^{\infty}</math> 수열에 의해 정의된 <math>x_i := i</math>는 [[코시 열|{{개행 금지|<math>D</math>-코시}} 열]]이지만 {{수학|1=ℝ}}의 어떠한 점에도 수렴되지 않기 때문에 <math>D</math>는 완전한 거리가 아니다. 수렴되지 않음의 결과에 따라 {{개행 금지|<math>D</math>-코시}} 열은 <math>(\R, | \cdot |)</math>에 대한 코시 열이 될 수 없다. 즉 노름 공간에 관한 카우치 시퀀스가 아니다. 그렇다면 {{개행 금지|<math>| \cdot |</math>-코시 열}} 바나흐 공간이라는 사실은 그것이 수렴된다는 모순임을 암시할 것이다.{{sfn|Narici|Beckenstein|2011|pp=47–51}}
* [[노름 공간]] <math>(\R, | \cdot |)</math>은 [[바나흐 공간]]이고, 이때 절댓값은 <math>\R</math> 일반적인 유클리드 위상을 유도하는 실직선 <math>\R</math>의 노름 역할을 한다. <math>\R</math>위의 거리 <math>D : \R \times \R \to \R</math> 모든 <math>x, y \in \R</math>에 대해 <math>D(x, y) = | \arctan(x) - \arctan(y)|</math>로 정의하자. {{개행 금지|<math>| \cdot |</math>{{Hair space}}}}의 유도 거리와 마찬가지로, 거리 <math>D</math>도 {{수학|1=ℝ}}에서 일반적인 유클리드 위상을 유도한다. 그러나 <math>x_i := i</math>로 정의된 수열 <math>x_{\bull} = \left(x_i\right)_{i=1}^{\infty}</math>는 [[코시 열|{{개행 금지|<math>D</math>-코시}} 열]]이지만 {{수학|1=ℝ}}의 어떠한 점으로도 수렴하지 않기 때문에 <math>D</math>는 [[완비 거리 공간|완비 거리]]가 아니다. {{개행 금지|<math>D</math>-코시}} 열은 수렴하지 않으므로 <math>(\R, | \cdot |)</math>에 대한 코시 열이 될 수 없다. 즉, 노름 {{개행 금지|<math>| \cdot |</math>}}에 관한 코시 열이 아니다. 왜냐하면 <math>(\R, | \cdot |)</math>이 바나흐 공간이라는 사실 때문에, 이 수열이 {{개행 금지|<math>| \cdot |</math>-코시 열}}이라면 수렴해야 하고, 이는 모순이기 때문이다.{{sfn|Narici|Beckenstein|2011|pp=47–51}}
* 그래프 계량은 특정한 그래프의 거리 단위로 정의된 계량이다.
* [[거리 (그래프 이론)|그래프 거리]]는 특정한 그래프 위의 거리이다.
* 해밍 계량은 코딩 이론에서 활용된다.
* [[해밍 거리]]는 부호 이론에서 활용된다.
* [[리만 다양체]]: [[매끄러운 다양체]]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거리 함수의 유형이다. 이러한 [[다양체]] 경우에는점에서 접공간 T<sub>p</sub>에서 p에 대한 대칭, 양의 정부호, 쌍선형 형식 L: T<sub>p</sub> × T<sub>p</sub> → ℝ를 선택하여 매끄럽게 한다. 이러한 형식은 <math display="inline">\|v\| = \sqrt{L(\mathbf{v}, \mathbf{v})}</math>을 통해 다양체에서 접선 벡터 '''v'''의 길이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에 다양체의 모든 미분 가능한 경로에 대해 그 길이는 경로 매개 변수에 대해 통합이 수행되는 임의의 점에서 경로에 대한 접선 벡터의 길이의 적분으로 정의된다. 마지막으로 다양체의 점들 중에서 어떠한 쌍 {x, y}에 정의된 거리를 얻기 위해 모든 경로에서 경로 길이 집합의 최소인 x에서 y까지를 취한다. 리만 기하학이 장착된 매끄러운 다양체는 리만 다양체라고 부른다.
* [[리만 거리]]: [[매끄러운 다양체]]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거리 함수이다. 이러한 [[다양체]] 대하여,점 p에서의 접공간 T<sub>p</sub>에서 양의 정부호 대칭 쌍선형 형식 L: T<sub>p</sub> × T<sub>p</sub> → ℝ를 매끄러운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은 다양체에서 접선 벡터 '''v'''의 길이를 <math display="inline">\|v\| = \sqrt{L(\mathbf{v}, \mathbf{v})}</math> 결정한다. 그런 다음에 다양체의 모든 미분 가능한 경로에 대해,길이를 점에서 경로에 대한 접선 벡터의 길이의 적분으로 정의하는데, 이때 적분은 경로 매개변수에 대해서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체의 x, y 사이의 거리를 x와 y를 잇는 모든 경로의 길이의 하한으로 정의한다. 리만 거리가 주어진 매끄러운 다양체를 [[리만 다양체]]라고 부른다.
*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복소수]] [[사영 공간]]에 활용되는데 리만 다양체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복소수]] [[사영 공간]]에 활용되는데 리만 거리의 예이다.
* 레벤시테인 계량은외의 문자열 편집 계량과 마찬가지로 문자열에 대한 거리를 정의한다.
* [[레벤시테인 거리]]는밖의 문자열 편집 거리와 마찬가지로 문자열에 대한 거리를 정의한다.
* 그래프 편집 계량: [[그래프 (수학)|그래프]] 간의 거리 함수를 정의한다.
* 그래프 편집 거리: [[그래프 (수학)|그래프]] 간의 거리 함수를 정의한다.
* 바세르시테인 계량: 2가지 [[확률 분포]] 사이에서 정의된 거리 함수이다.
* 바세르시테인 거리: [[확률 분포]] 사이의 거리 함수이다.
* [[핀슬러 다양체]]: 음이 아닌 연속 함수를 [[접다발]] 정의한 F:TM→[0,+∞)이다.
* [[핀슬러 다양체|핀슬러 거리]] [[접다발]] 위에 정의된 음이 아닌 연속함수 F : TM → [0,+∞)이다.


== 거리의 동등성 ==
== 거리의 동치 ==
주어진 집합 ''X'' 경우, 항등 사상이 위상적으로 등가(균일하게 등가)인 2개의 거리 ''d''<sub>1</sub> ''d''<sub>2</sub> 부른다.
주어진 집합 ''X'' 위의 거리 함수 ''d''<sub>1</sub>, ''d''<sub>2</sub>에 대해, 거리 공간 사이의 항등 사상
:id: (''X'',''d''<sub>1</sub>) → (''X'',''d''<sub>2</sub>)
:id: (''X'',''d''<sub>1</sub>) → (''X'',''d''<sub>2</sub>)
가 [[위상동형사상]]이면, ''d''<sub>1</sub>과 ''d''<sub>2</sub>가 '''위상적으로 동치'''라고 한다. 추가로, id가 [[균등동형사상]]이면 두 거리 함수가 '''균등 동치'''(uniformly equivalent)라고 한다. (어떤 함수가 균등동형사상이라는 것은 균등연속이면서 그 역함수도 균등연속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math>d</math>이 거리이면 <math>\min (d, 1)</math> 및 <math>{d \over 1+d}</math>는 <math>d</math>와 동치인 거리이다.
여기서 ''d''<sub>1</sub>과 ''d''<sub>2</sub>가 [[위상동형사상]]임을 알아낼 수 있다.


== 노름 유도 거리 ==
예를 들어 <math>d</math>이 거리인 경우에는 <math>\min (d, 1)</math> 및 <math>{d \over 1+d}</math>는 <math>d</math>와 동등한 거리이다.
벡터 공간의 노름은 절대동차이고 평행변환불변인 거리와 동치이다. 즉 모든 노름은 거리 함수를 결정하고, 어떤 거리 함수는 노름을 결정한다.


[[노름 공간]] <math>(X, \|\cdot\|)</math>가 주어지면 <math>X</math> 거리 <math>d</math>를 정의할 수 있다.
== 노름 유도 계량 ==
벡터 공간에 대한 노름은 특정한 계량, 즉 같은 종류의 이동 불변량과 동일하다. 즉 모든 노름은 계량 지표를 결정하며 일부 계량 지표는 노름을 결정한다.

정규 벡터 공간 <math>(X, \|\cdot\|)</math> <math>X,</math> 대해 <math>d</math>를 정의할 수 있는데 이는 노름에 의해 유도된 계량(<math>\| \cdot \|</math>)이다.
:<math>d(x,y) := \| x-y\|.</math>
:<math>d(x,y) := \| x-y\|.</math>
공간 <math>d</math> 노름 <math>\|\cdot\|.</math>에 의해 유도된다.
이때 <math>d</math> 노름 (<math>\| \cdot \|</math>)에 의해 유도된 거리 또는 노름 유도 거리라고 부른다.


반대로{{sfn|Narici|Beckenstein|2011|pp=47-66}} [[벡터 공간]] <math>X</math>의 거리 <math>d</math>가 속성을 만족하는 경우
반대로{{sfn|Narici|Beckenstein|2011|pp=47-66}} [[벡터 공간]] <math>X</math>의 거리 <math>d</math>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하자.
* 이동 불변: <math>d(x,y) = d(x+a,y+a)</math>;
* 평행변환불변: <math>d(x,y) = d(x+a,y+a)</math>;
* 절대 동질성: <math>d(\alpha x, \alpha y) = |\alpha| d(x,y)</math>;
* 절대동차성: <math>d(\alpha x, \alpha y) = |\alpha| d(x,y)</math>.
그 다음에 <math>X</math> 의해 정리되는 노름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math>X</math> 노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math>\|x\| := d(x,0)</math>
:<math>\|x\| := d(x,0)</math>
여기서 이러한 노름에 의해 유도된 계량 기준은 원래 주어진 거리 <math>d</math>에 의해 유도된 것이다.
이러한 노름에 의해 유도되는 거리는 원래 주어진 거리 <math>d</math>이다.


마찬가지로 반노름은 의거리를 유도하고 같은 종류의 이동 불변 의거리는 반노름을 유도한다.
마찬가지로 반노름은 유사거리를 유도하고, 절대동차이고 평행변환불변인 유사거리는 반노름을 유도한다.


== 중복집합에서의 거리 ==
== 중복집합에서의 거리 ==
우리는 2가지 원소 사이의 거리부터 비어 있지 않은 2가지 유한 원소 집합 사이의 거리까지의 거리 개념을 일반화할 수 있다. [[중복집합]]은 원소가 2번 이상 발생할 수 있도록 [[집합]]의 개념을 일반화한 것이다. <math>Z</math>가 중복집합 <math>X</math>와 <math>Y</math>의 요소로 구성된 중복집합인 경우, <math>X</math>에 한 번, <math>Y</math>에 한 번 발생하는 경우라면 <math>Z=XY</math>라고 정의한다. 비어 있지 않은 유한 중복집합 ''d''에서 함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량한다.<ref name="Vi11">{{저널 인용|성=Vitanyi|이름=Paul M. B.|제목=Information Distance in Multiples|doi=10.1109/TIT.2011.2110130|저널=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권=57|호=4|쪽=2451–2456|연도=2011년|arxiv=0905.3347|s2cid=6302496}}</ref>
원소 사이의 거리 개념을 일반화하여 공집합이 아닌 유한 중복집합의 거리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중복집합]]은 원소가 2번 이상 발생할 수 있도록 [[집합]]의 개념을 일반화한 것이다. <math>Z</math>가 중복집합 <math>X</math>와 <math>Y</math>의 요소로 구성된 중복집합일 , <math>Z=XY</math>라고 정의한다. 예를 들어 <math>X</math>에 한 번, <math>Y</math>에 한 번 나타나는 원소는 <math>Z</math> 나타난다. 공집합이 아닌 유한 중복집합들의 집합 위의 함수 ''d''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d''를 거리 함수라 한다.<ref name="Vi11">{{저널 인용|성=Vitanyi|이름=Paul M. B.|제목=Information Distance in Multiples|doi=10.1109/TIT.2011.2110130|저널=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권=57|호=4|쪽=2451–2456|연도=2011년|arxiv=0905.3347|s2cid=6302496}}</ref>


# <math>d(X)=0</math>에서 <math>X</math> 모든 요소가 동일하고 <math>d(X) > 0</math> 경우([[양의 정부호]]), 즉 (무음성 +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
# <math>X</math>의 모든 원소가 동일하면 <math>d(X)=0</math>, 그렇지 않으면 <math>d(X) > 0</math> ([[양의 정부호|양의 정부호성]])
# <math>d(X)</math>는 invariant under all permutations of <math>X</math>([[대칭]])의 모든 치환에서 변하지 않는다.
# <math>d(X)</math>는 <math>X</math>의 모든 순열에 대해 불변이다. ([[대칭성]])
# <math>d(XY) \leq d(XZ)+d(ZY)</math> ([[삼각 부등식]])
# <math>d(XY) \leq d(XZ)+d(ZY)</math> ([[삼각 부등식]])


중복집합 <math>X</math>가 1, 2에 2가지 원소를 갖고 있고 중복집합 <math>X, Y, Z</math>가 각각 3에 1가지 원소를 갖고 있는 경우에 2가지 원소 사이에 친숙한 계량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math>X</math>가 <math>x</math> 2가지 존재로 구성된 경우에는 <math>d(X)=0</math>에 따라 1이 된다.
조건 1, 2에서 중복집합 <math>X</math>가 원소 집합이고 조건 3에서 중복집합 <math>X, Y, Z</math>가 각각 원소 집합인 경우 보통의 거리 함수에 대한 조건이 된다. 예를 들어 <math>X</math>가 <math>x</math> 2개로 구성된 중복집합이면 조건 1에 따라 <math>d(X)=0</math> 된다.


간단한 예시는 <math>d(X)=\max\{x: x \in X\}- \min\{x:x \in X\}</math>를 갖는 정수의 모든 비어 있지 않은 유한 중복집합 <math>X</math>의 집합이다. 더 복잡한 예시는 중복집합의 정보 거리<ref name="Vi11" />와 다중 집합의 정규화된 압축 거리이다.<ref>{{저널 인용|성1=Cohen|이름1=Andrew R.|성2=Vitanyi|이름2=Paul M. B.|제목=Normalized Compression Distance of Multisets with Applications|연도=2012년|쪽=1602–1614|저널=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권=37|호=8|arxiv=1212.5711|doi=10.1109/TPAMI.2014.2375175|pmid=26352998|pmc=4566858}}</ref>
간단한 예시는 정수의 모든 공집합이 아닌 유한 중복집합 <math>X</math>에 대한 거리인 <math>d(X)=\max\{x: x \in X\}- \min\{x:x \in X\}</math>이다. 더 복잡한 예시는 중복집합의 정보 거리(information distance)<ref name="Vi11" />와 다중 집합의 정규화된 압축 거리(normalized compression distance)이다.<ref>{{저널 인용|성1=Cohen|이름1=Andrew R.|성2=Vitanyi|이름2=Paul M. B.|제목=Normalized Compression Distance of Multisets with Applications|연도=2012년|쪽=1602–1614|저널=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권=37|호=8|arxiv=1212.5711|doi=10.1109/TPAMI.2014.2375175|pmid=26352998|pmc=4566858}}</ref>


== 일반화된 계량 ==
== 일반화된 거리 ==
계량의 공리를 완화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일반화된 거리 공간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일반화를 결합할 수도 있다. 그것들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완전히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특히 기능 분석에서 가성 측정학은 벡터 공간의 반노름에서 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반계량학"이라고 부르는 것이 당연하다. 이것은 위상수학의 용어와 충돌한다.
거리 함수의 공리를 여러 방식으로 약화시켜 거리 공간의 개념을 일반화할 있다. 이러한 일반화된 개념끼리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런 개념들을 부르는 용어들은 아직 완전히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특히 [[함수해석학]]에서 유사거리는 벡터 공간의 반노름에서 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반거리"라고 부르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느낄 수 있는데, 이는 위상수학의 용어와 충돌한다.


=== 확장된 계량 ===
=== 확장 거리 ===
일부 저자들은 함수 거리 ''d''가 값 ∞를 얻도록 허용한다. 즉 거리는 확장된 실수 선에서 음수가 아닌 숫자이다. 이러한 함수를 "확장 거리" 또는 "∞ 거리"(무한대 거리)라고 부른다. 모든 확장된 메트릭을 유한 거리로 변환하여 거리 공간이 위상수학 개념(예: 연속성 또는 수렴)에 관한 동일하도록 있다. 이것은 ''d''&prime;(''x'', ''y'') = ''d''(''x'', ''y'') / (1 + ''d''(''x'', ''y'')) or ''d''&prime;&prime;(''x'', ''y'') = min(1, ''d''(''x'', ''y''))와 같이 영점에서 영점인 단조롭게 증가시키는 경계가 있는 하위 첨가 단조로운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저자들은 거리 함수 ''d''가 값 ∞를 갖도록 허용한다. 즉 거리는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가 있다. 이러한 함수를 "확장 거리"(extended metric) 또는 "∞ 거리"라고 부른다. 모든 확장 거리는 똑같은 위상을 유도하는 유한 거리로 변환할 있는데, 0을 0으로 보내는 [[준가법성|준가법]] 유계 증거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d''&prime;(''x'', ''y'') = ''d''(''x'', ''y'') / (1 + ''d''(''x'', ''y'')) 또는 ''d''&prime;&prime;(''x'', ''y'') = min(1, ''d''(''x'', ''y''))와 같이 변환할 수 있다.


거리가 <nowiki>[0,∞)</nowiki>에서 값을 취하는 요구 사항은 다른 지시된 집합의 값을 갖는 거리를 고려하기 위해 완화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리의 재구성은 균일한 공간, 즉 서로 다른 점의 국소 위상수학을 비교할 수 있는 추상 구조를 가진 위상 공간의 구성으로 이어진다.
거리가 <nowiki>[0,∞)</nowiki> 속해야 한다는 조건을 완화하여 다른 [[유향집합]]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 이렇게 공리를 재구성하면 [[균등 공간]], 즉 서로 다른 점에서의 국소적 위상을 비교할 수 있는 추상적 구조를 가진 위상 공간의 개념이 얻어진다.


=== 의거리 ===
=== 유사거리 ===
함수 ''d''에서 ''X'' 대한 "의거리"는 모든 ''x''에 대해 ''d''(''x'',''x'')=0만 필요하다는 점을 제외하고 거리에 대한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이다. 즉 가성계의 공리는 다음과 같다.
''X'' '''유사거리'''(pseudometric)는 번째 거리 공리(식별불가능자 동일성) 대신에 모든 ''x''에 대해 ''d''(''x'',''x'')=0라는 조건을 만족하고 거리에 대한 나머지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이다. 즉 유사거리의 공리는 다음과 같다.


# ''d''(''x'', ''y'') ≥ 0
# ''d''(''x'', ''y'') ≥ 0
# ''d''(''x'', ''x'') = 0 (그러나 일부 구별되는 값의 경우 d(x, y) = 0일 있다.)
# ''d''(''x'', ''x'') = 0 (그러나 어떤 x ≠ y의 경우 d(x, y) = 0일 수도 있다.)
# ''d''(''x'', ''y'') = ''d''(''y'', ''x'')
# ''d''(''x'', ''y'') = ''d''(''y'', ''x'')
# ''d''(''x'', ''z'') ≤ ''d''(''x'', ''y'') + ''d''(''y'', ''z'').
# ''d''(''x'', ''z'') ≤ ''d''(''x'', ''y'') + ''d''(''y'', ''z'').


어떤 맥락에서, 의거리는 반노름과의 관계 때문에 "준거리"라고 불린다.
어떤 맥락에서 유사거리는 반노름과의 관계 때문에 "반거리"(semimetric)라고도 불린다.


=== 반거리 ===
=== 준거리 ===
때때로 '''반거리'''는 대칭을 제외한 거리에 대한 모든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로 정의한다.<ref>E.g. Steen &amp; Seebach (1995).</ref><ref>{{콘퍼런스 인용|제목=Quasi uniformities: reconciling domains with metric spaces|성=Smyth|이름=M.|연도=1987년|쪽=236–253|콘퍼런스=3rd Conference on Mathematical Foundations of Programming Language Semantics|편집자1=M.Main|편집자2=A.Melton|편집자3=M.Mislove|편집자4=D.Schmidt|출판사=Springer-Verlag,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298|doi=10.1007/3-540-19020-1_12}}</ref> 이 일반화의 이름이 완전히 표준화된 것은 아니다.<ref>{{서적 인용|제목=Functional Analysis and Control Theory: Linear Systems|성=Rolewicz|이름=Stefan|연도=1987년|isbn=90-277-2186-6|출판사=Springer|oclc=13064804}}</ref>
'''준거리'''(quasimetric)대칭성을 제외하고 거리에 대한 모든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로 정의한다.<ref>E.g. Steen &amp; Seebach (1995).</ref><ref>{{콘퍼런스 인용|제목=Quasi uniformities: reconciling domains with metric spaces|성=Smyth|이름=M.|연도=1987년|쪽=236–253|콘퍼런스=3rd Conference on Mathematical Foundations of Programming Language Semantics|편집자1=M.Main|편집자2=A.Melton|편집자3=M.Mislove|편집자4=D.Schmidt|출판사=Springer-Verlag,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298|doi=10.1007/3-540-19020-1_12}}</ref> 이 개념의 이름이 완전히 표준화된 것은 아니다.<ref>{{서적 인용|제목=Functional Analysis and Control Theory: Linear Systems|성=Rolewicz|이름=Stefan|연도=1987년|isbn=90-277-2186-6|출판사=Springer|oclc=13064804}}</ref>


# ''d''(''x'', ''y'') ≥ 0 ("양수")
# ''d''(''x'', ''y'') ≥ 0 (음이 아님)
# ''d''(''x'', ''y'') = 0 &nbsp; ''x'' = ''y''와 동치 ("양의 정부호")
# ''d''(''x'', ''y'') = 0임은 ''x'' = ''y''와 동치 (양의 정부호성)
# <del>''d''(''x'', ''y'') = ''d''(''y'', ''x'')</del> ("대칭", 떨어짐)
# <del>''d''(''x'', ''y'') = ''d''(''y'', ''x'')</del> (대칭성, 삭제됨)
# ''d''(''x'', ''z'') ≤ ''d''(''x'', ''y'') + ''d''(''y'', ''z'') ("삼각 부등식")
# ''d''(''x'', ''z'') ≤ ''d''(''x'', ''y'') + ''d''(''y'', ''z'') (삼각 부등식)


유사거리는 실제 생활에서 흔히 볼 있다. 예를 들어 산촌의 집합 ''X''가 주어지면 언덕을 오르는 것보다 언덕을 오르는 것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X''의 원소들 사이의 일반적인 걷는 시간은 반거리를 형성한다. 또 다른 예시는 단방향 거리를 가진 [[맨해튼 거리]]로서 여기서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경로는 ''B''에서 ''A'' 지점까지의 경로가 아닌 다른 도로 집합으로 구성된다.
준거리는 실제 생활에서 흔히 볼 있다. 예를 들어 산촌의 집합 ''X''가 주어지면 언덕을 내려가는 것보다 언덕을 올라가는 것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X''의 원소들 사이의 걷는 시간은 준거리를 이룬다. 또 다른 예시는 일방통행 도로가 있는 [[맨해튼 거리]]로서 여기서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는 ''B''에서 ''A''까지의 최단 경로와 다를 있다.


다음은 실수 집합 위의 준거리가 된다.
설정을 통해 실제 반거리를 정의할 수 있다.
:''d''(''x'', ''y'') = ''x'' − ''y'' ''x'' ≥ ''y''일 경우
:''d''(''x'', ''y'') = ''x'' − ''y'' (''x'' ≥ ''y''일 경우)
:''d''(''x'', ''y'') = 1 기타인 경우. 1은 무한대 또는 <math>1+10^{(y-x)}</math>으로 대체될 수 있다.
:''d''(''x'', ''y'') = 1 (그 밖의 경우). 1은 무한대 또는 <math>1+10^{(y-x)}</math>으로 바꿀 수 있다.
이러한 준거리 공간의 기초가 되는 위상공간은 소젠프리 선이다. 이 공간을 금속 막대기를 내려놓는 과정을 묘사한다. 금속 막대기는 크기를 줄이는 것은 쉽지만 그것을 높이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이러한 준거리 공간에 대응하는 위상공간은 [[소젠프리 선]]이다. 이 공간을 금속 막대기를 자르는 과정을 묘사한다. 금속 막대기의 크기를 줄이는 것은 쉽지만 그것을 늘리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d''가 ''X'' 반거리를 갖는 경우에 ''X''에 대한 거리 ''d<nowiki>'</nowiki>를 생성할 수 있다.
''d''가 ''X'' 준거리이면 ''X'' 거리 ''d<nowiki>'</nowiki>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d<nowiki>'</nowiki>''(''x'', ''y'') = {{분수|2}}(''d''(''x'', ''y'') + ''d''(''y'', ''x''))
:''d<nowiki>'</nowiki>''(''x'', ''y'') = {{분수|2}}(''d''(''x'', ''y'') + ''d''(''y'', ''x''))


=== 준거리 ===
=== 메타거리 ===
"준거리"에서 동일한 점들 사이의 거리가 반드시 영점이 아니라는 점을 제외하면 거리의 모든 공리를 만족한다. 즉 준거리에 대한 공리는 다음과 같다.
'''메타거리'''(metametric)는 동일한 점들 사이의 거리가 0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모든 거리 공리를 만족한다. 즉 준거리에 대한 공리는 다음과 같다.


# ''d''(''x'', ''y'') ≥ 0
# ''d''(''x'', ''y'') ≥ 0
# ''d''(''x'', ''y'') = 0은 ''x'' = ''y''을 의미한다. (그러나 반대는 아니다.)
# ''d''(''x'', ''y'') = 0이면 ''x'' = ''y''이다. (그러나 역은 성립하지 않을 있다.)
# ''d''(''x'', ''y'') = ''d''(''y'', ''x'')
# ''d''(''x'', ''y'') = ''d''(''y'', ''x'')
# ''d''(''x'', ''z'') ≤ ''d''(''x'', ''y'') + ''d''(''y'', ''z'')
# ''d''(''x'', ''z'') ≤ ''d''(''x'', ''y'') + ''d''(''y'', ''z'')


준거리는 그로모프 쌍곡선 거리 공간과 그 경계에 대한 연구에 나타난다. 그러한 공간의 시각적 준거리는 경계에 있는 점 ''x''에 대해 ''d''(''x'', ''x'') = 0을 만족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d''(''x'', ''x'')는 ''x''에서 경계까지의 거리이다. 준거리는 유시 비시슬래(Jussi Visisllä)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다.<ref>{{저널 인용|성=Väisälä|이름=Jussi|제목=Gromov hyperbolic spaces|url=http://www.helsinki.fi/~jvaisala/grobok.pdf|저널=Expositiones Mathematicae|권=23|호=3|쪽=187–231|연도=2005년|doi=10.1016/j.exmath.2005.01.010|mr=2164775}}</ref>
메타거리는 그로모프 쌍곡 거리 공간과 그 경계에 대한 연구에 나타난다. 그러한 공간에서 "시각적 메타거리"(visual metametric)는 경계에 있는 점 ''x''에 대해 ''d''(''x'', ''x'') = 0을 만족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d''(''x'', ''x'')는 대략 ''x''에서 경계까지의 거리이다. 메타거리는 유시 비시슬래(Jussi Visisllä)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다.<ref>{{저널 인용|성=Väisälä|이름=Jussi|제목=Gromov hyperbolic spaces|url=http://www.helsinki.fi/~jvaisala/grobok.pdf|저널=Expositiones Mathematicae|권=23|호=3|쪽=187–231|연도=2005년|doi=10.1016/j.exmath.2005.01.010|mr=2164775}}</ref>


=== 준거리 ===
=== 반거리 ===
''X'' 대한 함수의 "준거리"는 ''d'' : ''X'' × ''X'' → '''R'''로서 처음에는 3개의 공리를 만족하지만 반드시 삼각 부등식을 만족하는 것은 아니다.
''X'' '''반거리'''(semimetric) 함수 ''d'' : ''X'' × ''X'' → '''R'''로서 공리를 만족하지만 삼각 부등식을 만족할 필요는 없다.


# ''d''(''x'', ''y'') ≥ 0
# ''d''(''x'', ''y'') ≥ 0
# ''d''(''x'', ''y'') = 0 &nbsp; ''x'' = ''y''인 경우에만 한함
# ''d''(''x'', ''y'') = 0임은 ''x'' = ''y'' 동치
# ''d''(''x'', ''y'') = ''d''(''y'', ''x'')
# ''d''(''x'', ''y'') = ''d''(''y'', ''x'')


일부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약한 형태의 삼각 부등식을 가지고 작업한다.
일부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약한 형태의 삼각 부등식을 추가한다.
:''d''(''x'', ''z'') ≤ ρ (''d''(''x'', ''y'') + ''d''(''y'', ''z'')) &nbsp;&nbsp;&nbsp; (ρ-완화 삼각 부등식)
:''d''(''x'', ''z'') ≤ ρ (''d''(''x'', ''y'') + ''d''(''y'', ''z'')) &nbsp;&nbsp;&nbsp; (ρ-완화 삼각 부등식)
:''d''(''x'', ''z'') ≤ ρ max(''d''(''x'', ''y''), ''d''(''y'', ''z'')) &nbsp;&nbsp;&nbsp; (ρ-근적 부등식)
:''d''(''x'', ''z'') ≤ ρ max(''d''(''x'', ''y''), ''d''(''y'', ''z'')) &nbsp;&nbsp;&nbsp; (ρ-하위 거리 부등식)


ρ-하위 거리 부등식은 P-완화 삼각형 부등식(1번째 공리를 가정함) 의미하며, ρ-완화 삼각 부등식은 2ρ-하위 거리 부등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등가 조건을 만족하는 반측정학들은 때때로 "준거리"<ref>{{저널 인용|제목=The Geodesic Problem in Quasimetric Spaces|저자=Xia, Q.|저널=Journal of Geometric Analysis|권=19|호=2|쪽=452–479|연도=2009년|doi=10.1007/s12220-008-9065-4|arxiv=0807.3377|s2cid=17475581}}</ref>, "근거리"<ref>{{저널 인용|저자=Qinglan Xia|제목=The geodesic problem in nearmetric spaces|연도=2008년|쪽=452–479|권=19|호=2|저널=Journal of Geometric Analysis|arxiv=0807.3377|postscript=.|bibcode=2008arXiv0807.3377X}}</ref> 또는 "하위 거리"라고 불린다.<ref name=inframetrics>{{서적 인용|제목=2008 IEEE INFOCOM - The 27th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연도=2008년|저널=IEEE INFOCOM 2008. The 27th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장=The Inframetric Model for the Internet|성1=Fraigniaud|이름1=P.|성2=Lebhar|이름2=E.|성3=Viennot|이름3=L.|쪽=1085–1093|citeseerx=10.1.1.113.6748|doi=10.1109/INFOCOM.2008.163|isbn=978-1-4244-2026-1|s2cid=5733968}}</ref>
ρ-하위 거리 부등식은 (첫번째 공리를 가정할 때) ρ-완화 삼각 부등식을 함의하며, ρ-완화 삼각 부등식은 2ρ-하위 거리 부등식을 함의한다. 서로 동치인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반거리는 때때로 "유사거리"(quasimetric)<ref>{{저널 인용|제목=The Geodesic Problem in Quasimetric Spaces|저자=Xia, Q.|저널=Journal of Geometric Analysis|권=19|호=2|쪽=452–479|연도=2009년|doi=10.1007/s12220-008-9065-4|arxiv=0807.3377|s2cid=17475581}}</ref>, "근거리"(nearmetric)<ref>{{저널 인용|저자=Qinglan Xia|제목=The geodesic problem in nearmetric spaces|연도=2008년|쪽=452–479|권=19|호=2|저널=Journal of Geometric Analysis|arxiv=0807.3377|postscript=.|bibcode=2008arXiv0807.3377X}}</ref> 또는 "하위 거리"(inframetric)라고 불린다.<ref name=inframetrics>{{서적 인용|제목=2008 IEEE INFOCOM - The 27th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연도=2008년|저널=IEEE INFOCOM 2008. The 27th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장=The Inframetric Model for the Internet|성1=Fraigniaud|이름1=P.|성2=Lebhar|이름2=E.|성3=Viennot|이름3=L.|쪽=1085–1093|citeseerx=10.1.1.113.6748|doi=10.1109/INFOCOM.2008.163|isbn=978-1-4244-2026-1|s2cid=5733968}}</ref>


ρ-근적 부등식은 [[인터넷]]에서 왕복 지연 시간을 모델링하기 위해 도입되었다.<ref name=inframetrics /> 삼각 부등식은 2-인자 부등식을 의미하며 초모수 부등식은 정확히 1-모수 부등식을 의미한다.
ρ-하위 거리 부등식은 [[인터넷]]에서 왕복 지연 시간을 모델링하기 위해 도입되었다.<ref name=inframetrics /> 삼각 부등식은 2-하위 거리 부등식을 함의하며 초거리 부등식은 정확히 1-하위 거리 부등식과 같다.


=== 전거리 ===
=== 전거리 ===
'''전거리'''(premetric)은 다음 3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이다.
마지막 3개의 공리를 완화하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와 같은 전치사적 개념으로 이어진다.


# ''d''(''x'', ''y'') ≥ 0
# ''d''(''x'', ''y'') ≥ 0
# ''d''(''x'', ''x'') = ''0''
# ''d''(''x'', ''x'') = 0
# ''d''(''x'', ''y'') = ''d''(''y'', ''x'')
# ''d''(''x'', ''y'') = ''d''(''y'', ''x'')


이것은 표준 용어가 아니다. 때때로 그것은 러시아어 서적의 번역에서 유사준거리<ref>{{서적 인용|제목=Metric characterization of random variables and random processes|url=https://books.google.com/books?id=ePDXvIhdEjoC&q=%22Metric+characterization+of+random+variables+and+random+processes%22&pg=PR9연도=2000년|성1=Buldygin|이름1=V.V.|성2=Kozachenko|이름2=I.U.V.|isbn=9780821897911}}</ref> 또는 의거리<ref>{{서적 인용|제목=Lectures and exercises on functional analysis|연도=2006년|저자=Khelemskiĭ}}</ref>와 같은 "계량 지표"의 다른 일반화를 가리키는데 사용된다.<ref>Arkhangel'skii &amp; Pontryagin (1990). {{서적 인용|제목=An introduction to geometrical physics|연도=1995년|성1=Aldrovandi|이름1=R.|성2=Pereira|이름2=J.G.}}</ref> 경우에 따라서는 거리라고 부르기도 한다.<ref>{{서적 인용|제목=Geometry of Cuts and Metrics|연도=1997년|성1=Deza|이름1=M.M.|성2=Laurent|이름2=M.}}</ref>
이것은 표준 용어가 아니다. 용어는 유사반거리<ref>{{서적 인용|제목=Metric characterization of random variables and random processes|url=https://books.google.com/books?id=ePDXvIhdEjoC&q=%22Metric+characterization+of+random+variables+and+random+processes%22&pg=PR9연도=2000년|성1=Buldygin|이름1=V.V.|성2=Kozachenko|이름2=I.U.V.|isbn=9780821897911}}</ref> 또는 유사거리<ref>{{서적 인용|제목=Lectures and exercises on functional analysis|연도=2006년|저자=Khelemskiĭ}}</ref>와 같은 다른 개념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러시아어 서적의 번역본에서는 "prametric"이라는 표기도 등장한다.<ref>Arkhangel'skii &amp; Pontryagin (1990). {{서적 인용|제목=An introduction to geometrical physics|연도=1995년|성1=Aldrovandi|이름1=R.|성2=Pereira|이름2=J.G.}}</ref> 경우에 따라서는 거리(distance)라고 부르기도 한다.<ref>{{서적 인용|제목=Geometry of Cuts and Metrics|연도=1997년|성1=Deza|이름1=M.M.|성2=Laurent|이름2=M.}}</ref>


모든 전거리는 다음과 같은 위성수학을 생성한다. 양의 실수 ''r'' 경우 점 ''p'' 중심을 ''r''-볼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모든 전거리는 다음과 같은 위상을 생성한다. 양의 실수 ''r'' 대해 점 ''p'' 중심으로 ''r''-공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sub>r</sub>''(''p'') = { ''x'' | ''d''(''x'', ''p'') < r }
:''B<sub>r</sub>''(''p'') = { ''x'' | ''d''(''x'', ''p'') < r }


집합에 포함된 점 ''p''에 ''r''-볼이 ''p'' 점의 중앙에 있는 경우에 세트를 "열린 집합"이라고 한다. 모든 전거리는 위상 공간이며 실제로 순차적 공간이다. 일반적으로 ''r''- 자체는 이 위상수학과 관련하여 열린 집합일 필요는 없다. 거리의 경우 두 집합 ''A''와 ''B''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집합에 포함된 점 ''p''에 대해 ''p''를 중심으로 한 ''r''-공이 집합에 속하면 집합을 열린 집합이라고 한다. 모든 전거리는 이렇게 위상 공간을, 나라가 [[점렬 공간]]을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r''- 자체는 이 위상에서 열린 집합일 필요가 없다. 거리 함수의 경우와 같이, 두 집합 ''A''와 ''B'' 사이의 전거리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A'', ''B'') = inf<sub>''x''∊''A'', ''y''∊''B''</sub> ''d''(''x'', ''y'')
:''d''(''A'', ''B'') = inf<sub>''x''∊''A'', ''y''∊''B''</sub> ''d''(''x'', ''y'')


이것은 전거리의 [[역집합]]에 대한 전거리를 정의한다. (의사반)거리에서 시작하면 우리는 가성 측정, 즉 대칭 사전 측정값을 얻는다. 모든 전거리는 다음과 같은 전폐 연산자 ''cl'' 발생시킨다.
이것은 전거리 공간의 [[멱집합]]에 대한 전거리를 정의한다. (유사반)거리 공간에서 출발하면 유사반거리, 즉 대칭적인 전거리가 얻어진다. 임의의 전거리는 다음과 같은 [[전폐포]](preclosure) 연산자 ''cl'' 낳는다.
:''cl''(''A'') = { ''x'' | ''d''(''x'', ''A'') = 0 }
:''cl''(''A'') = { ''x'' | ''d''(''x'', ''A'') = 0 }


=== 의사준거리 ===
=== 유사준거리 ===
'유사', '준', '반'과 같은 접두사 또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준거리'''는 무차별성 공리와 대칭 고릴르 모두 완화하며 단순히 삼각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사전 측정이다. 유사 준거형 공간의 경우 열린 ''r''-볼은 개방된 집합의 기초를 형성한다. 유사 준거 공간(pseudo quasimetric space)의 매우 기본적인 예로는 ''d''(0,1) = 1과 ''d''(1,0) = 0으로 주어진 전거리가 있는 집합 {0,1}이 있다. 관련 위상 공간은 시에르핀스키 공간이다.
'유사', '준', '반'과 같은 접두사들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준거리'''(pseudoquasimetric 또는 hemimetric)는 무차별성 공리와 대칭성 공리를 모두 완화하여, 단순히 삼각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준거리이다. 유사준거리 공간의 경우 열린 ''r''-공은 열린 집합의 [[기저 (위상수학)|기저]]를 이룬다. 유사준거리 공간의 매우 간단한 예로는 ''d''(0,1) = 1과 ''d''(1,0) = 0으로 주어진 전거리가 있는 집합 {0,1}이 있다. 이에 대응하는 위상 공간은 [[시에르핀스키 공간]]이다.


확장된 유사 준거계를 갖춘 세트는 윌리엄 로베어가 "일반화된 거리 공간"으로 연구했다.<ref>{{서적 인용|성=Lawvere|이름=F.W.|제목=Metric spaces, generalised logic, and closed categories|총서=Reprints in Theory and Applications of Categories|권=1|연도=2002년|초판연도=1973년|쪽=1–37|url=http://tac.mta.ca/tac/reprints/articles/1/tr1.pdf}}.</ref><ref>{{저널 인용|성=Vickers|이름=Steven|제목=Localic completion of generalized metric spaces I|url=http://www.tac.mta.ca/tac/volumes/14/15/14-15abs.html|저널=Theory and Applications of Categories|권=14|연도=2005년|쪽=328–356}}</ref> 범주형 관점에서 확장된 유사 측정 공간 및 확장된 유사 준공간은 해당 비확장 맵과 함께 거리 공간 범주에서 제대로 동작한다. 임의의 곱셈과 쌍대곱을 가져다가 주어진 범주 내에서 할당량 객체를 형성할 수 있다. '확장' 떨어뜨리면 유한한 곱셈과 쌍대곱만 가져갈 수 있다. '거짓' 떨어뜨리면 인용구를 수 없다. 접근 공간은 이러한 양호한 범주형 특성을 유지하는 거리 공간의 일반화이다.
확장된 유사준거리를 갖춘 집합은 윌리엄 로베어가 "일반화된 거리 공간"이라는 이름으로 연구한 바 있다.<ref>{{서적 인용|성=Lawvere|이름=F.W.|제목=Metric spaces, generalised logic, and closed categories|총서=Reprints in Theory and Applications of Categories|권=1|연도=2002년|초판연도=1973년|쪽=1–37|url=http://tac.mta.ca/tac/reprints/articles/1/tr1.pdf}}.</ref><ref>{{저널 인용|성=Vickers|이름=Steven|제목=Localic completion of generalized metric spaces I|url=http://www.tac.mta.ca/tac/volumes/14/15/14-15abs.html|저널=Theory and Applications of Categories|권=14|연도=2005년|쪽=328–356}}</ref> 범주론의 관점에서 보면, 비확장사상(nonexpansive map)이 주어진 확장된 유사거리 공간 및 확장된 유사준거리 공간들은 거리 공간 범주들 가장 좋은 성질을 가지는 것들이다. 이러한 범주 안에서는 임의 개수의 곱과 쌍대곱을 취하고 몫대상을 정의할 수 있다. '확장'이라는 조건을 빼면 유한 곱과 유한 쌍대곱만 취할 수 있다. '유사'라는 조건을 빼면 몫대상을 정의할 수 없다. [[접근 공간]](approach space)은 이런 좋은 범주론적 특성을 유지하는 거리 공간의 일반화이다.


=== 우카시크-카르모프스키 거리 ===
=== 우카시크-카르모프스키 거리 ===
우카시크-카르모프스키 거리는 하나의 거리 함수에서 나타나는 2개의 [[확률 변수]] 또는 2개의 무작위 벡터 사이의 거리를 정의한다. 이 기능의 공리는 다음과 같다.
우카시크-카르모프스키 거리는 [[확률 변수]] 또는 무작위 벡터 사이의 거리를 정의하는 함수이다. 이 함수의 공리는 다음과 같다.
# ''d''(''x'', ''y'') > 0
# ''d''(''x'', ''y'') 0
# ''d''(''x'', ''y'') = ''d''(''y'', ''x'')
# ''d''(''x'', ''y'') = ''d''(''y'', ''x'')
# ''d''(''x'', ''z'') ≤ ''d''(''x'', ''y'') + ''d''(''y'', ''z'').
# ''d''(''x'', ''z'') ≤ ''d''(''x'', ''y'') + ''d''(''y'', ''z'').


이 거리 함수가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를 만족할 필요충분조건은 두 인수 ''x''와 ''y'' 모두의 확률밀도함수가 [[디랙 델타 함수]]인 것이다.
이 거리 함수는 모두 아이디얼 [[디랙 델타 함수]]의 확률 분포 함수 밀도에 의해 2가지 인수가 설명되는 경우에만 무분별한 조건의 정체를 만족한다.


=== 일반화된 지표의 중요한 경우 ===
=== 일반화된 거리의 중요한 예시 ===
미분 기하학에서는 계량 텐소르를 고려하는데 이는 "무한 최소" 2차 거리 함수로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적절한 차별화 요건을 가진 [[다양체]]의 접선 공간에 대한 비퇴행 대칭 이선형 형태로 정의된다. 이러한 것들은 문서에서 정의한 메트릭 함수는 아니지만 다양체를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제곱근을 통합하여 의사 반모수 함수라고 하는 것을 유도한다. 계량 텐소르 [[내적 공간]] 양의 정부호를 부과하는 경우 이는 리만 다양체의 경우로 제한되며 경로 통합은 거리를 산출한다.
[[미분기하학]]의 [[계량 텐서]] 개념은 "무한소" 크기의 거리 함수의 제곱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적절한 미분가능성을 가진 [[다양체]]의 접공간 위에서 정의된 비퇴화 대칭 쌍선형 형식으로 정의된다. 계량 텐서는 문서에서 정의한 거리 함수의 예는 아니지만, 다양체 위의 경로를 따라 계량 텐서의 제곱근을 적분하면 유사반거리 함수가 나온다. 계량 텐서의 [[내적 공간|내적]] 양의 정부호성을 만족하는 경우 이는 [[리만 다양체]]가 되며, 경로 적분은 거리 함수를 낳는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관련 개념은 유사 리만 다양체의 구조를 표현하는 계량 텐소르(일반 상대성 이론)이다. 비록 "계정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다양체의 접선 공간에는 영점이 아닌 벡터가 있고 벡터는 음의 제곱근을 가질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생각은 다르다. 영점 거리가 정체성을 의미하지 않는 "계정학" 대한 일반화된 견해는 수학적 글쓰기로도 번졌다.<ref>S. Parrott (1987) ''Relativistic Electrodynamics and Differential Geometry'', page 4, Springer-Verlag {{isbn|0-387-96435-5}} : "This bilinear form is variously called the ''Lorentz metric'', or ''Minkowski metric'' or ''metric tensor''."</ref><ref>Thomas E. Cecil (1992) ''Lie Sphere Geometry'', page 9, Springer-Verlag {{isbn|0-387-97747-3}} : "We call this scalar product the ''Lorentz metric''"</ref>
이와 비슷하게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준 리만 다양체]]의 구조를 기술하는 [[계량 텐서 (일반 상대성 이론)|계량 텐서]]의 개념이 등장한다. 비록 "거리"라는 용어가 쓰이긴 하지만, 이러한 다양체의 접공간에는 영벡터가 아니면서 노름이 0인 벡터가 있고 노름의 제곱이 음수가 수도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개념이 다르다. 이처럼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도 "거리"(metric)라는 용어를 쓰는 관습이 수학 문헌에도 일부 확산되었다.<ref>S. Parrott (1987) ''Relativistic Electrodynamics and Differential Geometry'', page 4, Springer-Verlag {{isbn|0-387-96435-5}} : "This bilinear form is variously called the ''Lorentz metric'', or ''Minkowski metric'' or ''metric tensor''."</ref><ref>Thomas E. Cecil (1992) ''Lie Sphere Geometry'', page 9, Springer-Verlag {{isbn|0-387-97747-3}} : "We call this scalar product the ''Lorentz metric''"</ref>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1년 5월 3일 (월) 16:29 판

맨해튼 거리와 유클리드 거리의 비교: 맨해튼 거리인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선의 길이는 모두 12이며 가장 짧은 맨해튼 거리이다. 유클리드 거리인 초록색 선의 길이는 이므로 네 선 중에서 가장 길이가 짧다.

거리 함수(距離 函數, 영어: metric, distance function)는 집합의 각 원소 쌍 사이에 거리를 주는 함수이다. 거리가 있는 집합을 거리 공간이라고 부른다.[1] 거리는 집합의 위상을 유도하지만 모든 위상을 거리로부터 생성할 수는 없다. 거리로부터 위상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을 거리화 가능 공간이라고 부른다.

미분기하학에서 거리를 정의하는 한 가지 중요한 방법은 계량 텐서이다. 계량 텐서는 미분 가능 다양체의 두 접벡터를 받아 스칼라를 내놓는 쌍선형 형식이다. 계량 텐서는 적분을 통해 곡선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 주고, 따라서 거리를 결정한다.

정의

집합 X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함수("거리 함수" 또는 단순히 "거리"라고 부름)로 표현한다.

여기서 는 음이 아닌 실수의 집합이며 모든 에 대해 다음 3가지 공리가 충족된다.

1.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
2. 대칭성
3. 삼각 부등식

이 공리들은 거리가 음수가 아니라는 "분리 조건"을 함의한다. 즉, 모든 에 대해 이다.

왜냐하면 1번, 3번, 2번 공리를 순서대로 적용하면 이고, 따라서 이기 때문이다.

함수값이 음이 아니라는 조건과 1번 공리는 "양의 정부호 함수"라고 불리는 것을 정의한다.

두 점 사이에 다른 점이 들어갈 수 없도록 다음과 같이 삼각 부등식보다 강한 조건을 만족하는 거리를 초거리라고 한다.

모든 에 대해 .

X의 임의의 두 점 xy에 대해, 두 점을 이으면서 그 길이가 d(x, y)에 임의로 가까운 곡선이 존재하는 경우, dX길이 거리라고 부른다.

G의 거리 d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왼쪽 불변"(반대 개념은 "오른쪽 불변")이라고 한다. (곱셈 표기법 사용)

[반대 개념은 ] (G의 모든 x, y, z에 대해)

가환 덧셈군 의 거리 는 모든 에 대해 인 경우 또는 모든 에 대해 인 경우에 평행변환불변이라고 한다. 또한 모든 벡터 공간은 가환 덧셈군이며, 실벡터공간 또는 복소벡터공간에서 노름에 의해 유도되는 거리는 항상 평행변환불변이다.

실벡터공간 또는 복소벡터공간에서 거리 는 평행변환불변이고 "절대동차"인 경우에만 노름으로 유도된다. 여기서 절대동차라는 것은 모든 스칼라 s와 모든 에 대해 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함수 에 대한 노름을 정의하고 에 의해 유도된 노름 거리는 와 같다.

참고

이러한 조건들은 거리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구별되는 점 사이의 거리는 양수이고, x에서 y까지의 거리는 y에서 x까지의 거리와 같다. 삼각 부등식은 x에서 y를 거쳐 z까지 가는 거리가 적어도 x에서 z까지 직접 가는 거리만큼 길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에우클레이데스는 《원론》에서 두 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직선이라고 했는데, 이는 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한 삼각 부등식이다.

예시

  • 이산 거리: x = y인 경우 d(x,y) = 0이고 그렇지 않으면 d(x,y) = 1이 된다.
  • 유클리드 거리는 평행변환과 회전변환에 대해 불변이다.
  • 맨해튼 거리는 평행변환에 대해 불변이다.
  • 보다 일반적으로 노름에서 유도되는 모든 거리는 평행변환불변이다.
  • 이 (국소 볼록 공간인) 위상 벡터 공간 E를 정의하는 반노름이라면
    는 동일한 위상을 정의하는 거리이다. (여기서 는 합이 수렴하는 임의의 양항급수 로 바꿔도 된다.)
  • 노름 공간 바나흐 공간이고, 이때 절댓값은 의 일반적인 유클리드 위상을 유도하는 실직선 의 노름 역할을 한다. 위의 거리 를 모든 에 대해 로 정의하자. 의 유도 거리와 마찬가지로, 거리 에서 일반적인 유클리드 위상을 유도한다. 그러나 로 정의된 수열 -코시이지만 의 어떠한 점으로도 수렴하지 않기 때문에 완비 거리가 아니다. 이 -코시 열은 수렴하지 않으므로 에 대한 코시 열이 될 수 없다. 즉, 노름 에 관한 코시 열이 아니다. 왜냐하면 이 바나흐 공간이라는 사실 때문에, 이 수열이 -코시 열이라면 수렴해야 하고, 이는 모순이기 때문이다.[2]
  • 그래프 거리는 특정한 그래프 위의 거리이다.
  • 해밍 거리는 부호 이론에서 활용된다.
  • 리만 거리: 매끄러운 다양체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거리 함수이다. 이러한 다양체에 대하여, 각 점 p에서의 접공간 Tp에서 양의 정부호 대칭 쌍선형 형식 L: Tp × Tp → ℝ를 매끄러운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은 다양체에서 접선 벡터 v의 길이를 로 결정한다. 그런 다음에 다양체의 모든 미분 가능한 경로에 대해, 그 길이를 각 점에서 경로에 대한 접선 벡터의 길이의 적분으로 정의하는데, 이때 적분은 경로 매개변수에 대해서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체의 두 점 x, y 사이의 거리를 x와 y를 잇는 모든 경로의 길이의 하한으로 정의한다. 리만 거리가 주어진 매끄러운 다양체를 리만 다양체라고 부른다.
  • 푸비니-슈투디 계량복소수 사영 공간에 활용되는데 리만 거리의 한 예이다.
  • 레벤시테인 거리는 그 밖의 문자열 편집 거리와 마찬가지로 문자열에 대한 거리를 정의한다.
  • 그래프 편집 거리: 그래프 간의 거리 함수를 정의한다.
  • 바세르시테인 거리: 두 확률 분포 사이의 거리 함수이다.
  • 핀슬러 거리접다발 위에 정의된 음이 아닌 연속함수 F : TM → [0,+∞)이다.

거리의 동치

주어진 집합 X와 그 위의 거리 함수 d1, d2에 대해, 거리 공간 사이의 항등 사상

id: (X,d1) → (X,d2)

위상동형사상이면, d1d2위상적으로 동치라고 한다. 추가로, id가 균등동형사상이면 두 거리 함수가 균등 동치(uniformly equivalent)라고 한다. (어떤 함수가 균등동형사상이라는 것은 균등연속이면서 그 역함수도 균등연속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이 거리이면 와 동치인 거리이다.

노름 유도 거리

벡터 공간의 노름은 절대동차이고 평행변환불변인 거리와 동치이다. 즉 모든 노름은 거리 함수를 결정하고, 어떤 거리 함수는 노름을 결정한다.

노름 공간 가 주어지면 의 거리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를 노름 ()에 의해 유도된 거리 또는 노름 유도 거리라고 부른다.

반대로[3] 벡터 공간 의 거리 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하자.

  • 평행변환불변: ;
  • 절대동차성: .

그러면 의 노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노름에 의해 유도되는 거리는 원래 주어진 거리 이다.

마찬가지로 반노름은 유사거리를 유도하고, 절대동차이고 평행변환불변인 유사거리는 반노름을 유도한다.

중복집합에서의 거리

두 원소 사이의 거리 개념을 일반화하여 공집합이 아닌 유한 중복집합의 거리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중복집합은 원소가 2번 이상 발생할 수 있도록 집합의 개념을 일반화한 것이다. 가 중복집합 의 요소로 구성된 중복집합일 때, 라고 정의한다. 예를 들어 에 한 번, 에 한 번 나타나는 원소는 에 두 번 나타난다. 공집합이 아닌 유한 중복집합들의 집합 위의 함수 d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d를 거리 함수라 한다.[4]

  1. 의 모든 원소가 동일하면 , 그렇지 않으면 (양의 정부호성)
  2. 의 모든 순열에 대해 불변이다. (대칭성)
  3. (삼각 부등식)

조건 1, 2에서 중복집합 가 두 원소 집합이고 조건 3에서 중복집합 가 각각 한 원소 집합인 경우 보통의 거리 함수에 대한 조건이 된다. 예를 들어 2개로 구성된 중복집합이면 조건 1에 따라 이 된다.

간단한 예시는 정수의 모든 공집합이 아닌 유한 중복집합 에 대한 거리인 이다. 더 복잡한 예시는 중복집합의 정보 거리(information distance)[4]와 다중 집합의 정규화된 압축 거리(normalized compression distance)이다.[5]

일반화된 거리

거리 함수의 공리를 여러 방식으로 약화시켜 거리 공간의 개념을 일반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화된 개념끼리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런 개념들을 부르는 용어들은 아직 완전히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특히 함수해석학에서 유사거리는 벡터 공간의 반노름에서 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반거리"라고 부르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느낄 수 있는데, 이는 위상수학의 용어와 충돌한다.

확장 거리

일부 저자들은 거리 함수 d가 값 ∞를 갖도록 허용한다. 즉 거리는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함수를 "확장 거리"(extended metric) 또는 "∞ 거리"라고 부른다. 모든 확장 거리는 똑같은 위상을 유도하는 유한 거리로 변환할 수 있는데, 0을 0으로 보내는 준가법 유계 증거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d′(x, y) = d(x, y) / (1 + d(x, y)) 또는 d′′(x, y) = min(1, d(x, y))와 같이 변환할 수 있다.

거리가 [0,∞)에 속해야 한다는 조건을 완화하여 다른 유향집합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 이렇게 공리를 재구성하면 균등 공간, 즉 서로 다른 점에서의 국소적 위상을 비교할 수 있는 추상적 구조를 가진 위상 공간의 개념이 얻어진다.

유사거리

X유사거리(pseudometric)는 두 번째 거리 공리(식별불가능자 동일성) 대신에 모든 x에 대해 d(x,x)=0라는 조건을 만족하고 거리에 대한 나머지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이다. 즉 유사거리의 공리는 다음과 같다.

  1. d(x, y) ≥ 0
  2. d(x, x) = 0 (그러나 어떤 x ≠ y의 경우 d(x, y) = 0일 수도 있다.)
  3. d(x, y) = d(y, x)
  4. d(x, z) ≤ d(x, y) + d(y, z).

어떤 맥락에서 유사거리는 반노름과의 관계 때문에 "반거리"(semimetric)라고도 불린다.

준거리

준거리(quasimetric)는 대칭성을 제외하고 거리에 대한 모든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로 정의한다.[6][7] 이 개념의 이름이 완전히 표준화된 것은 아니다.[8]

  1. d(x, y) ≥ 0 (음이 아님)
  2. d(x, y) = 0임은 x = y와 동치 (양의 정부호성)
  3. d(x, y) = d(y, x) (대칭성, 삭제됨)
  4. d(x, z) ≤ d(x, y) + d(y, z) (삼각 부등식)

준거리는 실제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촌의 집합 X가 주어지면 언덕을 내려가는 것보다 언덕을 올라가는 것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X의 원소들 사이의 걷는 시간은 준거리를 이룬다. 또 다른 예시는 일방통행 도로가 있는 맨해튼 거리로서 여기서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는 B에서 A까지의 최단 경로와 다를 수 있다.

다음은 실수 집합 위의 준거리가 된다.

d(x, y) = xy (xy일 경우)
d(x, y) = 1 (그 밖의 경우). 1은 무한대 또는 으로 바꿀 수 있다.

이러한 준거리 공간에 대응하는 위상공간은 소젠프리 선이다. 이 공간을 금속 막대기를 자르는 과정을 묘사한다. 금속 막대기의 크기를 줄이는 것은 쉽지만 그것을 늘리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dX의 준거리이면 X의 거리 d'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d'(x, y) = 12(d(x, y) + d(y, x))

메타거리

메타거리(metametric)는 동일한 점들 사이의 거리가 0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모든 거리 공리를 만족한다. 즉 준거리에 대한 공리는 다음과 같다.

  1. d(x, y) ≥ 0
  2. d(x, y) = 0이면 x = y이다. (그러나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3. d(x, y) = d(y, x)
  4. d(x, z) ≤ d(x, y) + d(y, z)

메타거리는 그로모프 쌍곡 거리 공간과 그 경계에 대한 연구에 나타난다. 그러한 공간에서 "시각적 메타거리"(visual metametric)는 경계에 있는 점 x에 대해 d(x, x) = 0을 만족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d(x, x)는 대략 x에서 경계까지의 거리이다. 메타거리는 유시 비시슬래(Jussi Visisllä)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다.[9]

반거리

X반거리(semimetric)는 함수 d : X × XR로서 첫 세 공리를 만족하지만 삼각 부등식을 만족할 필요는 없다.

  1. d(x, y) ≥ 0
  2. d(x, y) = 0임은 x = y와 동치
  3. d(x, y) = d(y, x)

일부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약한 형태의 삼각 부등식을 추가한다.

d(x, z) ≤ ρ (d(x, y) + d(y, z))     (ρ-완화 삼각 부등식)
d(x, z) ≤ ρ max(d(x, y), d(y, z))     (ρ-하위 거리 부등식)

ρ-하위 거리 부등식은 (첫번째 공리를 가정할 때) ρ-완화 삼각 부등식을 함의하며, ρ-완화 삼각 부등식은 2ρ-하위 거리 부등식을 함의한다. 서로 동치인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반거리는 때때로 "유사거리"(quasimetric)[10], "근거리"(nearmetric)[11] 또는 "하위 거리"(inframetric)라고 불린다.[12]

ρ-하위 거리 부등식은 인터넷에서 왕복 지연 시간을 모델링하기 위해 도입되었다.[12] 삼각 부등식은 2-하위 거리 부등식을 함의하며 초거리 부등식은 정확히 1-하위 거리 부등식과 같다.

전거리

전거리(premetric)은 다음 3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이다.

  1. d(x, y) ≥ 0
  2. d(x, x) = 0
  3. d(x, y) = d(y, x)

이것은 표준 용어가 아니다. 이 용어는 유사반거리[13] 또는 유사거리[14]와 같은 다른 개념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러시아어 서적의 번역본에서는 "prametric"이라는 표기도 등장한다.[15] 경우에 따라서는 거리(distance)라고 부르기도 한다.[16]

모든 전거리는 다음과 같은 위상을 생성한다. 양의 실수 r에 대해 점 p를 중심으로 한 r-공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r(p) = { x | d(x, p) < r }

집합에 포함된 각 점 p에 대해 p를 중심으로 한 r-공이 그 집합에 속하면 이 집합을 열린 집합이라고 한다. 모든 전거리는 이렇게 위상 공간을, 나라가 점렬 공간을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r-공 자체는 이 위상에서 열린 집합일 필요가 없다. 거리 함수의 경우와 같이, 두 집합 AB 사이의 전거리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A, B) = infxA, yB d(x, y)

이것은 전거리 공간의 멱집합에 대한 전거리를 정의한다. (유사반)거리 공간에서 출발하면 유사반거리, 즉 대칭적인 전거리가 얻어진다. 임의의 전거리는 다음과 같은 전폐포(preclosure) 연산자 cl을 낳는다.

cl(A) = { x | d(x, A) = 0 }

유사준거리

'유사', '준', '반'과 같은 접두사들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준거리(pseudoquasimetric 또는 hemimetric)는 무차별성 공리와 대칭성 공리를 모두 완화하여, 단순히 삼각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준거리이다. 유사준거리 공간의 경우 열린 r-공은 열린 집합의 기저를 이룬다. 유사준거리 공간의 매우 간단한 예로는 d(0,1) = 1과 d(1,0) = 0으로 주어진 전거리가 있는 집합 {0,1}이 있다. 이에 대응하는 위상 공간은 시에르핀스키 공간이다.

확장된 유사준거리를 갖춘 집합은 윌리엄 로베어가 "일반화된 거리 공간"이라는 이름으로 연구한 바 있다.[17][18] 범주론의 관점에서 보면, 비확장사상(nonexpansive map)이 주어진 확장된 유사거리 공간 및 확장된 유사준거리 공간들은 거리 공간 범주들 중 가장 좋은 성질을 가지는 것들이다. 이러한 범주 안에서는 임의 개수의 곱과 쌍대곱을 취하고 몫대상을 정의할 수 있다. '확장'이라는 조건을 빼면 유한 곱과 유한 쌍대곱만 취할 수 있다. '유사'라는 조건을 빼면 몫대상을 정의할 수 없다. 접근 공간(approach space)은 이런 좋은 범주론적 특성을 유지하는 거리 공간의 일반화이다.

우카시크-카르모프스키 거리

우카시크-카르모프스키 거리는 두 확률 변수 또는 두 무작위 벡터 사이의 거리를 정의하는 함수이다. 이 함수의 공리는 다음과 같다.

  1. d(x, y) ≥ 0
  2. d(x, y) = d(y, x)
  3. d(x, z) ≤ d(x, y) + d(y, z).

이 거리 함수가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를 만족할 필요충분조건은 두 인수 xy 모두의 확률밀도함수가 디랙 델타 함수인 것이다.

일반화된 거리의 중요한 예시

미분기하학계량 텐서 개념은 "무한소" 크기의 거리 함수의 제곱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적절한 미분가능성을 가진 다양체의 접공간 위에서 정의된 비퇴화 대칭 쌍선형 형식으로 정의된다. 계량 텐서는 이 문서에서 정의한 거리 함수의 예는 아니지만, 다양체 위의 경로를 따라 계량 텐서의 제곱근을 적분하면 유사반거리 함수가 나온다. 계량 텐서의 내적이 양의 정부호성을 만족하는 경우 이는 리만 다양체가 되며, 경로 적분은 거리 함수를 낳는다.

이와 비슷하게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준 리만 다양체의 구조를 기술하는 계량 텐서의 개념이 등장한다. 비록 "거리"라는 용어가 쓰이긴 하지만, 이러한 다양체의 접공간에는 영벡터가 아니면서 노름이 0인 벡터가 있고 노름의 제곱이 음수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개념이 다르다. 이처럼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도 "거리"(metric)라는 용어를 쓰는 관습이 수학 문헌에도 일부 확산되었다.[19][20]

같이 보기

각주

  1. Čech, Eduard (1969년). 《Point Sets》. New York: Academic Press. 42쪽. 
  2. Narici & Beckenstein 2011, 47–51쪽.
  3. Narici & Beckenstein 2011, 47–66쪽.
  4. Vitanyi, Paul M. B. (2011년). “Information Distance in Multiples”.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57 (4): 2451–2456. arXiv:0905.3347. doi:10.1109/TIT.2011.2110130. S2CID 6302496. 
  5. Cohen, Andrew R.; Vitanyi, Paul M. B. (2012년). “Normalized Compression Distance of Multisets with Application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37 (8): 1602–1614. arXiv:1212.5711. doi:10.1109/TPAMI.2014.2375175. PMC 4566858. PMID 26352998. 
  6. E.g. Steen & Seebach (1995).
  7. Smyth, M. (1987년). M.Main; A.Melton; M.Mislove; D.Schmidt, 편집. 《Quasi uniformities: reconciling domains with metric spaces》. 3rd Conference on Mathematical Foundations of Programming Language Semantics. Springer-Verlag,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298. 236–253쪽. doi:10.1007/3-540-19020-1_12. 
  8. Rolewicz, Stefan (1987년). 《Functional Analysis and Control Theory: Linear Systems》. Springer. ISBN 90-277-2186-6. OCLC 13064804. 
  9. Väisälä, Jussi (2005년). “Gromov hyperbolic spaces” (PDF). 《Expositiones Mathematicae》 23 (3): 187–231. doi:10.1016/j.exmath.2005.01.010. MR 2164775. 
  10. Xia, Q. (2009년). “The Geodesic Problem in Quasimetric Spaces”. 《Journal of Geometric Analysis》 19 (2): 452–479. arXiv:0807.3377. doi:10.1007/s12220-008-9065-4. S2CID 17475581. 
  11. Qinglan Xia (2008년). “The geodesic problem in nearmetric spaces”. 《Journal of Geometric Analysis》 19 (2): 452–479. arXiv:0807.3377. Bibcode:2008arXiv0807.3377X. 
  12. Fraigniaud, P.; Lebhar, E.; Viennot, L. (2008년). 〈The Inframetric Model for the Internet〉. 《2008 IEEE INFOCOM - The 27th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IEEE INFOCOM 2008. The 27th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1085–1093쪽. CiteSeerX 10.1.1.113.6748. doi:10.1109/INFOCOM.2008.163. ISBN 978-1-4244-2026-1. S2CID 5733968. 
  13. Buldygin, V.V.; Kozachenko, I.U.V. 《Metric characterization of random variables and random processes》. ISBN 9780821897911. 
  14. Khelemskiĭ (2006년). 《Lectures and exercises on functional analysis》. 
  15. Arkhangel'skii & Pontryagin (1990). Aldrovandi, R.; Pereira, J.G. (1995년). 《An introduction to geometrical physics》. 
  16. Deza, M.M.; Laurent, M. (1997년). 《Geometry of Cuts and Metrics》. 
  17. Lawvere, F.W. (2002년) [1973년]. 《Metric spaces, generalised logic, and closed categories》 (PDF). Reprints in Theory and Applications of Categories 1. 1–37쪽. .
  18. Vickers, Steven (2005년). “Localic completion of generalized metric spaces I”. 《Theory and Applications of Categories》 14: 328–356. 
  19. S. Parrott (1987) Relativistic Electrodynamics and Differential Geometry, page 4, Springer-Verlag ISBN 0-387-96435-5 : "This bilinear form is variously called the Lorentz metric, or Minkowski metric or metric tensor."
  20. Thomas E. Cecil (1992) Lie Sphere Geometry, page 9, Springer-Verlag ISBN 0-387-97747-3 : "We call this scalar product the Lorentz metric"

참고 문헌

  • Arkhangel'skii, A. V.; Pontryagin, L. S. (1990년). 《General Topology I: Basic Concepts and Constructions Dimension Theory》. Encyclopaedia of Mathematical Sciences. Springer. ISBN 3-540-18178-4. 
  • Steen, Lynn Arthur; Seebach, J. Arthur Jr. (1995년). 《Counterexamples in Topology》. Dover. ISBN 978-0-486-68735-3. MR 507446. OCLC 32311847. 
  • Narici, Lawrence; Beckenstein, Edward (2011). 《Topological Vector Spaces》.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2판. Boca Raton, FL: CRC Press. ISBN 978-1584888666. OCLC 144216834. 

외부 링크